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奎章閣 所藏 中國本에 압인된 正祖 藏書印 고찰 (On the Jeongjo's Collection Seals Imprinted on the Kyujanggak books printed in Chin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5.12
36P 미리보기
奎章閣 所藏 中國本에 압인된 正祖 藏書印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60호 / 339 ~ 374페이지
    · 저자명 : 백승호, 김영진, 박철상

    초록

    정조는 장서인을 본격적으로 사용한 조선의 국왕이었다. 현재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는 정조의 장서인이 압인된 중국본 104종의 서적이 소장되어 있다. 본 연구는 정조의 중국본 장서를 대상으로 중국본에 압인된 정조 장서인의 인문을 정리하여 정조 장서인의 실제를 보이고, 그 압인 방식과 특징을 밝혔다. 그리하여 장서인의 인문에 나타난 그의 학문적, 정치적 지향을 조명하였고, 그의 중국본 독서 편력을 일부나마 역으로 추적하였다.
    규장각에 현전하는 정조의 중국본 장서 규모는 총 104종 6431책이며, 중국본에 압인된 정조의 장서인은 모두 33종이었다. 그 가운데 別號印이 11종, 身分印이 11종, 齋館印이 2종, 收藏印이 3종, 紀年印 1종, 閑文印이 5종이었다. 중국본에만 쓰인 장서인은 별호인 <顧菴藏>, 수장인 <傳世寶藏>, <朝鮮國>, 기년인 <己卯受冊辛巳齒學>, 한문인 <震離相生>, <讀書之樂何處尋 數點梅花天地心>이 있었다.
    정조 장서인의 특징은 사대부들처럼 본관, 이름, 자를 나타내는 姓名印, 字號印, 鄕貫印이 없다는 점이다. 대신 그는 별호인, 신분인, 한문인 또는 수장인을 주로 사용했다. 조선본은 약 75%정도 인장을 2과만 압인하는데 비해, 중국본은 2과의 인장과 3과 이상의 인장을 거의 비슷하게 압인했다. 또한 정조는 중국본에도 세손 시절 사용하던 인장과 즉위 후 사용하던 인장을 구별하여 사용했다. 인문이 같더라도 세손 때 사용한 것과 별개의 장서인을 제작하여 사용한 경우도 있다.
    중국본의 압인 방식은 조선본과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세손 시절 압인한 장서인의 경우 조선본과 유사하게 제1행 또는 제2행을 띄우고 2행-4행 사이에 압인하였다. 예외적으로 <觀物軒>, <貳極之章>의 경우는 우측 하단 광각에 가깝게 붙여서 찍었다. 그리고 <春宮小璽>, <翰墨寶藏> 같은 큰 인장은 권수면 상단 중앙에 압인했다. 즉위 후에는 권수 제1면부터 장서인을 압인했다. <朝鮮國>, <弘齋>, <萬幾之暇>를 조합하여 압인하였는데, <朝鮮國>은 서문이 실려 있는 제1책 제1면 우측 상단에 광각에 가깝게 압인하였고, 이와 짝이 되는 <弘齋>, <萬幾之暇> 등의 인장은 서문이 끝나고 권1이 시작하는 권수에 압인하였다. 이후 제2책부터는 권수 면에 위 인장들을 함게 압인하였다.
    정조는 대체적으로 경전류, 역사서와 같이 서적의 내용에 따라 인장을 구분하여 사용했다. 먼저 세손 시절 수득한 책에 압인한 사례를 정리하면, 경부에는 <顧菴藏>, <震宮之章>, <己卯受冊辛巳齒> 또는 <弘齋>, <承華藏圭>, <大文章自六經來/讀書有三到眼到口到心到/作文有三到氣到神到識到>를, 자부에는 <弘齋>, <承華藏圭>, 집부에는 <觀物軒>, <貳極之章>을 압인하는 경우가 많았다. 즉위 후에는 사부 분류에 상관없이 <朝鮮國>, <弘齋>, <萬機之暇>를 조합하여 압인하는 경우가 많았다.

    영어초록

    Jeongjo was the king who had many collection seals. There are 104 old books of 6431 volumes which were printed in China and sealed by his collection seals. This thesis focused on the reading of phrases of the collection seals, and decoding the way of sealing, to show his political and academic intention.
    There are 33 collection seals, which were sealed in Chinese printed books, of which, there are 11 Byolho(literary name) seals, 11 Sinbun (identification) seals, 2 Jaeguan(house or room name) seals, 3 Sujang (storage) seals, 1 Ginyeon(year record) seal, 5 Hanmun seals. The seals especially used on the books printed in China, was Byolho seal Goamjang, Sujang seal Jeonsebojang, Joseongug, Ginyeon seal Gimyosuchagsinsachihag, Hanmun seal Jinrisangsaeng, Dogseojilaghacheosim Sujeonmaihuacheonjisim.
    The feature of Jeongjo’s collection seal was that he had no Seongmyeong (full name) seal, Jaho seal, Hyangguan(Family Origin) seal. Instead, he used Byolho seals, Sinbun seals, Sujang seals or Hanmun seals. Almost 75% of Korean printed old books were imprinted with 2 seals but half of Chinese printed old books were imprinted with 3 seals. He used different seals between Crown Prince period and King’s reign period.
    The way of sealing on the Chinese printed books was different from the way of sealing on the Korean printed books. The seals were imprinted on the very first page. During the Crown Prince period, the seals were imprinted between 2nd and 4th line with the 1st line being empty. Guanmulheon and Igeugjijang were imprinted in the right and downside of the book’s border. And the big seals, such as Chungungsosae, Hanmugbojang were imprinted the middle upper part of the first page. Joseongug was imprinted the right upper side of the very first page and Hongjae and Mangijiga were followed in the volume’s first page.
    Jeongjo used different collection seals dpending on the contents of the book. During the Crown Prince period, he imprinted Goamjang, Jingungjijang, Gimyosuchagsinsachihag, or Hongjae, Seunghuajanggyu, Daemunjangjayuggyeong- lae on Gyeongbu; Hongjae, Seunghuajanggyu on Jabu, Guanmulheon, Igeugjijang on Jibbu. After he became the king, Joseonggug, Hongjae, Mangijiga were imprinted regardless of the book’s class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