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서각 소장 보물 『楞嚴經』과 『圓覺經』의 인쇄문화적 가치 (Printing-cultural Values of Śūrangama-sūtra and Sutra of Perfect Enlishtenment, Treasures Owned by Changseo-gak)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08.12
27P 미리보기
장서각 소장 보물 『楞嚴經』과 『圓覺經』의 인쇄문화적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20호 / 5 ~ 31페이지
    · 저자명 : 옥영정

    초록

    이 연구는 조선 세조 때 간행된 한글본 『능엄경』과 구결본 『원각경』에 대하여 현존본을 중심으로 인쇄문화적 측면에서 다루어본 것이다. 인쇄문화적 가치를 중점적으로 살펴본 것은 장서각 소장의 보물 『능엄경』과 『원각경』이 모두 한국 인쇄문화의 진면목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이며, 각 책이 한국고인쇄사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간경도감과 금속활자불경 중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료이기 때문이다. 보물로 지정된 이유 중의 하나도 이러한 인쇄문화적 가치를 높이 평가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서지학과 국어사자료로서 이 책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간행기관인 간경도감과 이를 설치한 세조의 불경간행사실과 깊은 연관이 있다. 이 글에서는 간행이 이루어지까지의 배경과 각 경전의 인쇄문화적 의미를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점검해보았다. 더불어 현존본으로 전해지는 자료에 대하여 정리하고 판본의 계통과 그 실제 상태를 파악하였다. 『능엄경』은 세조 8년(1462)에 간경도감에서 세조의 명으로 번역하여 간행한 언해본이다. 특히 이 간경도감본은 信眉, 韓繼禧, 金守溫 등 당대의 고승과 학자를 동원하여 국역하고 교열하여 乙亥字 및 한글 활자로 인출하였던 것을 토대로 교정하여 다시 목판본으로 간행한 것으로 校讎學적으로도 유용하게 다루어져야할 자료이다. 『원각경』은 宗密이 疏鈔한 것에 세조가 한글로 구결을 단 것을 세조 11년(1465)에 乙酉字로 인출한 것이다. 을유자는 1465년인 을유년에 鄭蘭宗의 글씨를 글자본으로 주조한 것이다. 간경도감 언해본을 저본으로 경문 및 주석의 한글 구결 부분만을 편집하여 을유자판으로 인출되었으므로 구결은 간경도감본 원각경언해와 일치한다. 이 을유자판 원각경은 주로 불경을 간행할 목적으로 주조된 활자로 인출되어 전래본이 많지 않고 초인본이라 인쇄상태도 깨끗하여 귀한 판본에 속하므로 15세기 국어학 및 서지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활자의 쓰임이나 조판 등 인쇄기술사적으로도 의미있는 내용을 살필 수 있다.

    영어초록

    The author in this study investigated Śūrangama-sūtra (the Korean version) and the Sutra of Perfect Enlishtenment (kugyolbon), two sutras published in the 15th century (under King Seojo), focusing on the existing versions in the printing-cultural aspect. The reason the printing-cultural aspect was focused is that the both sutras as Treasures owned by Changseo-gak are superior materials showing true characters of Korea's printing culture and that each of them serve as important materials among Gangyeongdogam and metal printing type sutras, which are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Korean ancient printing. Due do their printing-cultural values, the two sutras were designated by Treasures.
    The importance of the sutras as the materials of bibliography and history of Korean language is closely related to Gangyeongdogam, the publishing agency, and the activity of sutra publishing of King Seojo, who established the agency. In this study, the background of the publishing and the printing-cultural significance of each sutra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researches. Furthermore, the author reviewed the materials as the existing versions and identified the distributions of editions and their actual conditions.
    Śūrangama-sūtra is a Korean version that was translated and published by Gangyeongdogam under the order of King Seojo (in the 8th year of his reign, or 1462). This version of Gangyeongdogam, in particular, should be usefully treated in the aspect of textual bibliography because it was corrected and published with wood-block prints based on the version that was translated and reviewed to be Korean by high priests and great Confucianists such as Shin Mi, Han Kye Hee, and Kim Su On and printed with Eul-yu-ja type.
    The Sutra of Perfect Enlishtenment was interpreted by Jong Mil, added of kugyols by King Seojo, and printed with Eul-yu-ja type in the 11th year of his reign, or 1465. Eul-yu-ja type was made on the basis of the handwritings of Chung Nan Jong in 1465 (Lunar year of Eul-yu). Although based on the Korean version of Gangyeongdogam, it contained only the edited parts of the korean kugyols from the sutras and notes, printed with Eul-yu-ja. Therefore its kugyols are identical with those of the Korean version of Sutra of Perfect Enlishtenment published by Gangyeongdogam. This Sutra of Perfect Enlishtenment with Eul-yu-ja is a significant material in the study of the 15th-century national language and bibliography, for it has few transmitted copies because it printed with types that were mainly made in order to publish sutras and it is one of rare versions because it was the first-printed one with clear prin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