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艮齋의 發信簡札을 통해 본 艮齋와 門人들의 思想問答 유형 분석 −性師心弟說과 공부론의 관계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Ideas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in Letters between Ganjae and Joseon Literary Men−Centering on the Relation between "Human Nature is a Master While Mind is Its Disciple(Xing shi xi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6.11
41P 미리보기
艮齋의 發信簡札을 통해 본 艮齋와 門人들의 思想問答 유형 분석 −性師心弟說과 공부론의 관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자학회
    · 수록지 정보 : 孔子學 / 31호 / 143 ~ 183페이지
    · 저자명 : 장숙필

    초록

    본고는 전주대학교 근현대유학연구단에 의해 만들어진 ‘근현대 유학자 사회관계망시스템’의 DB에 있는 간재간찰을 토대로 간재의 성사심제설과 공부론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성사심제설은 간재 60세부터 본격적으로 제기되어 그가 졸할 때까지 계속된 간재의 만년이론으로서 간재의 심성설을 대표하는 명제로 인식되고 있지만, 간재와 관계를 형성하는 2,648명의 인물에게 보낸 5,000여건의 간찰가운데 성사심제설과 관계되는 간찰은 심즉리설을 비판한 170여건을 포함하여 320여건 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나 성사심제와 관련된 간찰을 분석해보면, 간재의 성사심제설은 당시 主理를 통해 당시의 시대적인 문제를 극복해가려던 학자들이 제기한 심즉리설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가변적인 기를 검속하여 천리를 실현해나가려는 율곡의 공부방법을 옹호함으로써 실천지학으로서의 유학의 본래면목 즉 인륜의 가치와 그 실현을 위한 공부를 강조하고, 인간의 도덕적인 당위보다 현실적인 이해를 우선시하는 신학문의 폐해를 경계하려 하였던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간재는 심본성, 심학성, 성사심제, 성존심비를 주장하여 공부의 주체는 심이지만 그 심은 항시 지선한 본체인 성을 모범으로 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밝히고, 또 이것이야말로 요순이래로 상전된 유가공부의 正法이며 진정한 主理本天之學임을 천명함으로써 당위지학으로서의 유가의 본질을 밝히고 나아가 바른 공부방법을 제시하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Ganjae’s theories of “Human nature is a master while mind is its disciple” and “Learning” on the basis of his letters in the database of “Social Networks of Modern-Contemporary Joseon Confucianists” worked by the Modern­Contemporary Confucianism Study at Jeonju Univeristy.
    The theory of “Xing shi xin di” has been considered to represent his theory about human nature and mind, which was proposed when he was 60 years old and had been kept discussed until his death. But, there are only 320 letters, of which 170 ones criticize his theory of “human mind is principle” among 5000 letters he sent his 2,648 fellow scholars.
    However, I studied about 150 letters related to “xing shi xin di” and found out several important points. His theory refuted “human mind is the principle” proposed by his contemporaries in order to solve social issues centering on “principle”, and advocated Yulgok’s theory of learning to control the flexible qi and realize the Heavenly principle. As a result, he wanted to emphasize the true character of Confucianism as “practical learning”, and to prevent the abuses of new learning which prioritizes practical profits over moral obligation.
    Ganjae claimed the theories of “mind should take human nature as its basis”, “mind should learn human nature”, “human nature is a master while mind is its disciple”, “human nature is high while mind is low”, and clarified that the subject of learning is mind, but the mind should modeled itself on human mind, which is always the substance of ultimate goodness. Also, he proposed that this theories are the right way of Confucian learning since the age of Yao and Shun, and the true “Learning of centering on principle and of basing on the Heaven”, and therefore showed the true aspect of Confucianism as the learning of obligation, and the right way of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孔子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