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분황 원효와 인각 일연의 화엄학과 선학 이해 ― 각승(角乘) 가풍과 경초(莖草) 선풍을 중심으로 ― (Understanding Huayan and Seon Thoughts from the Perspectives of Bunhwang Wonhyo and Ingak Ilyeon ― Focusing on “riding a horned cow (角乘)” Seon tradition and “stems and grass (莖草)” Seon tradition ―)

6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8 최종저작일 2023.04
64P 미리보기
분황 원효와 인각 일연의 화엄학과 선학 이해 ― 각승(角乘) 가풍과 경초(莖草) 선풍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철학 / 12권 / 117 ~ 180페이지
    · 저자명 : 고영섭

    초록

    이 논문은 분황 원효(芬皇元曉, 617~686)와 인각 일연(麟角一然, 1206~ 1289)의 화엄학과 선학 이해를 통해 두 사람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을구명해 본 글이다. 통일신라 전후기의 원효와 고려 후기 몽골 간섭기의 일연은 어떻게 살았고 어떤 생각을 하고 살았을까? 원효는 철학자이자 사상가로서 고구려와 백제와 신라 삼국의 통일 전후기에 한민족의 고통과 갈등을 체감하면서 저술하고 강론하며 대중교화의 삶을 살았다. 일연은 역사가이자 사상가로서 몽골 침입으로 위기에 직면한 고려 후기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한민족의 고통과 갈등을 체감하면서 수행하고 저술하며 사서를 편찬하는 삶을 살았다.
    이들 두 사람은 시대를 달리했지만 1) 출생지가 같고, 2) 출가자임에도 불구하고 충성과 효도를 소홀히 하지 않았으며, 3) 화엄사상과선사상 중심으로 자신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을 펼쳤고, 4)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고승들이자 국사였기에 서로 만나 대화하고 소통할 수 있었다. 원효와 일연은 각기 화엄과 선법의 가풍으로 자신의 살림살이를온축하고 사고방식을 구축했다.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을 찬술하여 시각과 본각의 이각을 원만히아우르는 각승 가풍을 보여주었다. 그는 지관 쌍운의 기신학과 무장무애의 화엄학, 감분 불이(龕墳不二)의 기신학과 무이 중도(無二中道)의선법 및 ‘나무 불타’의 이름을 일컫게 하여 대중교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와 달리 일연은 대승 보살의 일승 화엄과 생계 불감(生界不减) 불계 부증(佛界不增)의 선법으로 경초 선풍을 보여주었다. 그는 몽골의침탈로 무너져가는 민족혼을 수립하기 위해 민족의 사서인 『삼국유사』 를 간행하여 한민족의 정체성 수립과정에 크게 공헌하였다.
    원효는 ‘일미관행(一味觀行)의 요체’를 반야 중관에 상응시키고, ‘십중법문(十重法門)의 종지’를 유가 유식에 상응시켜 중관학의 이제설과유식학의 삼성설을 통섭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는 김유신의 군사고문으로서 전쟁의 현실에도 참여하여 지혜를 보탰다. 일연은 대승 보살의 일승 화엄과 생계 불감 불계 부증의 선법을 피모대각(被毛戴角)의이류중행(異類中行)으로 펼쳐 보살 선풍을 보여주었다. 또 그는 『삼국유사』 찬술을 통해 효행을 선행으로 결합한 효선(孝善)사상을 보여주었다. 그리하여 원효의 각승 가풍과 일연의 경초 선풍으로 계승된 보살 선풍은 이후 한민족의 정신적 성숙과 문화적 성숙의 자양분이 되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nvestigates Bunhwang Wonhyo’s (617–686) and Ingak Ilyeon’s (1206–1289) ways of living and thinking through their understanding of Huayan and Seon thoughts. How did Wonhyo of the Three Kingdoms of Korea pre- and post-unification and Ilyeon of the Goryeo period, during the Mongol invasion, live and think? As a philosopher and thinker, Wonhyo lived a life of public edification by writing and lecturing while feeling the pain and conflicts of the Korean people before and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As a historian and thinker, Ilyeon practiced, writed, and penned historical books while experiencing the pain and conflicts of the Korean people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when the country was confronted by in this emergency due to the Mongol invasion. Although the two men lived in different eras, because 1) they share the same place of origin, 2) they did not neglect loyalty and filial piety despite being monks, 3) they spread their lifestyles and ways of thinking, focusing on Huayan philosophy and Seon thoughts, and 4)they were the most representative high priests and advisers to kings in Korean history, they shared many commonalities.
    Wonhyo and Ilyeon managed their lives and developed their ways of thinking using the traditions of Huayan and Seon thoughts, respectively.
    Wonhyo wrote Treaties on Vajrasamādhi-sūtra (金剛三昧經), showing wisdom that harmonically encompasses initial and original enlightenment.
    He reconciled with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thought, which emphasizes “concurrent application of stabilizing and insight meditation,” and Huayan thought, which emphasizes “being without hindrance or impediment.” He also reconciled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thought, focusing on the non-dualism of the shrine and the grave, and the Seon thought of the non-dualistic middle way. Furthermore, he greatly contributed to popular edification by making people chant “I take homage to Buddha.” On the other hand, Ilyeon promoted Bodhisattva’s One vehicle Huayan thought, while also showing the Seon tradition of “stems and grass” in which phenomenal and metaphysical realms neither increase nor decrease.
    He published Overlooked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a national history book aimed at fostering the national spirit that was crumbling due to the Mongol invasion,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process of establishing Korean people’s identity.
    Wonhyo corresponded to prajnācontemplation of the middle-way school as the essence of “one taste observation practice” and the consciousness-only school as “ten-fold aspects of dharma.” Thus, he attempted to converge the two-truth theory of the middle-way school with the theory of the three natures of cognition of the consciousness-only school. Additionally, as a military adviser to Yu-shin Kim, he participated in the reality of war and added wisdom to it.
    Ilyeon showed both Mahayana Bodhisattva’s Huayan thoughts where One vehicle is emphasized and Seon thoughts in which phenomenal and metaphysical realms neither increase nor decrease by running the example of “entering the body of a cow and attaining enlightenment.” In addition, he showed Hyosun thought,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idea of filial piety and good deeds, through Overlooked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Therefore, Wonhyo’s “riding a horned cow (角乘) ” Seon tradition and Ilyeon’s “stems and grass (莖草)” Seon tradition passed down the Bodhisattva tradition, which later became a source of nourishment for the Korean people’s spiritual and cultural matu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