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감각 이론에 의한 시후각 융합에 관한 연상 메커니즘 연구 - 향수 용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ssociation Mechanism on the Fusion of the Visual and Olfactory Sense by the Theory of Synesthesia - focus on the perfume containter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24.10
23P 미리보기
공감각 이론에 의한 시후각 융합에 관한 연상 메커니즘 연구 - 향수 용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5권 / 5호 / 613 ~ 635페이지
    · 저자명 : 주예요, 민자경

    초록

    오늘날 향수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제품 간의 경쟁도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다. 이와함께 물질적 생활 수준이 계속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들이 향수를 구매하는 이유는 더 이상 상황에 따른 필요 때문이 아니라, 자신의 감각적 경험과 자기만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변화했다. 따라서소비자들의 물질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정서적 요구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향 타입의 특성과 의미론적 선호도를 이해하는 것으로, 즉 향 타입과 감성 평가 단어의 상관관계를탐구하고 성별에 대해 향수 용기의 차이 연구를 한다. 디자이너가 소비자의 감각적 경험에 일치하는향수 용기를 디자인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 및 디자인 전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조사 방법과 사례 분석 방법으로 향수 용기 디자인의 주요 요소(색상, 형태, 재질)를 정리하여 다음에 문헌조사로 의미 형용사를 선정하고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시후각 융합의 공감각 실험을 실행했다. 실험 데이터는 SPSS로 신뢰성 분석, 평균치 분석, 상관관계 분석, 주성분 분석 및 독립표본 T검정 분석 등 데이터 처리하여 실험 데이터의 신뢰성, 향 타입과 향수 용기 시각적 요소 간의 의미론적 선호도 차이 및 상관 관계, 향의 시각 특성, 성별 차이로 인한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 분석 결과를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향기와 시각 및 후각 요소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이 있다. (2) 향수 조성의차이에 기초하여 시각적 의미 평가어에 대한 피험자의 판단 및 연결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3) 향과시각적 요소에 대한 남성과 여성의 성별 연상적 차이는 주로 색상에 반영되고 재질은 차이가 있지만영향이 적었으며 형태에는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향수 소비자의 감각 경험에부합하는 향수 용기 디자인을 공식화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와 특정 전략을 제공하길 희망한다.

    영어초록

    Nowadays, the fragrance market continues to grow, and the competition between products isbecoming increasingly intense. Meanwhile, as material living standards continue to rise,consumers are buying perfume not out of necessity, but to satisfy their sensory experiences andpersonal satisfaction. So While meeting the material needs of consumers, attention should also bepaid to emotional need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semanticpreferences of different fragrance types, specifically by exploring the correlation betweenfragrance types and emotional evaluation words, and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in perfumecontainer. This provides fundamental data and design strategies for designers to create perfumecontainer that aligns with consumers’ sensory experiences. In this study, the main factors(color,shape, and material) of perfume container design were summarized by literature study and caseanalysis method. Then, semantic adjectives were selected by literature study. Finally, asynesthesia experiment of visual and olfactory sense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experimental data were processed by SPSS for reliability analysis, Mean value analysis,correlation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reliability of experimental data, semantic preference differences and correlation between aromatypes and visual elements of perfume containers, aroma types visual characteristics, the effectsof gender differences were discussed.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ragrance and visual as well as olfactory factors. (2) Basedon differences in fragrance composi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ipants’judgments and associations with visual meaning evaluation words. (3) Gender differences infragrance and visual elements are primarily reflected in color, with material showing somedifferences but less impact, and shape showing minimal differences. This study hopes to providetheoretical foundations and specific strategies for designing perfume container that aligns withconsumers’ sensory experi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