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계림로 14호분 <금제감장보검>의 제작지와 수용경로 (Gold Dagger with Inset Jewels in (from) Gyerimno Tumulus No. 14: Origins and Path of Transmiss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4 최종저작일 2008.06
30P 미리보기
신라 계림로 14호분 &lt;금제감장보검&gt;의 제작지와 수용경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58권 / 258호 / 75 ~ 104페이지
    · 저자명 : 이송란

    초록

    금제감장단검, 화살통장식, 장식대도 등의 무구, 금은입사철제안교, 은입사행엽, 등자 등의 기마구 등이 부장된 경주 계림로 14호분은 개마무사의 무덤이다. 이 무덤에서는 감장기법과 누금기법으로 표면이 화려하게 장식된 금제감장단검이 피장자 왼쪽 허리편에서 발견되었는데, 검집 측면에 부착된 P자형과 D자형의 장식판을 통해 허리띠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다. 이 글에서는 주목하지 않았던 패용구로 이해되는 P자형과 D자형의 장식판의 발생과 전개과정을 분석하여 계림로 금제감장보검의 구체적인 제작지와 수용경로를 살펴보았다. 중앙아시아 수입품으로 알려진 이 금제감장보검의 구체적인 제작지와 수용경로를 분석하는 것은 신라 공예에 반영된 서방계 금공의 한 계보를 파악하는 문제뿐 아니라 신라에 수용된 기마문화의 성격을 알 수 있는 문제이다. 두 개의 패용구가 부착된 계림로 금제보장단검과 같은 형식의 검들은 기마민족과 관계된 지역에서만 출토되기 때문이다. 패용구가 부착된 형식의 검은 처음 기마민족인 사르마티아(Sarmatia)에 의해 기원전 7세기에 발명되었다. 이와 같은 형식의 검은 월지를 통해 동서로 확산된 뒤 중국의 漢, 인도의 쿠샨(Kushan), 파르티아(Partia)와 사산조 이란(Sasanian Iran), 유럽의 아바르(Avar)에 의해 1000여 년이 넘게 이용되었다. 이와 다른 방식으로 검을 패용하는 것은 사산조 이란의 6세기로 추정되는 탁-이-부스탄(Taq-i-Bustan)에 새겨진 샤푸르 3세(Shapur Ⅲ)의 장검에서 확인된다. 이러한 변화는 5세기 후반 무렵, 현재의 아프카니스탄(Afganistan) 북부와 우즈베키스탄(Uzbekistan) 남부 등에 해당하는 박트리아(Bactria)지역을 놓고 패권을 다투던 에프탈과의 접촉을 통해 수용한 것이다. 당시 에프탈의 정치적 판도를 참고하면 계림로의 금제감장단검과 같은 형식인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Kazakhstan) 보로보에(Borovoye) 호수에서 발견된 금제감장보검의 제작지를 박트리아로 좁혀 볼 수 있다. 이는 박트리아 중심으로 발전한 서방계의 금공과 연관 관계를 보이고 있고, 감장의 재료인 흥마노가 박트리아산인 점을 참고하여 내린 결론이다. 에프탈에서 시작된 두 개의 패용구가 달린 검은 소그드(Sogd)와 고구려와 교류에 의해 한반도에 전해진 것으로 이해된다. 이와 관련하여 4세기 중반의 안악 3호분, 5세기 중반의 장천 1호분에 그려진 소그드 출신의 예인들을 주목하였다. 이들은 상인들의 무리와 같이 움직이던 집단으로 생각되어 중앙아시아와 고구려와의 교섭을 반영하는 존재들로 파악하였다. 7세기 중엽 사마르칸트(Samarkand) 아프라시아브(Afrasiab) 벽화에 그려진 고구려 사절단에서 알 수 있듯이, 고구려와 소그드의 꾸준한 관계가 바탕이 되어 사마르칸트에 직접 사신을 보낼 정도의 관계가 형성된 것이다. 아프라시아브 벽화에서 보이는 고구려 사신들이 착용하고 있는 M자형 패용구가 달린 장검은 고구려 유민의 무덤인 다카마츠츠카(高松塚)에서 발견된 P자형과 D자형의 패용구가 달린 장식대도와 비슷한 형태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계림로 14호분에서 묘주가 두 개의 패용구가 달린 검을 착용하고 있는 의미를 묘주의 무장체계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5세기 고구려에 원병을 청하였던 신라에서 개마무사의 존재는 4세기 말부터 확인되고 있다. 생시에 개마무사였던 계림로 14호 묘주가 사용한 주된 무기는 창이지만, 허리에 패용된 단검은 창을 놓쳤을 때 또는 보병들에 의해 밀집되어 창을 쓸 공간의 여유가 없는 급박한 상황에서 사용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천마층 환두대도에서 확인된 4각형의 쌍각금구는 계림로 금제감장단검과 같이 허리에 패용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신라에 수용된 모습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영어초록

