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世紀 僧匠의 建築術 硏究 - 覺元을 中心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Skills of Buddhist Carpenter-Monks in the 17th Century - With the Focus on Buddhist Priest Gakwon -)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1.06
19P 미리보기
17世紀 僧匠의 建築術 硏究 - 覺元을 中心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12호 / 149 ~ 167페이지
    · 저자명 : 오세덕

    초록

    임진왜란 이후 재건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던 사원의 재건불사는 주로 승려장인 그룹에 의해 주도되었다. 그 가운데 17세기 승장의 건축술 연구라는 주제로 진행된 본 논문에서는 17세기 중·후반경 대구 팔공산 일대에서 활동이 돋보이는 승장 覺元[圓]에 주목하여 그의 건축적 특징을 규명하였다. 또한 각사찰에 남아 있는 懸板과 事蹟記, 記文등 각종 문헌자료와 전각의 해체수리 과정에서 확인되는 종도리묵서명을 비롯한 上樑文등의 신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각원의 건축적 특징을 바탕으로 그의 계보를 파악해 보는 시도를 하였다.
    우선 첫 번째로 각 사찰에 남아 있는 記文과 새로 발견된 종도리 묵서명에 의거하여 覺元의 활동지역을 토대로 하여 그의 건적 및 협의의 계보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 승장으로서 각원의 활동은1649-1659년까지 약 10년동안 팔공산의 송림사와 북지장사 그리고 청도 운문사의 재건불사에서 대목으로 활동한 내용이 확인되었다. 특히 각원의 기술을 계승한 것으로 보이는 戒衍은 1653-1678년까지 약 20년 간의 활동 건적이 확인되는데 청도 운문사와 산청 율곡사이다. 性坦도 1645-1655년까지 활동했던 승장으로 은해사 백흥암을 비롯하여 운문사 등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상의 기록들을 종합해 보면 각원과 그의 계파의 활동지역은 대구·팔공산을 중심으로 멀리 지리산 산청까지 범위를 넓혀 경상도와 전라도 일대까지의 활동 건적이 밝혀졌다.
    두 번째로는 각원과 그의 계파에 의한 建跡으로 운문사 대웅보전과 북지장사 대웅전, 율곡사 대웅전의평면과 공포, 가구, 세부기법, 의장관계 등을 검토해 본 결과 전통을 계승한 각원의 건축술을 살펴 볼 수있었다. 즉 각원과 그의 계파에 의한 건축술은 평면구성에서는 대보의 상부 뜬창방과 협칸 공간포의 유기적인 결합 속에 평면이 구성되었고, 공포에서는 古式的요소가 두드러지는 교두형 공포를 차용하고 있는 점을 꼽을 수 있다. 특히 각원 불전에 나타나는 가구수법은, 17세기의 일반적 특징으로 꼽히는 충량을생략하면서 뜬창방과 협칸의 주심포 상부에 위치하는 내목도리벽을 보강하여 가구틀을 구성한 특징이꼽힌다. 또한 세부기법과 의장관계의 분석을 통해 독창적인 천장의 구성방법 및 뜬창방을 이용하여 의장성과 기능성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는 점은 각원 불전에 나타나는 독창적인 건축술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사원 건축에 있어서 동일 도본의 존재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시사하였다.
    이와 같이 각원 불전에 나타나는 건축술의 분석을 통해 운문사의 대웅보전과 함께 관음전이나 대비사의 대웅전, 송림사 대웅전 등이 모두 각원의 건축적 영향관계 속에서 형성된 17세기 중반경의 불전임을밝히고 조영시기를 재편년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architectural skills of Gakwon, one of the Buddhist carpenter-monks active in the Palgongsan Mountain region in Daegu during the 17th century. To begin with, the areas where he carried out his religious activities and his genealogy were checked based on such materials as jongdori (the framework of a traditional Korean house) and mukseomyeong (inscriptions made in black ink), which were found in temples disassembled for repair, as well as on literary materials kept at temples. These items tell us that Gakwon was a “carpenter-monk” who worked at temples, including Songnimsa, Unmunsa and Bukjijangsa, for about ten years. The period and the area, in which Buddhist Priests Gyeyeon and Seongtan worked, learning their skills from Gakwon, were also confirmed.


    Then, a review was conducted of the planing technique, eave supports, furniture, detailing techniques and decorations appearing in the main halls of the aforesaid temples, in which traces of Gakwon’s work remain, in order to identify unique carpentry skills by comparing them with other leading Buddhist buildings dating back to the 17th century. It was found that those built by Gakwon feature a technique in which transverse beams could be dispensed with by properly adjusting the distances between the wooden members. An analysis of the detailing techniques and decorations also revealed that carpenters belonging to the Gakwon School of carpentry used highly creative techniques.


    Finally, it was possible to estimate that the main halls of the aforesaid temples at the foot of Palgongsan Mountain were built in the mid-17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Gakwon via an analysis of the Buddhist temples built by his follow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