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 간 다시 쓰기’로서의 번역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translation as a rewriting between the cultur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1.11
29P 미리보기
‘문화 간 다시 쓰기’로서의 번역에 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중언어문화연구 / 62호 / 211 ~ 239페이지
    · 저자명 : 김혜경

    초록

    본고는 최근 번역학계의 주된 관심사로 떠오른 문화번역을 수행하기 위한 철학적 기반으로서의 형이상학적 담론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번역론이 해석학의 전통으로부터 넘겨받은 시대적 의미와 보편적 가치가 무엇인지 돌아보고 그 과정에서 타문화를 가장 이상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번역방법론을 찾아가는 여정이라 하겠다. 이에 2장에서는 번역에 대한 인식 변화를 살펴보고 문화번역의 화두를 던졌던 탈식민주의의 관점에서 타문화 수용방식에서의 변화를 조명하였다. 3장에서는 리쾨르의 텍스트 해석학적 사유와 번역론을 함께 연결시켜 문화번역 관점에서의 적용방법을 고민했다. 4장에서는 고전적 번역이론이 문화번역 이론으로 이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번역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에 대한 본고의 관점과 함께 향후 번역이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the change of attitude in modern translation theory, a traditional dichotomy of translation, literal translation and liberal translation, has been changed and gradually replaced by new translation strategies. This study argues that the two types of translation (i.e. literal translation and liberal translation) have an identical goal “good translation”, despite the fact that each of them has been discussed in different way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two translation strategies that are called foreignization and domestication are examined in this study. Among others foreignization and domestication are most acceptable and applicable to the modern translation theory. Based on this assumption,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se two strategies and proposes a new approach to them. Then, it also discusses the important role of a translator as a reproducer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translating is re-producing of the original under a guideline. This paper identifies periodical implications and universal values of a current translation methodology that were inherited from traditional hermeneutics. As a way of producing “good translation”, Paul Ricoeur (French philosopher) expanded the scope of text hermeneutics into translation, and proposed the notion of ‘linguistic hospitality’. It is an attempt to tackle the issue of untranslatable texts, which is one of the main subjects in translation studies. The process of adap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native language for another language is similar to offering a hospitality of a different culture. Through the process, the understanding of two different cultures is broaden and when linguistic hospitality is added to this, the better quality of translation is finally obtained, albeit not a perfect one. This paper shows that it is crucial for a translator to harmonize the two strategies, foreignization and domestication in translating; translation made with harmony between the two makes readers experience both unfamiliarity and familiarity in different cultures and finally provides them with a fertile imagination. As a rewriting between the two different cultures, a translator meets a text and then creates a new product, a translated work. It can be the most ideal translation for a translator to harmonize unique characteristics of a source language with those of a target langu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중언어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