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서각 소장 필사본 『本草綱目』 수록 한글 물명 연구 (A Study of Korean Object Names in the Bonchogangmok Manuscript at the Jangseogak Archive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8 최종저작일 2024.10
39P 미리보기
장서각 소장 필사본 『本草綱目』 수록 한글 물명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52호 / 222 ~ 260페이지
    · 저자명 : 원흔, 조정아

    초록

    본 논문은 그동안 학계에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장서각 소장 필사본 『 本草綱目』 에 기재된 한글 물명의 존재를 소개하고, 揷圖와頭註에 수록된 한글 물명의全貌를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자료에 수록된 한글 물명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 및 두 부분에 수록된 한글 물명에 대한 비교·검토를 진행하여 국어사나 인접 학문에서 자료로 이용하는 데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本草綱目』은 다양한 이본이 전하지만 특히 장서각 소장 필사본은로 문헌학적 가치가 있을 뿐 아니라揷圖와本草綱目圖를 포함하고 있는 필사본이므頭註에 한자 물명에 대한 한글 대응어 표기를 다수 제시하고 있어서 국어사적, 문화사적 가치도 인정되는 자료이지만 아직 학계에 상세히 소개되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서지사항을 검토하여底本인刻本을 그대로 필사하였고, 揷圖도 그대로模寫했음을 확인하였으며, 太和堂 藏書印에 관한정보나 필사자의 인명도 일부 확인하였다. 또한底本과 장서각 소장본을 비교하여 장서각 소장본에서 누락된 부분과 오자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揷圖와頭註에 기재되어 있는 한글 물명의 제시 양상을 밝히고, 한글 물명이 제시된 형식을 유형화하여 살펴보았다. 또揷圖에 226개, 揷圖와頭註에 273개의 한글 물명이 적혀 있으며, 총 499개에이르는 한글 물명의 부류별 분포와 규모를 파악하였다. 한글 물명에 대한 비교·검토는頭註에 수록된 한글 물명을 서로 비교하여 공통으로 수록된 경우, 단독으로 수록된 경우를 나누어 진행하였다.
    揷圖와頭註에 공통 수록된 한글 물명은 표기와 어휘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한글 물명의 표기가 대체로 19세기에 해당한다는 사실과頭註의 표기가揷圖와揷圖의 표기보다 시기가 앞선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각부분에 단독 수록된 한글 물명을 통해서는 수록 범위 및 분포에서 특징을 포착하여頭註에 적힌 한글 물명의 역할 및 용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존 국어사 자료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한글 물명을 확인하고, 현대국어 방언형과연결되는 형태도 상당수 수록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揷圖 수록 한글 물명은 상대적으로 보편적인 한글 물명도 표기하고, 頭註 수록 한글 물명은 보편적인 물명보다는 약재명으로서 전문적인 물명을 수록하고자 하는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이는頭註의 작성자가 약재를 다루거나 약재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진 사람일 가능성이 있음을 추정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Korean object names recorded in the handwritten manuscript of Bonchogangmok (The Great Pharmacopoeia, 目) housed at the Jangseogak Archives, which has not been widely recognized in academic circles. It also seeks to analyze the overall content of these Korean object names found in the illustrations and headnotes of the manuscript. To achieve this, the study conducts foundational research on the Korean object names documented in the manuscript and performs a comparative review of the names in the illustrations and headnotes, aiming to establish a basis for their use as resources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and related fields. Although numerous versions of Bonchogangmok exist, the Jangseogak manuscript is particularly significant for retaining the illustrations of the original, giving it substantial philological value. Additionally, the manuscript contains many Korean equivalents for Chinese object names, appearing in both the illustrations and headnotes, enhancing its importance from linguistic and cultural historical perspectives. The study confirms that the manuscript is a faithful copy of the original Taehwadang edition, accurately replicating its illustrations. A detailed comparison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Jangseogak manuscript was conducted to identify any missing parts and errors in the Jangseogak version The study first categorizes the Korean object names found in the illustrations and headnotes, identifying a total of 499 names—226 in the illustrations and 273 in the headnotes—and analyzing their distribution across different categories. It furth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object names by comparing those recorded in both sections with those appearing only in one. The analysis of variations in Hangeul transcription and vocabulary suggests that the manuscript was likely transcribed in the 19th century, with the Hangeul transcription in the headnotes predating that of the illustrations.
    Furthermore, the study explores the Korean object names unique to each section, identifying specific features regarding their scope and distribution and shedding light on their roles and functions within the manuscript. This process also reveals object names not found in other materials on the history of Korean, many of which correspond to modern Korean dialect forms. Additionally, it is observed that the Korean object names in the illustrations often feature more common names, while those in the headnotes tend to include specialized medicinal terms. This suggests that the transcriber of the headnotes may have been a professional with expertise in medicinal materials or someone directly involved in the practice of medici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