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지각 원리를 통한 복합 쇼핑몰 입구공간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Entrance Space of Complex Shopping Mall Based on Visual Perception Theory)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21.06
12P 미리보기
시지각 원리를 통한 복합 쇼핑몰 입구공간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4호 / 241 ~ 252페이지
    · 저자명 : 반해택, 조택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사회 경제가 끊임없이 발전하면서 물질적인 생활 수준이 향상했고 다양한 소비 행위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복합 쇼핑몰의 발전도 촉진되었다. 복합 쇼핑몰은 소비자의 더 많은 소비 욕구와 소비 체험을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복합 쇼핑몰 입구공간은 내외부를 연결하는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단일 설계 기법으로 완성하여 단순하고 투박한 모습을 보이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들은 소비자를 끌어들이지 못하고 부정적인 감정으로 이어지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지각 원리에 근거하여 복합 쇼핑몰의 입구공간을 설계하면 기존의 상업 시설과 차별화된 경험을 이끌어낼 것으로 예측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먼저 복합 쇼핑몰 입구 공간에 대해 현대 건축 사례를 기반으로 정리한다. 또한 시지각 원리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이를 적용한 입구공간의 시각적 특성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복합 쇼핑몰의 입구 공간에 대해 우수하다고 평가받는 설계 사례를 우리가 도출한 특성을 기준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최근 가장 우수하다고 평가받는 사례가 가진 시지각적 특성과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결과) 복합 쇼핑몰 입구공간의 5가지 시지각 특성을 바탕으로 5가지 사례를 분석한 결과 유도성이 가장 두드러진 특성임을 확인했다, 둘째는 선택성, 셋째는 융합성과 투명성이었다. 제일 적게 나타난 특성은 모호성이었다. 복합 쇼핑몰 입구공간은 소비자를 신체적으로 방향을 유도하는 동시에 소비자의 정신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유도해 서로 다른 심리적 변화를 유도하고 있어 선도성이 가장 높다. 또한 건축의 주제와 기능을 강조하고 전체 구도의 중심축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선택성도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하지만 복합 쇼핑몰의 입구 공간은 형태적으로 명확해 모호성이 가져오는 효과는 낮을 것으로 보인다. (결론) 시지각 원리는 시각적 주의 과정에서부터 인지 과정까지 다루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최종적인 인식 결과를 강조한다. 따라서 인간의 시지각적 경험이라는 포괄적인 관점에서 모호성, 유도성, 융합성, 선택성, 투명성이라는 시지각으로부터 발생한 경험 측면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 가장 대표적인 복합 쇼핑몰에서 드러나는 특성을 분석했으묘 우수한 건축으로 평가 받는 복합 쇼핑몰의 입구공간은 전체 공간 구성에서 중심적인 공간 중 하나로 기능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와 동시에 입구공간은 복합 쇼핑몰과 소비자 그리고 도시 공간을 연결하는 기능을 하고 있었다. 즉, 우수한 건축 사례는 미적으로 시선을 끌 뿐만 아니라, 복합 쇼핑몰과 소비자 그리고 도시의 공공공간을 연결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social economy and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material living standards, a variety of consumption behaviors now exist. The development of a complex shopping mall has also been promoted. At present, most of the entrance space of a complex shopping mall is only completed by a single design technique connecting the inside and outside, which is simple and rough. These problems will lead to a series of negative effects such as the inability to attract consumers, invoking negative emotions in customers, and so on. This study designed the entrance space of the complex shopping mall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visual perception theory, which is expected to bring a different experience from the existing complex shopping mall. (Method) Based on modern architectural examples, this study first sorted out the entrance space of a complex shopping mall. Through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the principle of visual percepti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entrance space applicable to the principle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we derived, this study analyzed the design examples of the entrance space of the integrated commercial facility that was rated as excellent. From this, we can analyze the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he recently rated best cases. (Results) Based on the five visual and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entrance space of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the results of the five cases’ analyses show that guiding is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followed by selectivity, and the third is integration and transparency. The least is fuzziness. While the complex shopping mall entrance space guides consumers into the physical space, it also actively induces the spiritual level of consumers, causing different psychological changes; thus, the percentage of guiding is the highest. Selectivity is important from the viewpoint of emphasizing the theme and function of the building as the central axis of the overall composition. However, the entrance space of the complex shopping mall has a clear shape, so the effect of fuzziness is low. (Conclusions) The principle of visual perception focuses on the final cognitive outcome based on the process from visual attention to cognitive process. Therefore, from the comprehensive view of human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as well as the perspective of fuzziness, inducement, fusion, selectivity and transparency,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are obtained. On this basis,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st representative modern complex shopping mall and finds that its entrance space, which is evaluated as an excellent building, is one of the central spaces in the whole space composition. Simultaneously, the entrance space has the function of connecting the integrated complex shopping mall with the consumers and the urban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