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조용언의 범주 분화와 접미사로의 이동 (The category differentiation of supplementary predicate words and their shift to the suffix categor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9.04
34P 미리보기
보조용언의 범주 분화와 접미사로의 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학회
    · 수록지 정보 : 國語學 / 54호 / 165 ~ 198페이지
    · 저자명 : 이현희

    초록

    어떤 어휘가 출현 빈도가 높아지면서 원래 범주의 전형적인 분포나 용법 외에 다른 분포나 용법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이처럼 분포나 용법의 확장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경우 범주의 확장 혹은 전이로 이어지고 이것이 공시적으로는 한 언어 요소가 다양한 범주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연구는 사전 표제어들을 대상으로 일부 보조용언이 접미사로 범주를 분화․이동하는 과정을 살핀 논의이다. 이들은 용언에서 보조용언의 단계를 거치며 의미의 추상화나 구성의 다양화를 겪게 되고 이것이 좀더 진행될 경우 접미사 범주로 진입하게 된다. 특히 ‘나다, 대다’처럼 접미사로 범주의 분화와 이동이 상당 부분 진행된 예가 있는 반면 ‘주다, ‘먹다’처럼 접미사로의 분화가 초기 단계로 보이는 예들이 있다. 물론 보조용언을 거치지 않고 용언에서 접미사로 범주를 이동한 예들도 있는데 이들 역시 분화나 이동의 정도에는 차이를 보인다. 결국 언어 요소마다 범주의 분화나 이동의 정도는 다르게 나타날 것인데, 이들 각각에 대한 연구가 언어 전반에 걸쳐 이루어진다면 궁극적으로는 언어 요소들의 총체적인 범주 이동 양상을 살필 수 있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As a lexical item becomes more frequently used, it may obtain other distribution or usage than the typical distribution/usage of its original category. When this sort of extension of distribution/usage takes place continually, it leads to the extension of or change in the category itself, which, from a synchronic point of view, makes it appear that one linguistic item has characteristics of a number of different categories. This study examines dictionary headwords to observe the process where some of the supplementary predicate words differentiate their category and shift to the suffix category; a predicate word becomes a supplementary predicate word, which then goes through abstraction in meaning or structural diversification, and when this phenomenon continues further, they eventually enter the suffix category. Notably, there are some examples such as “nada” and “daeda” where the differentiation/shift to the suffix category has happened to a significant degree, but there are some other examples such as “juda” and “meokda” where the category differentiation appears to be in an early stage. There are, of course, cases where a predicate word shifts directly to the suffix category without going through the supplementary predicate word category, yet they are still different from one another as to how much the category differentiation/shift has progressed. After all, different linguistic items would show different degrees of progress in the category differentiation/shift. If studies dealing with each of these items are carried out extensively within the language, it would ultimately make possible to grasp the comprehensive patterns of category shift of different linguistic it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國語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