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지각 이론의 관점에서 본 현대 중국 애니메이션의 장면 디자인 연구: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강자아(姜子牙)>(2020)에서 구현된 전통 미학적 특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cene Design of Modern Chinese Ani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 Perception Theory: Focusing on the Traditional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Theater's Featured Animation Leg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21.06
30P 미리보기
시지각 이론의 관점에서 본 현대 중국 애니메이션의 장면 디자인 연구: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lt;강자아(姜子牙)&gt;(2020)에서 구현된 전통 미학적 특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문화 / 38호 / 105 ~ 134페이지
    · 저자명 : 유춘뢰, 문현선

    초록

    2020년 중국 현지에서 개봉한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강자아>는 이른바 중국풍(中國風) 애니메이션의 대표작으로서 스토리텔링의 빈약함과 캐릭터의 생동감 부족 등을 지적받았지만, 조형적인 측면에서는 회화 및 서예 미학의 전통을 계승하고 시각적으로 구현하는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전통 미학의 구현은 중국 애니메이션이 초기 역사부터 줄기차게 추구해왔던 방향성과도 일치하지만, 구체적인 애니메이션 작품에 대한 적용에서는 여전히 엇갈리는 견해들이 존재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게슈탈트 심리학에 입각한 루돌프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적용하여 중국 전통 미학 중 정중동(靜中動), 허실상생(虚实相生), 관물취상(觀物取象)이라는 세 가지 미학적 특징을 보다 객관적으로 해명하고, 이러한 특징들이 <강자아>라는 구체적인 애니메이션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과 애니메이션, 중국 전통 미학의 이론적 기초를 고찰하고, 시지각 이론이 예술과 시지각 사이의 관계를 논의하는 방식이 전통 미학의 의상론(意象論)의 특징적 사유와 상통함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이론적 공통성을 전제로 애니메이션 <강자아>가 대칭 속의 비대칭에 의한 고요 속의 운동을 추동하고, 가시성에 의 한 비가시성의 강조를 통해 현실의 비현실성과 비현실의 리얼리티를 표현함으로써 서사의 결핍을 보완하며, 장면화된 객관적 이미지의 표현성과 예술가 및 관객의 주관적 지각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통 미학 속의 의상을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Legend of Deification”(姜子牙), a feature-length animation released in China in 2020, has been pointed highlighted as a representative work of so-called Chinese-style animation for its poor storytelling and lack of character vitality, However, in terms of its formative aspects, it is said to have succeeded in inheriting and visualizing the tradition of painting and calligraphy. The implementation of traditional aesthetics is consistent with the direction that Chinese animation has pursued steadily since its early history, but there are still mixed views on the specific application of the animation genre. This paper applies Rudolf Arnheim's visual perception theory based on Gestalt psychology to more objectively explain the three features of traditional Chinese aesthetics: the combination of dynamic and static(靜中動), mutual promotion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虛實相生), and images abstracting from viewing(觀物取象), and how they are embodied in the concrete animation “Legend of Deification” We first consider the theoretical basis of Arnheim's theory of visual perception, animation, and traditional Chinese aesthetics, explaining how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visual perception by Arnheim is consistent with the logic characterizing traditional aesthetics. Next, we confirm that, on the premise of this theoretical commonality, the animation “Legend of Deification” has succeeded in animating costumes using traditional aesthetics by driving motion in silence by symmetry, expressing unrealistic reality and unrealistic reality by highlighting visi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