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주속도 변화와 타이밍의 상대적 비율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o changes and relative ratio of timing in music performanc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3.01
23P 미리보기
연주속도 변화와 타이밍의 상대적 비율 간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음악교육공학 / 54호 / 223 ~ 245페이지
    · 저자명 : 이미경, 송현주, 고봉균

    초록

    속도변화에 따라 타이밍의 상대적 비율이 유지되는가에 대해서 지금까지 서로 상반되는 입장이 있었다. 하나는 ‘상대적 비율 불변의 법칙’이라는 입장과 다른 하나는 ‘속도-특화 가설’로서 속도에 따라 상대적 비율이 달라진다는 입장이다. 본 연구에서는 양 입장을 각각 대표하는 2개의 논문을 자세히 검토한 뒤, 개선점을 도출하여 연구하였다. 음 추출의 정확도를 확보한 Disklavier(ahepfaud: DC3X ENPRO)라는 새로운 방식의 피아노를 사용하여 타이밍을 추출하였으며, 빠르고 템포가 일정한 바로크 양식의 악곡과 템포가 유동적인 낭만주의 악곡을 비교 연구하였다는 점이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이다. 그로부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템포가 일정하지만 빠른 바흐의 음악에서는 모든 속도 변화에서 음길이의 상대적 비율 간 일치도가 낮게 나타난 반면, 템포가 유동적인 쇼팽의 경우는 속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일치도가 높았다. 그러므로 속도가 변화하면 타이밍의 비율적 관계가 유지되는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모든 음악 혹은 모든 연주적 행동이 다 그렇다고 말할 수 없다. 이는 ‘상대적 비율 불변의 법칙’이 맞지 않다는 증거이다. 둘째, 속도가 느려지는가 아니면 빨라지는가에 따라 일정한 경향성을 보이면서 비율이 변화한다. 속도가 빨라지면 타이밍 변화의 폭이 늘어나고 속도가 느려지면 타이밍 변화의 폭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템포-특화 가설’이 맞다는 증거이다. 셋째, 음악 특징적 측면에서 빠르고 스타카토가 많은 부분이 느리고 레가토가 많은 부분에 비해 시간적 비율관계가 잘 유지되기 힘들었다. 이는 인간이 인지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부분에서는 시간의 상대적 비율관계가 속도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비교적 잘 유지되는 반면, 인지적인 통제의 범위를 넘어서서 신체 움직임의 한계에 종속될 수 밖에 없는 부분에서는 상대적 비율관계가 잘 유지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시사점으로 이러한 류의 연구에서 원곡의 본래 속도와 연주기법적 특징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얻을 수 있었다. 속도변화에 따른 시간적 비율관계의 유지 여부의 문제는 다른 요소들보다도 행동의 콘트롤 여부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Until now, there have been opposing positions as to whether the relative ratio of timing is maintained or changed according to tempo changes. One is the position in support of the law of ‘relational invariance’, and the other is the position advocating the ‘tempo-specific hypothesis’. In this study, two papers representing both positions were reviewed in detail, and improvement points were derived.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the timing was extracted using a new acoustic piano called DISKLAVIER(DC3X ENPRO), which has secured the accuracy of sound extraction, and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a fast, constant-tempo baroque-style piece(Bach’s prelude no.3, BWV.848) and a fluid-tempo romantic piece (Chopin’s Nocturne, op.9 no.2).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n Bach's music with a constant tempo but fast, the correlations between tempo-different versions were low in all speed changes, whereas in the case of Chopin, which had a flexible tempo, the correlations were quite high despite the speed change. Therefore,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of timing is maintained when speed changes, it cannot be said that all music or all performance actions are the same. This is proof that the “law of relative invariance” is not true. Second, the ratio changes with a certain tendency depending on whether the tempo is decreasing or increasing. As the tempo increased, the variety of the timing change increased, and when the speed decreased, the variety of the timing change decreased. This is proof for ‘tempo-specific hypothesis’. Third, in terms of musical characteristics, the temporal ratio relationship in the parts that were fast and had a lot of staccato dose not remained well, compared to the part that were slow and had a lot of legato. This is that, in the part that humans can control cognitively, the relative ratio of time is not affected by the change in speed and is maintained relatively well, whereas in the part where it is bound to be subordinated to the limits of body movement, it shows that the temporal proportion is difficult to maintain well. Therefore, the original tempo and performance technique of pieces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This is because the question of whether to maintain the temporal ratio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tempo change is more related to the control of behavior than other fact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음악교육공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