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저개발 세계의기초교육과 시청각교육-유네스코의 활동과 한국 신생활교육원을 중심으로- (Fundamental Education and Audio-visual Education in the Underdeveloped World in the 1950s-Focusing on UNESCO’s Activities andthe Korean Fundamental Education Center-)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22.05
34P 미리보기
1950년대 저개발 세계의기초교육과 시청각교육-유네스코의 활동과 한국 신생활교육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65호 / 373 ~ 406페이지
    · 저자명 : 공영민

    초록

    이 글은 유네스코가 저개발 세계에서 수행한 ‘기초교육’과 이를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청각 미디어와 시청각 교재가 활용된 방식을 살펴보고, 기초교육과 시청각교육이 한국에서 진행된 과정과 의미를 신생활교육원과 한국 공보실 영화제작소의 교육영화를 통해 밝힌다. 유네스코가 수행한 세계적인 차원의 교육 원조 활동의 결과로 설립한 신생활교육원은 한국에서 시청각 미디어가 전파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기초교육 전문가 양성기관인 신생활교육원의 교육과정과 기관이 배출한 농촌교도원들은 미국이 저개발 세계 원조의 일환으로 진행한 농촌 환경 개선 프로젝트인 지역사회개발사업과 깊은 연관이 있다. 기초교육을 통한 농촌 개조라는 공통의 목표 아래 한국의 농촌지역에서 맞물린 국제기구들의 관계망은 미국과 소련이 냉전의 접경에서 벌인 치열한 경쟁을 대변한다. 농촌교도원들의 교육 활동과 시청각 교재의 활용은 한국 정부 부처와 미국 원조기구가 합자해 생산․배포한 농촌계몽을 위한 교육영화에서 핵심적인 주제로 구성되었다. 1950년대 한국농촌에서 일어난 ‘기초교육’과 ‘지역사회개발사업’의 조우를 통해 결과적으로 기초교육을 위한 매개로서의 시청각 교재가 한국을 비롯한 저개발 세계에서 영화와 라디오를 비롯한 시청각 미디어의 확산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how UNESCO actively conducted “Fundamental Education” in the underdeveloped world and used audio-visual media and audio-visual aids as a means of assistance, and revealed the process and meaning of Fundamental Education in Korea through the Korean Fundamental Education Center(KORFEC) and the educational films of OPI Motion Picture Production Laboratory. The background to the spread of audio-visual media in Korea was the global educational aid activities carried out by UNESCO. As a result, the KORFEC, an institution for nurturing Fundamental Education experts,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The network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terlocked in rural areas of Korea under the common goal of rural reform through Fundamental Education represents the fierce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t the border of the Cold Wa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community leaders and the use of audio-visual materials were composed of key themes in the educational film for rural enlightenment produced and distributed jointly by the Korean government ministries and the US aid agencies. Through the encounter of “Fundamental Educ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that occurred in Korean rural areas in the 1950s, it was confirmed that audio-visual aids as a medium of Fundamental Education influenced the spread of audiovisual media, including movies and radio in Korea and other underdeveloped world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