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직업성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업무관련성 심의 사례들과 산업의학적 평가에 대한 고찰 (Occupational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ases Evaluated by Workers’ Compensation in Korea)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6 최종저작일 2009.03
10P 미리보기
직업성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업무관련성 심의 사례들과 산업의학적 평가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직업환경의학회
    · 수록지 정보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21권 / 1호 / 53 ~ 62페이지
    · 저자명 : 이화평, 이의철, 고동희

    초록

    목적: 많은 연구들을 통하여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직업성 원인에 대한 역학적 근거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산재로 인정받는 경우는 아직 적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근로복지공단의 의뢰를 받아 시행한 업무관련성 여부에 대한 심의 사례들을 조사하였으며,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직업성 원인에 대한 근거들을 함께 고찰하여 직업성 만성폐쇄성폐질환에 대한 산업의학적 평가의 시행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부터 2007년까지 10년간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이루어진 업무상 질병 여부에 대한 심의 기록들을 담고 있는 전산자료에서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진단명으로 하는 13건의 사례들을 수집하였다. 이들 13건의 기록들로부터 질병명, 병력, 직업력, 흡연력, 해당 유해인자, 사업장의 작업환경측정 기록, 업무관련성 평가에 대한 심의 결과를 파악하였다.
    결과: 총 13건의 사례들 중에서 업무관련성이 높다고 평가된 4건의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 1) 도로상 미세 분진과 일반쓰레기 분진에 노출된 비흡연자인 환경미화원, 2) 카드뮴 흄에 의해 폐손상을 입은 용접공, 3) 방적공장의 면 분진에 의해 발생한 천식이 장기노출에 의해서 만성화되면서 비가역적으로 폐기능이 저하된 공조기 공기필터 관리작업자, 4) 개인보호장구와 국소배기장치 없이 작업한, 흡연력이 있는, 주물공장 사상공. 다음의 9건의 사례는 업무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1) 직업성요인보다는 흡연에 의한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판단된 경우 4례, 2) 기존 질환(심한 결핵)의 악화에 의한 질병 발생의 가능성이 큰 경우 1례, 3) 잘못 진단된 경우 1례, 4) 작업 환경상 유해인자에 대한 노출의 정도가 너무 낮은 경우 2례, 5) 유해인자에 노출되기 이전에 이미 발병한 경우 1례. 흡연력이 있고 진폐가 없는 사상공의 경우 2006년에는 업무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2007년에는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산업의학적 평가에 필요한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1) 폐기능 검사와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한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정확한 진단과 다른 질환들의 배제, 2) 해당 유해인자와 질병 발병 사이의 인과관계에 대한 충분한 근거 확보, 3) 노출의 정도에 대한 평가, 4) 흡연으로 인한 발병가능성의 평가. 산업의는 이러한 요소들을 충분히 고려하여 직업성 여부를 평가하여야 한다. 또한 환자가 흡연자라고 할지라도 직업성 유해인자에 의한 폐기능의 감소가 평균수명 혹은 건강수명의 실질적인 단축을 가져왔는가라는 문제를 충분히 고려하여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직업성 여부를 평가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Objective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ases that were evaluated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OSHRI) of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KOSHA).
    Methods: Using the OSHRI database from KOSHA, we collected 13 cases of occupational COPD that had been evaluated from 1998 to 2007.
    Results: Four cases had been evaluated as occupational COPD: 1) a nonsmoking road sweeper exposed to automobile exhaust gases and trash dust; 2) an oxygen welding worker exposed to cadmium fumes; 3) a cotton mill air conditioner cleaning worker exposed to cotton dust; and 4) a foundry grinding worker exposed to dust, gases, vapors and fumes. Nine cases had been evaluated as non-occupational COPD: 1) 4 cases in which smoking was determined to be the main cause rather than occupational exposure; 2) 1 case that was evaluated as another respiratory disease (severe tuberculosis sequelae); 3) 1 case that had been misdiagnosed as COPD; 4) 2 cases in which the exposure levels in the workplace environments were too low; and 5) 1 case that had developed before the employment. Among these 13 cases, a shipyard grinding worker had been evaluated in 2006 as having had a low occupational hazard, but a similar case (a foundry grinding worker) was evaluated as having had a high hazard in 2007.
    Conclusions: Proper evaluation of occupational COPD demands an accurate diagnosis of COPD itself and also the exclusion of other respiratory diseases that have similar symptoms; an investigation of the relevant occupatioonal hazards and the amount of the exposure; and a consideration of smoking history. The evaluation should also take into account any substantial loss of life due to occupational hazards as well as any disease-free peri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