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정희의 『새』에 나타난 폭력의 양상과 구원의 징후 (Aspect of Tragedy and Rescue in Life Shown in Oh Jeong-hee's 『Bir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6 최종저작일 2009.06
28P 미리보기
오정희의 『새』에 나타난 폭력의 양상과 구원의 징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27호 / 333 ~ 360페이지
    · 저자명 : 조회경

    초록

    오정희는 소설을 통해 부단한 자기성찰과 사색의 세계를 구축해가는 작가이다. 본고에서는 오정희의 첫 장편 소설 『새』에 드러난 세계의 비극적 실상 중 하나인 폭력의 양상과 인간 회복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텍스트로 삼은 『새』에는 ‘보이지 않는 아버지들’과 ‘가짜 어머니들’에 둘러싸인 어린 남매의 고단한 삶이 펼쳐져있다. 오정희는 ‘아이들의 낯선 눈’을 통해 이 세계에 만연된 폭력의 근원을 탐색하는 동시에 그 해결책으로 인간의 의식세계 바깥에서 생겨나 인간의 영적 성숙을 돕는 강력한 힘의 존재를 희미하게나마 보여주고자 한다.
    『새』의 유년 인물은 세계의 황폐함을 응축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의미체로서, 어떤 상황에서도 존재의 불안을 스스로 해소할 수 없는 인간의 근원적 상황에 대한 제유이다.
    유년 주체의 눈에 비친 아버지의 충동적인 폭력성은 생노병사에 내재한 우발성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작품에서는 폭력의 근원이 인간의 ‘어리석음’이라는 치유할 수 없는 영역에 잠복해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그것이 인간 실존의 본원적 고통에 맞닿아 있음을 선명하게 드러낸다. 동시에 버려진 ‘나’와 동생에게 도움을 베푸는 가짜 엄마들의 내면에 대한 응시는 이들이 모두 근원을 알 수 없는 불안에 내몰리고 있어 또 다른 폭력의 양상을 띠고 있음을 세밀하고 생생하게 묘파해낸다.
    그러나 『새』의 바탕에는 세미하지만 견고하게 자리 잡은 ‘목소리’가 존재한다. 그것은 아주 오래전부터 불모에 가까운 세계의 황폐함을 치유해왔다. 그 목소리의 주인은 오정희 소설이 보여주는 구원의 단초가 되는 ‘생성적 타자’들이라 할 수 있다. 작가는 ‘삶의 심연’에 작용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강력한 힘’이 존재함을 암시하며, 이를 통해 구원의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그러나 오정희는 더 이상 섣부른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는다. 삶의 어두운 심연을 집요하게 탐색하며 ‘자신을 희생 제물로 내어주지 않으면 진실의 작은 조각 하나도 얻을 수 없다’는 경구를 전해줄 뿐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tragic reality in life and a problem about its recovery shown in Oh Jeong-hee's literature targeting Oh Jeong-hee's first feature-length novel 『Bird』. In 『Bird』is revealed the exhausting life in young brother and sister who were abandoned by parents. Oh Jeong-hee shows serious self-reflection on powerful force of helping a human being's spiritual maturity, as well as exploring the origin of violence, which is prevalent in this world through ‘juvenile's sight.'
    As the juvenile character in 『Bird』is a meaning available for concentratedly reproducing devastation in the world, it stands for a human being's elemental situation that can solve a worry about existence oneself even in any situation.
    In a sense that a father's impulsive violence, which was mirrored in `I' eyes as a young girl, accidentally occurs, it is essentially same as property in birth, old age, illness, and death. This piece of work is shown that the origin of violence relies on a human being's `foolishness,' thereby being emphasized that it is not a problem that will be solved by social condition. It belongs to the more elemental anguish. At the same time, `I,' who am young, stare at the inside of `fake mothers' who give a help. As a result, even `fake mothers' are suffering uneasiness unavailable for knowing the origin, thereby realizing that they cannot be expected perfect love.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Bird』 depends on `voice' that is heard to the inside of `me.' `I' cure tired soul while remembering `voice' that is heard faintly with dividing a wasted curtain in the world. A writer suggests that `invisible powerful force' exists that functions in `an abyss of life.' The folklore, which is transmitted by grandmothers, is substance of `invisible powerful force' as well. Oh Jeong-hee aims to seek for a clue that will cure and rescue the impoverished reality through this tradition. That is seen to be related to group unconsciousness.
    However, Oh Jeong-hee doesn't present easy solution anymore. Aphorism is just transmitted with saying that even one small piece in truth cannot be obtained unless presenting self as an offering of sacrifice, while persistently exploring a dark abyss of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