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각편의 변이양상과 서사적 의미 (A Study of Variation Patterns and Narrative Meaning of Version of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3.12
43P 미리보기
&lt;해와 달이 된 오누이&gt; 각편의 변이양상과 서사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겨레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겨레어문학 / 51호 / 595 ~ 637페이지
    · 저자명 : 조은상

    초록

    이 연구에서는 구비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각편의 변이양상을 살펴보고 변이에 따른 각편의 서사적 특성과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처럼 각편의 변이양상과 변이에 따른 각편의 서사적 특성 및 의미를 탐색하는 것은 설화의 각편이 불완전하거나 잘못 구술된 것으로서가 아니라 하나의 텍스트로서 그것의 고유한 의미를 인정하는 것이며 <해와 달이 된 오누이>가 포함하고 있는 다양한 의미를 찾아낸다는데 의의가 있다.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각편의 변이양상에서 드러나는 서사적 특성은 무엇이고 그것이 이야기 안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를 살펴본 결과 세 가지 정도로 정리해 볼 수 있었다.
    첫 번째, (가)(나)(라), (나)(라), (나-1)(라)는 오누이가 해와 달이 되는 내용의 (다)가 빠지고 호랑이가 죽어 수숫대가 빨갛게 되었다는 유래담으로 이어지는 단락(라)로 끝맺음으로써 오누이의 성취와 변화보다 호랑이의 패배와 징치가 강조되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가)(나)(라)에서 (나)(라), (나-1)(라)로 갈수록 이야기의 주체로서 오누이가 아닌 호랑이의 공격 대상, 먹잇감으로서의 사람으로 바뀌고 있었다. 이것은 오누이 이야기가 아니라 호랑이 이야기로 바뀌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각편의 변이가 드러내는 서사적 특성은 이야기가 ‘사람을 잡아먹으려는 나쁜 호랑이는 마땅히 벌을 받아야 한다’는 의미를 드러내는데 기여하고 있다.
    두 번째, (가-1)은 남자와 바람이 나서 아이들을 버리고 나가는 어머니거나 아이들을 죽이려고 하는 계모의 모습이 드러난다. 이들은 자신의 의지로 오누이를 해하려한다는 ‘나쁜 어머니’의 모습이 강조되는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이야기의 후반부에 호랑이가 패배하고 징치되는 (라)의 내용으로 끝나는 것은 어머니가 벌을 받는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 각편의 변이가 드러내는 서사적 특성은 이야기가 ‘아이들을 돌보지 않는 어머니는 마땅히 벌을 받아야 한다’는 의미를 드러내는데 기여하고 있다.
    세 번째, (가-2)에서 어머니가 호랑이에게 죽임을 당하지 않고 살아남는 각편들은 조금씩 차이는 있었지만 오누이가 호랑이와 맞서 능력을 발휘하지 못해 죽음을 맞이하거나 스스로 지혜를 발휘하기는커녕 투정부리는 철없는 어린 아이로 남게 되어 무력한 오누이의 모습이 강조되는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이야기의 특성은 ‘스스로 호랑이를 물리치지 못하는 오누이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의미를 드러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각편의 변이는 서사적 특성을 드러내고 그것은 이야기 안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전달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비교해볼 때 <해와 달이 된 오누이>가 가장 풍부하게 구술된 각편은 오누이의 승리와 변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patterns of version of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and figure out its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The version of the oral folktale has meaning as a single text, not as an incomplete or wrongly described on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tried to discover diverse meanings in the Korean folktal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discovered in the various patterns of the version of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are as follows:First, in (A)(B)(D), (B)(D) and (B-1)(D), a tiger’s defeat and discipline instead of the siblings’ achievements and changes were emphasized. As the story developed from (A)(B)(D) to (B)(D) and (B-1)(D), the focus changed from the siblings to the tiger to emphasize the lesson, ‘a bad tiger that attacks a human must be punished.’Second, in (A-1), a mother who ran off leaving the siblings alone and a stepmother who plotted to kill them are described. They reveal the aspect of ‘bad mother.’ These narrative characteristics deliver a lesson of ‘a mother who does not take care of her child must be punished.’Third, in (A-2) in which a mother survives a tiger attack, the siblings who are unable to fight against the predator and eventually die or just thoughtless siblings are mentioned, which emphasizes a lesson of ‘the siblings who fail to defeat a tiger cannot survive.’In other words,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variation in the version has been helpful in revealing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delivering a different meaning in the story. Compared to this, it’s been confirmed that the version in which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is told in the richest narrative focuses on the victory and changes of the sibl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겨레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