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황청 문헌에 드러난 종교 간의 대화 (Interreligious dialogue on the documents of Holy Se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2.12
35P 미리보기
교황청 문헌에 드러난 종교 간의 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톨릭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신학 / 21호 / 129 ~ 163페이지
    · 저자명 : 신정훈

    초록

    종교 간의 대화는 지구촌이 되어가면서 다양한 문화가 빈번하게 접촉하는 가운데 발생하는 현실적 요청인 동시에 가톨릭교회의 교회론과 구원론에 연관된 주요한 신학적 주제이다. 가톨릭교회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즈음해서 타종교인들의 구원의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사유하기 시작하였고 이론적으로나마 종교 간 대화를 정당한 교회의 신학적 작업 안에 정초시켰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문헌 중 하나인 ‘비그리스도교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선언 우리 시대’를 통해서 가톨릭교회는 타종교를 구세사의 지평 안에 옮겨 놓았고 타종교인들과 대화를 관심을 지닌 일부 가톨릭 신자들의 일이 아닌 전체 교회의 과제로 정의하였다. 대화의 목적과 관련하여 이미 선언에서 선교를 목적으로 한 대화와 평화로운 공존을 목적으로 한 대화 등 이중적 지향성을 드러낸다. 이후 문헌은 꾸준히 이 두 가지 목적을 통합하고자 시도한다.
    1967년 비그리스도인 대화 사무국이 발행한 첫 번째 공식 문헌인 ‘종교와 만남에 관한 규정’은 선교를 위한 대화가 교회의 일차적 과제이며, 이것이 불가능할 경우 평화로운 공존을 위한 대화가 시도될 수 있는데, 이를 교회의 부차적 과제로 명시한다. 규정은 타종교를 그리스도교를 위한 준비 단계로 이해한다. 한편 규정은 타종교를 대등한 대화의 상대로 인식하지 않으며 타종교의 가치가 교회의 필요성에 따라 일방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는 인상을 남긴다.
    1984년의 문헌 ‘대화와 선교’는 대화와 선교라는 양 개념의 외연을 확장함으로써 둘 사이의 관계를 정립하려 시도하나 그 종합에서 아쉬움을 남긴다. 대화를 생활의 대화, 협력을 위한 대화, 전문가들의 대화, 종교 경험에 대한 대화 등 네 가지로 구분하며 교회의 모든 구성원이 적극적으로 대화에 참여한 가능성을 열어둔다.
    1990년에 반포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Johannes Paulus II., 1978-2005) 의 선교회칙 ‘교회의 선교 사명’(Redemptoris missio)은 토착화 (inculturatio) 의 개념을 이용해서 선교의 양방성을 부각시킨다. 즉 선교는 선포자와 선포의 대상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일어나기에 근본적으로 대화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교회는 선교라는 행위 안에서 타종교 안에 숨어있는 진리의 씨앗을 발견할 의무가 있는데, 진리의 맥락에서 종교 간의 대화가 여러 종교가 벌이는 진리를 향한 경쟁의 성격을 지닐 수 있다고 밝힌다.
    종교 간 대화에 대한 지금까지의 숙고를 종합하는 문헌인 ‘대화와 선포’ (1991년)는 대화를 인간관계 안에 자리하는 기본적 자세로 정의하는 한편, 세 가지 이유에서 종교 간의 대화가 신학의 고유한 과제임을 천명한다. 즉, 타종교 안의 진리를 비진리로부터 구분할 필요, 엄연한 현실로서 타종교를 그리스도교 신학의 지평 안에 통합할 필요, 그리고 공개적으로 선포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실현될 수 있는 교회의 정당한 행위로서 대화 등이다. ‘대화와 선포‘에 따르면 그리스도인은 종교 간 대화를 통해 예수에 대한 확신을 공고히 하는 동시에 타종교로부터 발견되는 진리를 자신의 신앙에 수용할 수 있기에 결국 종교 간 대화는 그리스도교 신자에게 필수불가결한 신앙의 행위가 된다. 종교 간 대화는 그리스도교의 복음화의 역사적 발전 단계 안에서 더욱 뚜렷이 이해될 수 있다. 즉 시초에 복음화는 그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그리스도에 관한 단순한 복음 선포에서 시작하였으며, 차후 토착화나 평화로운 공존, 또 종교 간 대화 같은 요소들이 복음 선포의 불가결한 요소가 되었다. 따라서 종교 간 대화는 복음 선포의 원의를 전제해야 하며 복음 선포는 대화의 영 안에서 이뤄져야 한다. 이렇게 둘은 서로 구분되면서도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여러 문헌에 대한 통시적 연구는 종교 간 대화가 시간의 흐름과 함께 신학 안에서 발전된 개념임을 밝힌다. 처음에 종교 간 대화는 선교의 방식 중 하나로 인식되다가 후에 신앙 안에서 진리 추구라는 그 고유한 의미를 획득하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그 고유한 의미가 다시 약화되었으며, 평화로운 공존이라는 실천적 목표가 강조되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교황청 문헌이 밝혔듯이 종교 간 대화는 계시 진리를 향한 고유한 신앙의 행위라는 차원에서 그 충만한 의미가 드러날 수 있다. 가까운 미래에 이러한 노력이 다시 제고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Interreligious dialogue is an important theological subject related to ecclesiology and soteriology. It is also a practical necessity that arises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where diverse cultures frequently contact to each other.
