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구 深谷寺․頭陀寺의 창건과 변천에 관한 연구 (A Historical Archeological Study on Simgoksa and Dutasa)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5 최종저작일 2009.06
23P 미리보기
양구 深谷寺․頭陀寺의 창건과 변천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31호 / 155 ~ 177페이지
    · 저자명 : 홍성익

    초록

    심곡사와 두타사는 강원도 양구군 동면 팔랑리와 방산면 건솔리에 소재한 폐사지이다. 그동안 두 사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소재지부터 창건시기 등에 대하여 여러 견해가 제시되어 혼선을 빚어 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寺蹟記와 文集類, 古地圖 그리고 考古資料를 통하여 위치와 창건년대, 폐사시기 등의 변천과정에 대하여 밝혀 보고자 하였다.
    심곡사는 879년(헌강왕5)에 도선국사에 의하여 창건되고, 898년(효공왕2)에 입적하자 부도를 건립하였다는 『심곡사지』의 기록을 사실로 받아들여 왔다. 그러나 전남 옥룡사에 건립되었던 도선국사 비문의 기록을 전재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1716년에 조성된 아미타삼존불과 건륭52년명 및 광서5년명이 있는 中鍾은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높은 것으로 볼 때 심곡사는 양구지역에서 중요한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1928년경에는 사찰의 규모가 59칸이던 사찰이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폐사되었지만 아미타삼존불과 부도 3기 등이 현재의 심곡사와 인근에 현존하고 있다. 이는 남북분단과 한국전쟁으로 인한 정치적 상황에 의하여 양구읍 송청리로 이전하여 심곡사의 법등을 계승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조선후기에 들어 건봉사에서 출가하고 입적한 월봉선사의 제자인 송암, 함곡 등이 주석하거나 기문을 작성하는 것으로 볼 때 건봉사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두타사도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등재되어 있으므로 창건시기는 고려시대로 판단할 수 있고 이만부가 방문하였던 1723년 이전에 폐사된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寺址는 미확인지뢰지대 내에 소재하므로 현장조사를 원활히 할 수 없으나 축대와 와편, 도자기편이 산재한 것을 볼 때 절터의 대체적인 범위는 설정할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 頭 자가 시문된 銘文瓦片이 지표에서 수습되어 그간 학계에서 위치문제에서 혼선을 빚었던 몇가지의 설에 대하여 頭陀寺 터를 확정하였다는 것은 큰 성과라 할 것이다.

    영어초록

    Simgoksa and Dutasa are Buddhist-temple sites located in Palang-ri and Geonsol-ri of Yanggu-gun, respectively. The studies on the two temples have been performed only to be confused in their exact locations and building periods. This article, therefore, aims to find the exact locations, building periods and temple-closing periods by examining the records about the temples, the related literature, the old maps and other old materials.
    It is said and believed as true that Simgoksa was built by national master Doseon in 879 A.D., and the Stupas was built when he died in 898. This facts are based on the inscription of Doseon's gravestone in Okryongsa. The building period, however, seems to be during Korea Dynasty at lates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act that it was recorded in Sinjeung Dongkugyeojiseungram. The temple seems to have been an important one in Yanggu area, because there are valuable cultural assets, such as Amitasamjonbul made in 1716, and the middle-sized bell inscribed with Geonryung 52nd year inscription and Kwangseo 5th year inscription.
    The temple, once having 59 kan(ancient measurement unit), remains only with Amitasamjonbul and three Stupases in and around the present Simgoksa with much portion of the temple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The political conditions, such as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and the War, moved the temple site to Songcheong-ri, Yanggu-eup, where the teachings of Buddha has been continued to date. It seems to have close relations with Geonbongsa, in that Songam and Hamgok, the disciples of Weolbong Zen master, who had entered the Buddhist priesthood and died at Geonbongsa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commented or prepared records.
    Dutasa was also recorded in Sinjeung Dongkugyeojiseungram, so we can guess it had been built during Korea Dynasty. It seems to have disappeared before the year of 1723, when Lee Manbu visited there. There remains no material showing the size or the Buddhist line, which disturbs any more studies. To make matters worse, it is located in the undetected mine area, which prevents active site investigation. But we can, though roughly, guess the scope of the site from the presence of terraces, pieces of roofing tiles and ceramic ware. This investigation was very successful in that the location was determined as the site of Dutasa because of the discovery of roofing tile pieces inscribed with '頭'.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