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艮齋私稿』의 書簡 수록 양상 고찰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etters in the collection of Jinju-bon Ganjaejip)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24.04
29P 미리보기
『艮齋私稿』의 書簡 수록 양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80호 / 99 ~ 127페이지
    · 저자명 : 김인규, 채갑병

    초록

    전우가 사망한 후 그의 제자들은 반목하였다. 몇 개의 파로 갈라져 본인들만이 전우의 학통을 잇는 유일한 제자임을 증명하기 위해 스승 전우의 문집을 앞다투어 출판하였는데, 『간재사고』, 『간재선생문집』그리고 『전우전집』이 그것이다. 이 3종은 서간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구성과 형식, 내용이 일치한다. 따라서 서간문은 전우의 서간을 대하는 제자들의 편찬 방침과 무관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본고는 전우 문집 3종 중 진주에서 간행된 『간재사고』에 수록된 서간문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우선 『간재사고』수록 서간문은 다른 2종과는 달리 서간의 제목이 다르거나, 수신·발신자의 이름이 달라진 경우, 수·발신 연도에 차이가 있는 경우, 글자의 출입이나 내용이 축소 확대된 경우 등이 다수 발견된다. 이 또한 편찬 의도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인명이나 수발신 날짜에 관한 것은 추후 더 면밀한 검토를 통해 편찬자의 의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아마도 『간재사고』편찬자는 나라의 시운에 관계된 내용을 비롯해 일제를 비판하고 폄하하는 표현이나 조선의 멸망에 관한 내용들을 고의로 누락하거나 삭제하여 일제의 검열을 피하려는 의도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보면 『간재사고』는 『간재선생문집』과 『전우전집』과는 다르게 수신자를 표기하는 방법이 다르고, 결자로 처리한 부분과 기존의 내용을 수정한 부분이 존재한다. 이는 『간재사고』를 간행하면서 편찬자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다른 2종과의 수록 양상의 차이는 결국 편찬자의 편찬 의도와 목적, 배경에 의해 편집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편찬자의 의식 반영은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편찬자가 왜 그러한 의식과 행위를 했는지 파악해서 편찬 시대와 편찬자의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편찬자에 의해 편집된 지식이나 내용이 대상 인물을 미화하거나 퇴색시키거나 혹은 왜곡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한 인물의 실상은 그와 관련된 다양한 기록물을 통한 “정본화”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곧 “정본화”의 중요성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After Jeonwoo's death, his disciples rebelled. In order to prove that they are the only students who connect the academic background of Jeonwoo, the disciples of Jeonwoo, who are divided into several factions, compete and publish the collection of writings of their teacher. It is 『Ganjaesago』, 『Ganjaeseonsangmoonjip』, 『Jeonwoojeonjip』. If you look at the works included in these three types, most of the compositions, forms, and contents are consistent except for the letters. The difference in the contents of the letter is not irrelevant to the compilation policy of his disciples dealing with the letter.
    This paper examined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book contained in 『Ganjaesago』published in Jinju among the three literary works of 『Ganjaesago』. First of all, it is found that the contents of individual letters have been reduced unlike the other two types of letters in 『Ganjaesago』. In addition, it can be found that the title of the letter is different, the names of the recipient and the sender are differen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year of receipt and sending, or the entry or content of the letter is reduced and enlarged. This is also believed to be due to the intention of compilation. Regarding the person's name, reception, and sending dat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ntention of the compilator through a closer review later. In terms of content alone, however, it can be assumed that the publisher of this book was intended to avoid Japanese censorship by intentionally omitting or deleting expressions that criticize and denigrate Japan and the destruction of Joseon,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fate of the country.
    In the end, the difference from these two other types of Ganjae literature shows a comrade edited by the compilation intention, purpose, and background of the compilation. The reflection of the editor's consciousness has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in two aspects. One is the study of the editor's attitude, which is to understand the time and the editor by understanding why the editor performed such rituals and actions. Another is to recognize that the knowledge or content edited by the editor has the potential to glorify, fade, or distort the target person. For this reason, the reality of a character is only possible through "originalization" through various related records. It is the importance of informatization.
    Through 『Ganjaesago』, it was confirmed that 『Ganjaejip』was intended by the publisher of this bo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