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령 및 굴절이상도에 따른 전방각, 전방깊이 및 전방부피의 변화 (Changes and Correlations of ACA, ACD and ACV by ages and Refractibve Errors)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09.03
9P 미리보기
연령 및 굴절이상도에 따른 전방각, 전방깊이 및 전방부피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시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시과학회지 / 11권 / 1호 / 15 ~ 23페이지
    · 저자명 : 이혜정, 정세준, 백승선, 정미아, 김형진

    초록

    목 적 : 안질환이 없고 건강한 한국 대학생 및 장노년층의 나이에 따른 전방각, 전방깊이
    및 전방부피의 변화와 성별 및 정시와 근시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ntacam을 이
    용하여 전방각, 전방깊이 및 전방부피를 측정하고, 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각막질환이 없고 건강한 대학생 52명(남자 27명, 여자 25명, 평균나이 22.52148
    ±0.62435세)과 장노년층 38명(남자 20명, 여자 18명, 평균 나이 54.45±6.67세) 총 90안을 대
    상으로 Pentacam(Oculus Co.)을 이용하여 전방각, 전방깊이 및 전방부피를 측정하고, 비정시
    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0.75D 및 -1.00D를 기준으
    로 정시(Ave SE : -0.28±0.33D) 및 근시(Ave SE : -3.12±1.51D)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대학생의 평균 전방깊이는 3.189±0.20 mm, 전방각은 40.53±5.11°, 전방부피는
    193.49±28.45 mm3였고, 장노년층의 평균 전방깊이는 2.76±0.43 mm, 전방각은 32.64
    ±5.84°, 전방부피는 134.21±28.94 mm3였다. 나이가 증가할수록 전방각, 전방깊이 및 전방
    부피는 줄어들었으나, 남녀 사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방깊이와 전방각(t =
    -47.64, p = 0.00), 전방깊이와 전방부피(t = -38.78, p = 0.00) 및 전방부피와 전방각(t =
    39.48, p = 0.00) 사이는 대학생(각각 t = -50,61 p = 0.00, t = -49.27 p = 0.00, t = 38.81
    p = 0.00) 및 장노년층(각각 t = -31.43 p = 0.00, t = -28.00 p = 0.00, t = 21.20 p = 0.00)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남녀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특히, 대학생의 전방깊이
    와 전방부피는 높은 상관관계(R = 0.89)를 보였다. 자각적 굴절검사에 따른 ±0.75D 및
    -1.00D를 기준으로 정시와 근시로 분류하여 전방깊이, 전방각 및 전방부피를 분석한 결과,
    전방부피와 전방깊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각각 t = -2.25 p = 0.03, t = -2.24, p =
    0.29), 전방각(t = -1.59 p = 0.12)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나이가 증가할수록 전방각, 전방깊이 및 전방부피는 줄어들었으며, 특히 전방각
    은 Shaffer의 분류 grade 4에서 grade 3으로 변하였다. 대학생 및 장노년층 모두에서 전방
    깊이와 전방부피, 전방깊이와 전방각 및 전방부피와 전방각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남녀
    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정시와 근시 집단 사이에서, 전방깊이와 전방부피는 유의한 차이
    를 보였으나, 전방각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어초록

    Purpose : To evaluate changes and correlations of ACA, ACD and ACV by ages
    and refractive errors using Pentacam i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and elderly
    people.
    Methods : 52 healthy eyes(male : 27, female : 25)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38 healthy eyes of elderly people were recruited(average age : 22.52148±0.62435
    years). We measured anterior chamber angle(ACA), anterior chamber depth(ACD),
    anterior chamber volume using Pentacam(Oculus Co.) and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errors(SE) by subjective refraction. 52 undergraduat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emmetropes group(-0.75~+0.75D) and myopes group(> -1.00D). The
    averages SE of emmetropes and myopes groups were -0.28333±0.3255D and
    -3.12162±1.5111D respectively.
    Results : The average ACD, ACA and ACV were 3.18906±0.20435 mm, 40.53019±
    5.10831°, 193.49057±28.45213 mm3 respectively in undergraduate students group
    and 2.76158±0.42819 mm, 32.63947±5.84385°, 134.21053±28.94091 mm respectively
    in elderly group. Increasing age was associate with reduced ACA, ACD and ACV,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y sex.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D
    and ACA(t = -47.64, p = 0.00), between ACD and ACV(t = -38.78, p = 0.00) and
    between ACV and ACA(t = 39.48, p = 0.00) ; t = -50,61 p = 0.00, t = -49.27 p = 0.00, t
    = 38.81 p = 0.00 respectively in undergraduate students group and t = -31.43 p =
    0.00, t = -28.00 p = 0.00, t = 21.20 p = 0.00 respectively in elderly group. Excelle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CD and ACV in undergraduate students group(R =
    0.89).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D and ACV(t = -2.25 p = 0.03, t =
    -2.24, p = 0.29 respectively),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t = -1.59 p =
    0.12) between emmetopes group and myopes group.
    Conclusion : Increasing age was associate with reduced ACA, ACD and ACV ; ACA
    was changed from grade 4 to grade 3 by Shaffer's classification.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D and ACV, between ACD and ACA, between ACV
    and ACA; Especially excelle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CD and ACV in
    undergraduate students group(R = 0.89).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D
    and ACV,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 between emmetropes group and
    myopes grou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시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3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