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각범혜홍의 천복승고 비판 재검토 - 『천복승고선사어록 』과『선림승보전』의 비교를 중심으로 - (Juefan Huihong’s Critique of Jianfu Chenggu’s Zen Thoughts – A Comparison of Jianfu Chenggu chanshi yulu and Chanlin sengbao zhuan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22.03
30P 미리보기
각범혜홍의 천복승고 비판 재검토 - 『천복승고선사어록 』과『선림승보전』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62호 / 179 ~ 208페이지
    · 저자명 : 마해륜

    초록

    천복승고(薦福承古)의 선사상은 각범혜홍(覺範惠洪)의 『선림승보전』을 통해 비판적 시선으로 이해되면서 온전히 평가되지 못했다. 『천복승고선사어록』을 중심으로 재검토하면 그의 문제의식은 무심을 강조하고 본분사와 활구를 구분하는 데 방점이 있다. 천복승고는 북송대 선종에서 성행하던 활구가 언어를 조작하는 폐단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본분사를 체득한 무심과 구분했고 이를 위해 삼현을 재구성했다.
    천복승고는 삼현은 양종자기와 긴밀하게 연결된다. 현재의 자기에 해당하는 체중현(교학)과 구중현(선학)은 모두 유심(有心)에, 현중현은 공겁이전의 자기로서 무심(無心)에 각각 상응한다. 공겁이전의 자기와 현재의 자기를 무심과 유심으로 구분하고 전자를 향상의 극칙으로 규정한 것이다. 그러나 각범혜홍은 문자와 언어가 활용되는 현재의 자기를 공겁이전의 경지와 구분하지 않았다. 천복승고가 무심을 강조하기 위해 공겁이전과 현재를 구분했던 반면 혜홍에게는 대용현전의 본분사가 실현되는 곳이 현재와 다름이 없다는 관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했다. 이 차이가 혜홍과 승고의 문제의식이 분기하는 지점이다.
    천복승고의 관점은 임제종 황룡파 영원유청과 양기파 대혜종고의 문제의식으로 계승되었으며 남송대 간화선의 방법론을 정립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결과적으로 활구와 본분사는 동등한 위상을 갖추게 되었지만 이에 앞서 천복승고의 문제의식을 통해 활구와 무심은 새로운 활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Master Jianfu Chenggu薦福承古 criticized that the Yuanmen雲門 school’s masters were obsessed with words and phrases, contrary to the fundamental teaching of Yuanmen to which he was a direct successor. A widespread perception at that time was that ultimate enlightenment could be achieved by way of enlightenment through language. Jianfu Chenggu insisted that while realization through crucial phrase活句 has the advantage of solving problems related to Buddhist truth at the linguistic level, it is not the ultimate stage but still a state of language manipul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a unique perspective on Three Misteries and Three Essentials三玄三要 emerged, which explains the practicing crucial phrase in an incomplete stage and recognizes the mindlessness無心 as the best realization. However, this problem has not been understood through the Jianfu Chenggu chanshi yulu薦福承古禪師語錄 until now but has been understood in a refracted form through Juefan Huihong覺範惠洪's Chanlin sengbao zhuan禪林僧寶傳, which belongs to the critical camp. Reviewing the three issues raised by Huihong through the Jianfu Chenggu Chanshi Yulu opens up a new possibility to understand the problematics of Zen Buddhism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from northern Song to southern Song and from Huanglong黃龍 to Yangqi sect楊岐 of Linji臨濟 school more correc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