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택시 미군기지 주변 주민의 비행기 소음과 청각학적 평가결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Aircraft-noise and the Result of Audiological Evaluation Among Residents Near U.S. Military Airbases in Pyeongtaek City)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6 최종저작일 2009.06
11P 미리보기
평택시 미군기지 주변 주민의 비행기 소음과 청각학적 평가결과의 관련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직업환경의학회
    · 수록지 정보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21권 / 2호 / 154 ~ 164페이지
    · 저자명 : 정종도, 정재윤, 노상철, 권호장, 김현주

    초록

    목적: 비행기소음이 청각에 대한 포괄적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명 및 난청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변조이음향방사 검사를 통해 비행기소음의 난청에 대한 영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지역은 평택시에 위치한 두 개의 미군기지(K-55, K-6) 주변 8개 마을로 선정하였고 대조지역은 비행장에서 10 km 이상 떨어진 5개 마을이었다. 연
    구대상은 전도성 난청자와 순음청력검사에 협조가 불가능한 경우를 제외하고 노출군 492명, 대조군 200명이었다. 환경소음은 2005년 12월 9일, 노출지역 8개, 대조지역 2개 마을을 동시에 주간 8시간 측정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이명 여부와 그 불편감을 조사하였고, 이명 불편감은 구조화된‘이명 불편감 설문지’를 통해 파악한 뒤감정적, 기능적, 재앙화적 측면에서의 점수를 합산하여 산출하였다. 청력평가를 위해 0.5, 1, 2, 3, 4, 6, 8kHz에 대하여 순음청력검사와 1582, 2003, 3175,
    4007 Hz에 대하여 변조이음향방사 검사를 시행하였다. 비행기소음의 노출특성 및 혼란변수의 성차를 고려하여 성별층화분석을 했고, 연속변수는 일반선형모델(general linear model)을 사용하여, 범주형 변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보정한 혼란변수는 연령, 교육정도, 스트레스 반응척도, 군대소음, 농업소음, 직업소음이었다.
    결과: 이명 증상 호소율은 남성에서 노출군 47.3%, 대조군 27.6%이었고, 여성에서 노출군 50.8%, 대조군 28.5%이었으며, 그 대응비는 남성에서 2.06(95% CI: 1.09~3.88), 여성에서 1.97(95% CI: 1.17~3.30)이었다. 이명 불편감 영역별 점수는 남녀 모두에서 감정적, 기능적, 재앙화적 측면에서 노출군이 비노출군보다 유의
    하게 높았다(p<0.001). 순음청력검사결과 남성에서는 우측 귀 0.5, 1 kHz에서, 여성에서는 좌측 귀 0.5, 1kHz와 우측 귀 0.5, 1, 2, 3, 4, 6 kHz 주파수 영역에서 노출군의 청력역치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변조이음향방사 검사결과, 남성에서는 두 군간에 비정상률의 차이가 없었으나, 여성의 비정상률은 좌
    측 귀 3175, 4007 kHz 영역에서 각각 1.92(95% CI: 1.10~3.36), 2.71 (95% CI: 1.49~4.91), 우측 귀 각각 1.73(95% CI: 1.01~2.99), 1.78(95% CI: 1.01~3.15)의 대응비를 보였다.
    결론: 연구결과 수십 년간 군 기지의 비행기소음에 노출된 집단에서 이명과 이명 불편감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순음청력검사는 노출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청력저하를 보였다. 변조이음향방사 검사는 여성 노출군에서만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비정상률을 보였다. 이로부터 비행기소음이 이명과 난청 등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ircraft noise and the results of audiological evaluation on tinnitus and hearing loss among residents near United States military air-bases in Pyeongtaek city.
    Methods: Residents (n=492) exposed to aircraft noise were selected from eight villages near U.S. military air-bases (K-55 and K-6) in Pyeongtaek city. Residents (n=200) from five villages located at least 10km away from the air-base were selected for the control group.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tinnitus and audiological evaluations included pure tone audiometry (PTA) and distortion product otoacoustic emissions (DPOAE). Statistical analyses involved a general linear model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stratified by gender and data was adjusted by age, educational level, stress response index and noise type (i.e. military, agricultural and occupational).
    Results: The equivalent noise levels (Leq) in the vicinity of the air-field were 73.4~81.5 dB (A). Tinnitus prevalence was 47.3% and odds ratio (OR) was 2.06 (95% confidence interval (CI): 1.09~3.88) among noise-exposed males. Tinnitus prevalence was 50.8% and OR was 1.97(95% CI: 1.17~3.30)
    among noise-exposed females. Tinnitus handicap scores among expose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unctional, emotional, and catastrophic subclasses (p<0.001). PTA revealed hearing thresholds among the exposed group of 0.5 and 1 kHz (male right ear), 0.5 and 1 kHz (female left ear) and 0.5, 1, 2, 3, 4 and 6 kHz on female right ear tha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unexposed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POAE was observed among noise-exposed male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vident for noise-exposed females at 3175 and 4007 Hz. ORs of right female ears 3175 and 4007 Hz were 1.73(95% CI: 1.01~2.99) and 1.78(95% CI: 1.01~3.15). ORs of left female ears at 3175 Hz and 4007 Hz were 1.92(95% CI: 1.10~3.36) and 2.71(95% CI: 1.49~4.91)
    Conclusions: Aircraft noise may adversely affect hearing function and tinnit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