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조의 致祭文과 통치활동에 대한 고찰-장서각 소장 致祭文을 중심으로- (Study on Jeongjo's Sacrificial Writing and Governing Activities -Focused on Sacrificial Writing, the director of Jangseogak-)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21.10
34P 미리보기
정조의 致祭文과 통치활동에 대한 고찰-장서각 소장 致祭文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46호 / 89 ~ 122페이지
    · 저자명 : 박용만

    초록

    정조는 『홍재전서』에 430편의 哀祭類 산문을 많이 남기고 있는데, 이것은 조선시대 국왕 중에서 매우 이례적인 경우이다. 특히 애제류 산문에서 신하에게 내린 치제문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그의 문학적 성격뿐만 아니라 당시 정치적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장서각에 소장된 정조의 100여편의 치제문은 『홍재전서』를 비롯한 기존의 역사자료가 가지지 못한 자료적 완정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치제문의 배경과 내용을 온전히 가지고 있어 향후 치제를 통한 정조의 통치행위를 연구하는 단서가 될 것이다.
    신하와 관련된 치제에 한정해야 정조의 통치와 관련성이 드러날 수 있다. 서원은 인물 중심이므로 신하에 내린 치제에 해당한다. 치제문을 통한 정조의 통치활동은 이런 같은 조건에 부합되는 대상 인물을 정리하여 관련지을 수 있다. 정조는 주로 선현, 사도세자 관련 인물, 정조 자신의 세손 및 즉위 이후 측근, 외가인 풍산홍씨가 인물, 노론계 서원의 배향 인물 등에 대해 치제하였다. 정조는 선현을 제사지내는 논리를 자신의 치제에 인용함으로써 정치적으로 활용하였다. 사현의 대상을 확장하고 그 방식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국왕이 신하에게 치제하는 확고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신하의 관점에서 국왕의 치제 또는 치제문은 영예로운 것이었지만 빈번한 치제는 국왕의 권위를 잃게 하는 단서가 되기도 하였다. 정조의 치제문은 자신에게 우호적인 세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지만 동시에 국왕의 권위 정치적 동력을 잃게 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었다.


    주제어 : 正祖, 致祭文, 藏書閣, 祀賢

    영어초록

    King Jeongjo left a lot of 430 prose of sadness in 『Hongjae-jeonseo』, which is a very unusual case among the kings of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in the prose of sadness, the sacrificial writing given to the minister takes up a lot of weight, so it is a material that can grasp the political trend of the time as well as his literary character. Jeongjo's 100 or so sacrificial writing stored in Jangseogak are noteworthy in that they show the completeness of data that existing historical materials, including 『Hongjae-jeonseo』, do not have. As it has the complete background and contents of the dynasty, it will serve as a clue to study Jeongjo's governing behavior through the dynasty in the future.
    Relevance to the reign of King Jeongjo can be revealed only when it is limited to the rulership related to the subjects. Since the Academy is character-centered, it corresponds to the rulership given to the subject. The government activities of King Jeongjo through the rulership can be related by arranging target persons who meet these conditions. King Jeongjo mainly ruled over sage, figures related to Crown Prince Sado, his own descendants and his aides, figures of his mother-in-law, Pungsan-hong, and figures of the Noron-gye Academy. Jeongjo used the logic of sacrificing sage politically by citing it in his rule. By expanding the object of ancestral rites and diversifying the methods, the king presented a firm example of how the king ruled to his subjects. However,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ubject, the king's rule or sentence was an honor, but frequent rule was also a clue to the loss of the king's authority. King Jeongjo's rule of law served as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power friendly to him, but at the same time, it had the duality of losing the king's authority and political power.
    key word : King Jeongjo, sacrificial writing, Jangseogak, sacrifice a great pers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