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시조왕릉의 정자각 내부 의물 연구 (A Study on the Ritual Artifacts within a T-shaped Building in front of the Royal Mausoleums for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8 최종저작일 2012.06
18P 미리보기
조선 시조왕릉의 정자각 내부 의물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 수록지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 / 15권 / 2호 / 9 ~ 26페이지
    · 저자명 : 장경희

    초록

    조선 시조왕릉은 태조 이성계의 선대에 해당되는 8기의 왕릉이다. 조선 이전까지 시조에 대한 개념이 없었다. 그러나 조선이 유교를 국시로 삼으면서, 이성계의 4대((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를 왕으로 추숭하였고, 그들의 무덤을 왕릉을 조성하게 되었다. 곧 정화릉, 의릉, 순릉, 지릉, 숙릉, 덕안릉이 그것들이다. 이렇게 역사적 의미를 지닌 시조왕릉은 현재 북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시조왕릉은 지금까지 한 번도 연구된 적이 없어 그 연구사적인 가치가 매우 높다. 조선왕릉은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는데, 시조왕릉까지 포함되어야 온전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고에서는 시조왕릉을 대상으로 제례공간인 정자각과 그 내부의 의물을 남북 최초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시조왕릉의 조성 시기는 조선의 건국 이후 다른 왕릉보다 먼저 이뤄졌음을 알게 되었다. 다음으로 왕릉에서 제사를 위해 정자각을 조성하였고, 그곳에 화문석으로 짠 지의를 깔고, 제상을 배치하였다. 특히 사진으로 남아있는 시조왕릉의 내부 모습을 통해 향후 조선 왕릉의 정자각 내부를 복원하는데 참고가 될 만하였다.
    한편 시조에 대한 제사의례는 국왕의 것과 달랐다. 조선의 왕이나 왕비는 그가 돌아가신 날을 비롯하여 사시(四時)와 속절(俗節) 등 여러 차례 제사를 드리고 있었다. 그러나 시조들에게는 한식(寒食)에만 제사를 드렸다. 이로 미루어 조선 건국 이전의 시조와 조선을 다스린 국왕의 성격과 의례를 구분지었음을 알 수 있다. 전자는 조선의 정신적 존재로서 상징성을 부여하였으나, 실제 나라를 통치한 국왕과 차등을 두었던 것이다. 이러한 양자의 차이는 제사 의식 때 사용하던 그릇과 의복의 종류나 형태도 달라지게 되었다.
    본고를 토대로 앞으로 시조왕릉의 석조각을 조선왕릉의 그것과 비교하는 일을 하고자 한다. 아울러 조선의 시조왕릉과 같은 시기에 해당되는 중국 명나라의 시조 황제릉과 비교하게 되면, 시조에 대한 양국의 인식 차이를 밝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를 통해 시조왕릉의 전모가 밝혀지고, 이에 대한 관련 학계의 관심과 연구가 확산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Royal mausoleums for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include 8 royal tombs for previous generations of King Taejo named Yi Seong-gye. Before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no concept of the founder. However, as the Joseon dynasty established Confucianism as a national policy, four previous generations of Yi Seong-gye (parents, grand parents, great grand parents, and great-great grand parents) were upheld as kings, and their tombs were constructed as royal mausoleums. They are Jeong-hwareung, Uireung, Sunreung, Jireung, Sukreung, and Deok-anreung. These historically meaningful royal mausoleums are located in North Korea. So, in South Korea, no research has ever been made into the royal mausoleums of the founder and an investigation into it is historically very valuable. Royal mausoleums set up during the Joseon Dynasty are registered as world cultural heritages with UNESCO and their significance would be made perfect if they should include the royal mausoleums of the founder as well.
    This thesis is aimed to conduct a research into the royal mausoleums of the founder with a focus on a T-shaped building in front of royal tombs which is a space for sacrificial rites and on the ritual artifacts within the building, and it is the first ever research of such a kind conducted in North and South Korea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royal mausoleums of the founder were constructed before the other royal mausoleums were constructed after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And a T-shaped building was constructed in front of the royal tomb for holding memorial services. Within the house, there was a sacrificial table on mats made of rush. In particular, extant photos show the interior of the royal mausoleums of the founder, which may be referred to in the future when a T-shaped building in front of a royal tomb constructed in the Joseon Dynasty will be restored.
    On the other hand, memorial services for the founder were different from those for the other kings. Memorial services were frequently held for queens and kings during the Joseon Dynasty on the anniversary of their death and in four seasons and on several festive days. In contrast, memorial services were held for the founder on the “Cold Food” day only. It implies that there was discrimination in the nature of and sacrificial rites for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and rulers of the Dynasty. The former is a spiritual symbol of the Joseon Dynasty and different from the other actual rulers of the nation. Such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reflected in the kind and pattern of ritual vessels, sacrificial robes and others which were used for memorial servic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thesis, a comparison will be made between stone sculptures set before the royal mausoleums of the founder and those for the other royal mausoleums made in the Joseon Dynasty. And when a comparison is made between the royal mausoleums of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imperial mausoleum of the founder of the Ming Dynasty in China,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nations’ recognition of their founder will be revealed. As a series of relevant researches will be conducted and reveal the whole aspects of the royal mausoleums of the founder, it is expected that the academic circles will have more interest in the mausoleums and more researches made into them.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