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말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 사례 연구 (Weakening Phenomenon between Vowels of Seoul Dialect Aspiration)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1.01
15P 미리보기
서울말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 사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3권 / 1호 / 749 ~ 763페이지
    · 저자명 : 박지윤

    초록

    본 연구는 서울말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의 정도성 차이를 실험을 통해 밝히고 그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한국어의 기식음은 /ph, th, ch, kh/로 이들 음가는 초성에서 유지되거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에서 연음되어 제 음가를 유지하여 강한 기식음을 실현한다. 그러나 이들 기식음이 모음 사이에서는 약화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기식음에 대한 논의는 주로 음절화, 중화와 관련하여 이루어졌다.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에 대한 논의는 전무한 실정이다. 기식음이 모음 사이에서 약화되고, 그 정도성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충분히 짐작할 만한 사실이지만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에 주목한 연구도, 그리고 그 정도성의 차이를 밝히고 원인을 규명한 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많은 언중들은 실생활 발음에서 기식음을 모음 사이에서 약하게 발음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에 대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에 따른 구체적 현상으로는 어떠한 실현 양상이 있으며, 왜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는지 원인을 밝히는 과정은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서울말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에 대해 사례 연구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 기식음 /kh/가 가장 강하게 일어나고, 다음으로 /ph/, /th/, /ch/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식음 /kh/와 /ph/의 경우에는 모음간 약화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며, 그 실현 양상이 무성음 [k]와 [p]가 아니라 유성음 [g]와 [b]로 실현된다. 이처럼 기식만 소실할 뿐만 아니라 모음 사이에서 유성음화도 일어나게 되는데 기식음에 대한 유성음화는 한국어 음운론에서 잘 일어나지 않던 현상이다. 그리고 기식음 /th/와 /ch/의 모음간 약화는 [s], [th], [ch]로 실현된다. 기식음이 세 가지 형태 [s], [th], [ch] 중 두 가지 이상 혹은 세 가지 모두 공존하며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게 된 이유로 먼저, Sapir(1925)의 ‘심리적 실재’와 관련시켜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s/는 많은 논의를 통해 격음으로 볼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s/를 격음으로 보아 기식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마지막 이유로는, 역사적 변화 과정의 일환으로 볼 수 있는데, 다양한 예를 통해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은 역사적인 변화가 진행 중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기식음 모음에서 간과되어 왔던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정도성의 차이를 밝히고 그에 대한 원인을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weakening between vowels in Seoul dialect through experiments and to find out the cause. The breathing sounds in Korean are ph, th, ch, kh, and these are maintained with consonants or are articulated in formal forms beginning with vowels to maintain their original values and achieve strong breathing sounds. However, these breathing sounds are weakening between vowels. Discussions on breathing sound so far have mainly been conducted on syllabization and neutralization. There has been no discussion about the weakening phenomenon between vowels of breathing sounds. Although it can be inferred that breathing sounds weaken between vowels, no study has focused on the weakening phenomenon between vowels, nor has there been any study to clarify the difference in degree and determine the cause. In the real-life pronunciation of many words, breathing sounds tend to be weakly pronounced between vowels, but research is needed on that. In addition, the process of clarify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cause of such a phenomenon is meaningful. Since experiments are essential for this research, Seoul dialect is targeted. Therefore, let us look at the case studies on the weakening phenomenon between vowels in Seoul dialect. The results show that breath sounds kh occur most strongly, followed by ph, th, and ch. In the case of breath sounds kh and ph, a weakening phenomenon between vowels appears strongly, and voiceless sounds [g] and [b] are realized instead of [k] and [p]. In this way, breathing disappears and vocalization occurs between vowels, but vocalization does not occur very often in Korean phonology. Further, weakening between vowels of breathing sounds th and ch is realized as [s], [th], and [ch]. In many cases, breath sounds are maintained in coexistence with two or more of the three forms [s], [th], and [ch]. This phenomenon can first be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Sapir(1925). In addition, /s/ can be considered a violent sound in many discussions, and in this study, /s/ is regarded as a very aggressive sound and is considered to be erosive. The last reason is seen as part of the historical process of change, but various examples show that the weakening of breath sounds between vowels is a historical change in progres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clarifying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weakening between vowels of breathing sounds, which have been overlooked from vowels of breathing sounds until now, and in determining the cau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