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후기 각범혜홍 시문 저작의 수용 (The Acceptance of Juefan Huihong(覺範慧洪) Poems in the Late Goryeo Period)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8 최종저작일 2024.08
33P 미리보기
고려 후기 각범혜홍 시문 저작의 수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29호 / 261 ~ 293페이지
    · 저자명 : 조명제

    초록

    고려후기에 선종이 불교계를 주도하면서 시문을 매개로 사대부 문인과 선승들이 교유하는 현상이 성행했다. 이러한 양상은 소식, 황정견을 중심으로 한 송의 시문이 고려 선문과 문인계층에 폭넓게 수용되면서 전개되었다. 그런데 소식, 황정견의 시문과 작시법이 고려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각범혜홍의 시문 저작이 매개 역할을 한 것이 주목된다.
    각범은 임제종 황룡파의 선승이며 선림승보전 을 비롯한 다양한 선적을 남겼다. 그런데 각범의 저작은 선적보다 석문문자선 , 냉재야화 와 같은 시문집, 시화집이 동아시아 사상계에 폭넓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저작을 통해 각범은 소식, 황정견의 시문을 가장 많이 제시하고, 환골탈태론을 비롯한 황정견의 작시법을 탁월하게 해설했다. 이러한 작시법은 송 대에 타자의 작품과 문장을 자신의 것으로 바꾸어 재생하는 방법이 성행한 것과 관련된다.
    고려후기 문인과 선승들은 소식, 황정견을 중심으로 한 송의 시문을 수용하고, 그들의 작시법으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았다. 냉재야화 를 비롯한 각범의 저작은 이러한 송 대 시문의 수용, 선종문화의 전개와 관련된다. 자료의 한계가 있지만, 문인과 선승들은 각범의 저작을 통해 소식, 황정견의 작시법을 수용하고 이해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소상팔경시에서 드러나듯이 시와 문인화, 글씨까지 포괄하는 양상으로 이어졌다.
    한편, 선문에서 시문이 성행한 것은 공안선의 유행과 관련되지만, 점차 공안 비평과 무관한 문인문화로서 확산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고려 말에 이르러 선종이 세속화되면서 점차 쇠퇴하는 양상과 관련된다. 아울러 선의 제도화라는 전반적인 흐름과 함께 선의 생명력이 점차 퇴락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In the late Goryeo Dynasty, as the Zen sect led the Buddhist world, the phenomenon of literati scholars and Zen monks interacting through poetry became prevalent. This development was accompanied by the trend that the poetry and prose of the Song, centered around Su-Shi[蘇軾] and Huang TingJian[黃庭堅], were widely accepted by the Zen sect and literary class of the Goreyo dynasty. It is noteworthy that Juefan Huigong[覺範慧洪]'s poetry writings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of acceptance of Su-Shi and Huang TingJian's poetry and their writing methods into Goryeo.
    Juefan, a Zen monk of the Huanglong sect[黃龍派], left behind various Zen text, including Chanlinsengbaochuan[禪林僧寶傳] . An emphasis needs to be placed on the fact that Juefan's works such as ShimenWenziChan[石門文字禪] and Lengzhaiyehua[冷齋夜話] , which are a collection of poems and a kind of critique of collected poems respectively, had a wider influence on the East Asian world of thought than his Zen text did. Juefan’s literary collections presented poetry produced in the period of Song dynasty with a focus on Su-Shi’s and Huang TingJian's poems. Especially, in Lengzhaiyehua[冷齋夜話], Juefan, illustrated Huang TingJian's writing methods in an excellent way, which can be epitomized by his theory of huan gu tuo tai(換骨奪胎). This method of poetry writing is related to the prevalence of the method of representing others' exemplary works and sentences by integrating them into one's own during the Song Dynasty.
    The writers and Zen monks of the late Goryeo Dynasty accepted the poetry of Song centered on Su-Shi and Huang TingJian’s work and were deeply influenced by their writing style. Juefan's works, including Lengzhaiyehua ,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cceptance of poetry of the Song Dynasty and the development of Zen culture. Although historical sources available to now are limited, it appears that the writers and Zen monks accepted and made sense of the methods of poetry writing of Su-Shi and those of Huang TingJian through Juefan's writings. This trend continued to encompass poetry, literary paintings, and calligraphy, as revealed in the Xiaoxiang poetry of Eight Scenery[瀟湘八景詩].
    While the prevalence of poetry in Zen literature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popularity of Gongan Zen, it gradually spread as a literary culture that is distinct from a sphere of the Gongan criticism. This trend can be attributed to the gradual decline of Zen Buddhism as it became secularized toward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In addition, it shows a tendency for the vitality of Zen to gradually decline along with the overall trend of institutionalization of Z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