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한제국기 정동의 경관 변화와 영역 간의 경쟁 (Power Struggles and Competitions Represented in Jungdong Landscapes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Korea)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3.06
43P 미리보기
대한제국기 정동의 경관 변화와 영역 간의 경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84호 / 115 ~ 157페이지
    · 저자명 : 김현숙

    초록

    본고는 ‘양인촌’이라 불리우던 대한제국기 정동을 문화경관론과 엘리아스의 문명화과정이라는 방법론을 통해 새롭게 읽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경관에 배치된 건축물을 하나의 기호로 상정하고 그 기호들의 배치와 배열순서, 그리고 위계에 따라 반영되는 사회 및 권력관계와 문화적 상징 및 의미들을 역사적 맥락 속에서 독해하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서양인 거류지 혹은 근대 학교와 기독교의 중심지이자 서구문명과 개화의 공간으로만 알려진 정동 경관에는 각 국가 간의 대립의흔적들이 투영되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즉, 기왕의 연구가 정동의 서양인들을 단일집단으로 처리한 것과는 달리 본고에서는 정동의 서양인 집단들은 몇 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상호 경쟁과 대립을 하였음을 밝히고,대한제국기 정동에는 양 집단 간의 경쟁이 극한 대결 상황에까지 이르기도 하였음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대립과 권력관계는 각국 공사관의 위치와 건물의 규모, 영역의 구성요소들에서도 확인되었다. 또한 영역 간의경쟁과 갈등은 경관 속에서 움직이는 인간들을 통해 재현되었다. 바로영 ․ 미 측의 대표주자 맥리비 브라운과 러 ․ 프 측의 대표주자 알렉세예프간의 치열한 쟁투였다.
    아울러 대한제국 정부가 뒤늦게 정동의 경관으로 편입한 이유는 기존연구에서 밝힌 것 외에도 정동이 갖고 있는 문명의 장소성이라는 상징을차용하고자 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후 대한제국 정부는 인근 서양제국들의 영역들과 경쟁하며 영역을 확대시켜 나갔고, 특히 半식민지적 기관의 상징인 조선총세무사청을 정동 밖으로 이전시킴으로써 자주독립을 표방하는 황제의 공간으로서의 장소성을 공고히 하였다. 이밖에도 남별궁자리에 환구단을 축조하는 등 새로운 기호물들을 설치하여 경관 상징의역전을 시도하였다.
    결론적으로 정동 경관은 다양한 층위의 정치 ․ 권력관계를 의미나 메시지를 전달하는 일종의 텍스트로 활용될 수 있으며, 역사학계에서도 문화경관이나 기호학에 대해서 관심을 갖을 것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Landscape plays meaningful roles in various political and cultural relations as a signifying system. It is like linguistic medium by which meanings and messages can be given and taken with each other in a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cultural landscape theory and civilization process theory by Norbert Elias, this study tries to analyse the political intentions and power struggles represented on Jungdong landscapes, especially on architectural objects as well as political monuments that were erected during the Daehan Empire period.
    The issues discussed in this paper were that Jungdong was divided into Anglo-American sector and Russo-French sector, which then competed, conflicted as well as cooperated in case of common economical targets. Interestingly these political conflicts, competitions,and intentions were reflected and represented on each power sectors,architectural objects and landscapes of Jungdong.
    Kong Gojong then moved into Jungdong district as he wanted to make use of exiting images of Jungdong which was symbolized as a civilized and modern sector. He then competed with exiting foreign powers to enlarge his palace and drove out Korean maritime custom office which signified as the western imperial intrusion. He then erected Hwangudan on the place of Nambyolgung which symbolized the vassal status of Korea. This can be interpretate as a reversion of landsca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