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엘리아데의 신화적 공간론에 입각한 한국적 신화원형공간에 관한 연구 -수직축과 천(圓)·지(方)·인(角)합일의 구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Archetype Space of the Mythology Based on the Eliade’s Mythic Geography -Focusing on the Structure of the Vertical axis and the Union of Heaven(circle)· Earth(square)· Human(pyra)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2.11
14P 미리보기
엘리아데의 신화적 공간론에 입각한 한국적 신화원형공간에 관한 연구 -수직축과 천(圓)·지(方)·인(角)합일의 구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25권 / 4호 / 101 ~ 114페이지
    · 저자명 : 배강원, 박혜경

    초록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세계화 논의의 공통된 특징은 그것이 무엇이든 다른 문화에 끌려가는 것이 되어서는 안 되며 우리 고유문화와 전통에 닿아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사회에서 인간이 하는 책임 있는 행위는 모두가 신화적인 모델, 즉 원형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엘리아데의 신화적 공간론을 바탕으로 중심의 상징개념을 원용(援用)하여, 고대건축공간에 표상된 한국적 신화원형 공간구조의 중심개념을 밝혀보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말하자면 신화 속에 투영되어 있는 공간개념과 구조가 한국고대 공간조영 정신과 방법에 반영되어 있다고 보고, 사례를 통하여 간략하게 검증함으로서 고대건축에 내재해 있는 ‘중심’의 조영원리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가장 보편적으로 전승되고 있는 건국시조신화로서 단군신화 및 주몽, 혁거세 신화를 대상으로, 선택한 신화에 투영된 공간개념이 건축공간에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 분석하기 위해 신화시대에 건립된 한국고대 건축공간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신화적 공간개념이 건축공간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를 확인해 봄으로써, 한국적 원형공간관념의 한 면을 밝혀보려는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Recently appearing as the common feature in the debate on globalization, whatever it is that the slaughter should not be in a different culture and our unique culture and traditions is that it must touch. In traditional societies, where human activity is responsible for all myths in model, i.e., a prototype exists. In this paper, the center of Eliade’s mythic symbol of the modern view of space contains some serious problems, based on the concept of fighters in ancient Korean mythology. The concept of symbolized architectural space exists at the center of spatial archetype structures that are intended for robbery. To say that myth is reflected in the concept of space and structural space imaging of ancient Korea reports that the spirit is reflected, This is validated in a brief case study of how ancient architecture inherent in the ‘center’ clarifies the principle of contrast.
    This study is most commonly inherited as the founding myth of Dangun and Jumong and the myth of Hyeokgeose, the founder, as the target, Theselected mythical concept of architectural space in a projected space is a form of time in which to analyze the myth of ancient architecture, built in South Korea, where this type of space is analyzed in this study. Mythic space through which the concept of architectural space and a method of verifying the projection by investigating one side of the Korean archetype space are investig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