•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海印寺 寺刊版 60卷 『華嚴經』變相版畵 考察 (Woodcut Illustrations in the 60-Volume Temple-published Edition of Avatam. saka Su¯tra of Haeinsa Templ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0.03
37P 미리보기
海印寺 寺刊版 60卷 『華嚴經』變相版畵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65권 / 265호 / 5 ~ 41페이지
    · 저자명 : 김자현

    초록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그 중요성에 비하여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60권본 화엄 판화의 형식과 도상을살펴보고, 80권본과의 비교를 통해 그 차이점과 판각 시기의 선후관계를 고찰한 후 마지막으로 그제작시기를 추정해 보고자 한다.
    海印寺사간판 60권본 화엄경 판화는 크게 세 가지 형식으로 분류된다. 첫째는 화면 오른쪽에露臺를 표현하여 그 위에 측면관의 설법도를 그리고, 왼쪽에 경문의 내용을 도해하는 방식이다. 둘째는 화면 중앙에 본존과 협시를 배치하고 그 주위에 권속들이 표현되는 구성으로, 마치 정면관의설법도와 같은 형식이다. 셋째는 일정한 장소에 특정의 본존을 배치하지 않고 경전의 내용에 따라복수 이상의 品들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앞의 두 형식에 비하여 경전의 도해에 중점을 둔 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 형식의 도상 성립 근거를 살펴 각각의 연원을 살펴본 결과, 海印寺의 사간판 60권본 화엄판화는 그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 宋代의 판본을 底本으로 삼고, 그 위에 遼代의 판본에서보이는 요소들을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세 번째 형식의 도상과 같이 현존 판본으로는중국의 사례를 찾을 수 없는 경우도 있어, 고려가 독자적으로 도상을 창출했을 가능성도 생각해 볼수 있다.
    또한 海印寺의 60권본 화엄판화를 80권과 비교한 결과, 60권본은 결계의 종류에서 정형화되지않았고, 각선에 있어서도 더욱 회화적이고 정교하며, 여백을 남기는 구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러한 근거들을 통해 볼 때 60권본 화엄판화는 80권본보다 앞서 판각된 작품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이와 같은 대량의 변상판화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자본과 전문적인 인력이 필요하다는 점과 이 시기 최씨 정권과 해인사와의 관계를 고려해 볼 때 이 판화는 최씨 정권의 관계자들,특히 鄭晏의 세력과 관계가 깊지 않았나 생각된다. 아울러 해인사 사간판 三本『화엄경』의 1098년간기 자료를 통해 해인사의 화엄경 변상판화가 재조장경(1236-1251)보다 늦은 시기에 조판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추론해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근거를 통해 해인사의 60권본 화엄 판화의판각시기를 대략적으로 최씨 정권이 권력을 잡고 있던 시기인 1196년부터 1258년 사이로 추정하였고, 80권본은 시기적으로 많이 동떨어지지는 않지만 60권보다는 늦은 시기에 조판되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해인사 사간판 60권 화엄판화는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국가간행의 재조장경 안에 변상판화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에 반해, 사찰에서 이와 같은 다량의 변상판화를 제작했다는 점에 그 의의를둘 수 있다. 또한 현전하는 고려시대의 60 또는 80권의 화엄경의 변상 대부분이 한두 점씩만 남아있는 사경변상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 같이 한 세트로 다량의 변상도가 남아 있다는 사실은 자료적가치로서도 그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 앞으로 새로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고려의 변상판화에대한 연구가 한걸음 더 진전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the 60-volume edition of the Avatam. saka Su¯tra, housed in Haeinsa Temple, which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cademic attention, compared to its importance. The paper examines the stylistic and iconographic aspects of woodcuts contained within this version of the Avatam. saka Su¯tra and attempts to date the time of their creation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in the 80-volume version.
    The 60-volume version of the Avatam. saka Su¯tra is a temple-published sutra. The woodcut illustrations contained within it may be classified into three broad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iconographic content and composition. Woodcuts belonging to the first category have a lecture scene on their right side, with Buddha seated on a platform, seen from the profile, and images illustrating the content of the Su¯tra on the left side. Woodcuts of the second category show the main Buddha at the center, accompanied by attendant deities on either side, with disciples and other Buddhist figures surrounding them. Illustrations of this type are not essentially different from paintings portraying Buddha’s preaching scenes from the front. Woodcuts of the third category have no fixed position for the main Buddha, and the illustration can be about more than one chapter, depending on the content of a given passage of the Su¯tra. Compared to the two other types of woodcuts, woodcuts of this category give greater importance to illustrating the content of the Su¯tra.
    The examination of their iconographic style reveals that the illustrations in the 60-volume version of the Avatam. saka Su¯tra housed in Haeinsa Temple was modeled on Song-dynasty Chinese woodcuts, in their basic composition, even if they also incorporate some elements from Liao-dynasty woodcuts. However, some of the illustrations, such as the ones belonging to the third category, have no Chinese precedent; suggesting the likelihood that they reflect native iconographic styles, fashioned in Goryeo.
    Meanwhile, when compared with the 80-volume version, the 60-volume Haeinsa version of the Avatam. saka Su¯tra is much less formal and standardized than the latter, in terms of settings (ex.
    sacred versus mundane settings; type of frame), and more refined and pictorial in representation.
    The illustrations in the 60-volume version also have some of the areas left blank; an aspect absent in the 80-volume version. These details suggest that the woodcuts in the 60-volume version of the Avatam. saka Su¯tra predate those featured in the 80-volume version.
    Concerning the social context of its creation, the 60-volume version of the Avatam. saka Su¯tra might have been a project sponsored by people close to the military regime, then in power in Goryeo. Producing such massive quantities of woodcut illustrations probably required a colossal amount of capital and trained manpower. Given also the close ties that the ruling regime headed by Choe had with Haeinsa Temple, the project could have been commissioned by a member of Choe’s entourage, and possibly the faction led by Jeong An. As for the date of creation, the account dating from 1098 of the circumstances and timeline of the publication of the three editions of the Avatam. saka Su¯tra(Jin, Zhou and Zhen Yuan edition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Haeinsa Avatam. saka Su¯tra might not postdate the Tripit.aka Koreana (1236-1251). Based on the available evidence, the 60-volume Haeinsa edition of the Avatam. saka Su¯tra may be dated to sometime between 1196, the year when Choe rose to power as the de facto ruler of Goryeo, and 1258. The 80-volume version, meanwhile, is likely to have been produced later than the 60-volume version, although it should not postdate the latter by much.
    The significance of the 60-volume Haeinsa Avatam. saka Su¯tra resides in the fact that it contains massive quantities of woodcut illustrations, whilst such illustrations are absent in the Tripit.aka Koreana, roughly contemporary to it. Woodcut illustrations are a rarity among Korean Avatam. saka Su¯tra editions. Given how most surviving editions, whether 60-volume or 80-volume versions in Goryeo period, contain only a couple of hand-copied illustrations, the value of this edition of the Avatam. saka Su¯tra containing legions of illustrations is rather inestimable.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on this study to cast further light on woodcut Buddhist Su¯tra illustrations from the Goryeo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