    Around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Catholic Church began to positively consider the potential other religions have for salvation and laid a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interreligious dialogue, at least in a theoretical sense. Through Nostra Aetate, the Declaration on the Relation of the Church with Non-Christian Religions, the Catholic Church began to include other religions in the horizon of salvation and further defined the interreligious dialogue as a task for the entire Catholic Church rather than just that of interested parties.
    The declaration reveals two purpose of the dialogue: the dialogue for the service of mission and for peaceful co-existence. Since then, the documents have continued to try to reconcile these two different purposes of the dialogue.
    The guideline Toward the meeting of religions‚ the first official document issued by the Pontifical Council for Interreligious Dialogue in 1967, describes the purpose of the dialogue as the service of mission and as the primary task of the Church. It further writes that, when this is not possible, the church can try dialogue for peaceful co-existence, which they considered as their secondary task. While the guideline conceptualizes other religions as the preparation stage of Christian faith, it does not acknowledge other faiths as an equal conversant. It gives an impression that the Church can assess the value of other religions according to its own needs.
    Mission and Dialogue, a document written in 1984, tries to reconciliate the idea of mission and dialogue by expanding their interpretation, although, the conclusion does not seem to suffice. It opens the possibility that all church members can actively engage in the conversation through four distinctive dialogues: everyday dialogue, collaborative dialogue, expert’s dialogue, and dialogue of religious experience.
    In Redemptoris missio, missonsencyclical written in 1990, Pope John Paul II. emphasizes dual direction of mission by using the idea of inculturation. That is, the structure of mission is fundamentally same as dialogue because it happen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missionary and those who receive the faith. Since it is a duty of the Church to discover the seeds of truth within non-Christian faith through mission, the interrelgious dialogue can have the charateristics of a race toward the truth in which various religions engage.
    Dialogue and Proclamation, a document that summarizes reflection and orientations on interreligious dialogue (1991), defines the dialogue as basic attitude within human relations. It proclaims that interreligious dialogue is unique task of Theology for the following three reasons: needs to distinguish truth from false, needs to incorporate other religions into Christian theology, accepting the needs as a firm reality, and as a legitimate alterative the Church have, when the proclamation of Gospel is impossible. According to Dialogue and Proclamation, interreligious dialogue is essential to Christian faith because Christians can reaffirm their belief in Jesus through the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They can also incorporate into their own belief the truth discovered in other religions.
    Interreligious dialogue can be better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historical development of evangelisation in Christianity. That is, the evangelisation started from its core, which was simple proclamation of Gospel, but then the elements like inculturation, peaceful co-existance, or interreligious dialogue became essential components. Therefore, the evangelisation and the interreligious dialogue is distinctive yet, interrelated to each other. Accordingly, interreligious dialogue has to be premised upon williness to evangelisation, and the evangelisation has to be within the spirit of dialogue.
    This chronological analysis reveals that the interreligious dialogue is a concept that is historically co-developed within Theology. Interreligious dialogue was initially understood as one of methods for mission, but then gradually acquired its unique meaning of seeking truth within one’s faith.
    This unique meaning has been weakening recently and the practical purpose of peaceful co-existence has been emphasized. However, as revealed in Vatican documents, interreligious dialogue can reveal its fulfilling meaning in a sense that it is a unique faith action geared toward Truth of the Revelation. It is hoped that the effort of interreligous dialogue is positively reconsidered in the near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