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東明王篇」의 성격에 대한 재론-창작동기와 神異性을 중심으로 (Reconsideration of the Epic of King Dong-myeong東明王篇)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6 최종저작일 2009.02
29P 미리보기
「東明王篇」의 성격에 대한 재론-창작동기와 神異性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어문학 / 52호 / 143 ~ 171페이지
    · 저자명 : 하승길

    초록

    이 글은 이규보의 서사시 「동명왕편」의 ‘창작동기’를 당시의 역사적 사실에서 착안하여 ‘민족’이란 시각 대신에 작가 개인에서 찾는 데서 비롯하였다. 당시는 다른 나라와의 특별한 전쟁이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규보가 주로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까지 집중적으로 쓴 求官詩와 같은 맥락에서 그 창작동기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求官的 性格’은 무신집권기라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서 작품의 성격에 일정 수준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동명왕편」은 그 序文에서 밝힌 인식의 전환을 통하여 고구려의 건국과정에서 벌어지는 奇異한 異蹟들을 모두 神聖한 것으로 수용하였다. 또한 「동명왕편」은 해모수, 주몽, 송양, 유리 등 무인들의 모습과 그들의 대결구도 속에서 전개되는 서사가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었다. 이러한 서사의 특징을 ‘武人形象’이라고 하였고, 이것의 문학적 형상화는 ‘神異’한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동명왕과 관련된 고려시대 다른 자료들인 『삼국사기』, 『삼국유사』, 『제왕운기』 등에 비하여 이규보의 「동명왕편」은 ‘무인형상의 神異性’이 작가의 윤색에 의하여 더욱 선명하게 드러나 있다. 따라서 「동명왕편」은 고려중기 서사에서 ‘문학적 형상화’란 측면에서 분명한 선편으로 자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고려시대 자료들의 ‘신이성’은 조선시대와도 다른 것으로 앞으로 더욱 규명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find the motive of creating the Epic of King Dong-myeong(東明王篇) from its author, Lee Kyu-Bo's personal background, beyond the standpoint of a national hero, based on the historical fact there was no war with its neighbors when this epic poetry was composed. Therefore, this article approaches the creation motive in the Epic of King Dong-myeong from the same viewpoint regarding Lee's other poems for his government post(求官詩), mainly made in his late 20s to early 30s. It seems that such character of demanding government service had an effect on the work of Lee under the military regime of Koryo dynasty. As seen in the preface, Lee Kyu-Bo adopted strange miracle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Koguryeo as sacred events in the lay of King Dong-myeong through the change of his recognition. In this epic, both warrior figures(e.g. Haemosu 해모수, Jumong 주몽, Songyang 송양, Yuri 유리 etc.) and their confrontation structure are configured concretely. Warrior figures' mythical and strange character in this epic poetry is more clearly appeared than in other works regarding King Dong-myeong such as Samkuksagi三國史記, Samkukyusa三國遺事 and Jaewangunki帝王韻紀, through Lee's embellishment. As a result, the Epic of King Dong-myeong could be brought to the fore among works representing warriors in the middle of the Koryo. Warrior figures' mythical and strange character in the Koryo period is distinguished from that of the Choseon, and this theme deserves to be explored continuous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