    The large array of weaponry and horse trappings yielded from Gyerimno Tumulus No 14 suggests that this Silla tomb located in Gyeongju belonged to a cavalryman A gold dagger with inset jewels arrow-holder ornaments ornamental swords a gold and silver wire-inlaid iron saddle silver wire-inlaid horse strap pendants and stirrups are some of the artifacts harvested from the Silla tomb The gold dagger with brilliant surface decorations created using insetting and granulation techniques was lying left of the remains of the deceased at waist level The ornamental plates in the shapes of letters P and D attached to the side of the scabbard appear to have been used to hang the dagger to the waist bel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ossible place of fabrication of this gold dagger and the path through which it reached Silla by retracing the stylistic origins of the two ornamental plates in the shapes of P and D which have thus far received little academic attention Establishing a precise place of origin and path of transmission for this gold dagger presumed to have been imported from somewhere in Central Asia can not only cast light on the influence of this region and regions further West on the genealogy of Silla metalwork but also and more importantly help us pinpoint which of the equestrian civilizations that flourished in this general region principally influenced Silla Daggers and swords having two ornamental plates on the scabbard like the Gyerimno gold dagger with inset jewels have been found only in regions historically associated with equestrian peoples Swords and daggers attached with similar accessories were first produced toward the 7th century BCE by Sarmatians a horse-riding nomadic people of Central Asian origin They were later spread to regions east and west by the Yüeh-chih Yuezhi another nomadic people of Turkish stock including the Han Dynasty of China the Kushan Dynasty of India Sasanid Iran and Avars in Europe to remain in use for more than 1 000 years Meanwhile examples of swords used for ornamental purposes date as far back as the 6th century CE The long sword that belonged to Shapur III of Sasanid Iran bearing with the inscription Taq-i-Bustan is one such example This change was introduced mainly thanks to the Hephthalites with whom the Sasanids fought for control over Bactria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northern section of present-day Afghanistan and southern Uzbekistan toward the late 5th century Based on the sphere of power of the Hephthalites at the time gold daggers with inset jewels similar to the Gyerimno dagger found in Kazakhstan and Lake Borovoye are likely to have been fabricated in Bactria This estimate is based on the style of metalwork in these daggers which shows substantial similarities with that developed in regions further West and more particularly the Bactrian region and also on the fact that the red agates inset on their surface were of Bactrian origin Daggers with two ornamental plates originating in Hephthalite Empire are believed to have been transmitted to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exchange between Sogdiana and Goguryeo The paper discusses musicians and performers of Sogdian origin depicted on the murals of Anak Tumulus No 3 from the mid-4th century and Jangcheon Tumulus No 1 from the mid-5th century as evidence lending weight to this hypothesis These people considered proof to Goguryeo’s exchange with Central Asia were likely to have followed merchants to the ancient Korean state As demonstrated by the murals in Samarkand and Afrasiab from the mid-7th century portraying visiting Goguryeo delegations the ancient Korean state appears to have maintained a steady exchange with Sogdiana eventually developing a close enough tie to dispatch envoys The paper discusses similarities between the long swords with an accessory in the shape of letter M worn by Goguryeo envoys in Afrasiab murals and the ornamental sword found inside Takamatsuzuka Tumulus a Goguryeo settler’s tomb in Japan with accessories in the shapes of the letters P and D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Gyerimno dagger was examined in relation to other weaponry items that were found together with it The existence of mounted warriors in Silla which during the 5th century requested reinforcement from Goguryeo has been confirmed from the late 4th century The paper discusses how the owner of Gyerimno Tumulus No 14 as a soldier probably fought mostly with a spear and the dagger carried at the waist was used only when he lost grip of his spear or during close combat The paper argues that the two square ornaments of the ringhilted sabers of Cheonmachong is in fact a re-adaptation of the waist-carrying style whose earlier and unmodified version is seen in the Gyerimno dagg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