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시에 있어서 존재론적 사유의 전개 양상 (The Development of Ontological Thought in Modern Korean Poetr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9.02
34P 미리보기
현대시에 있어서 존재론적 사유의 전개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26호 / 247 ~ 280페이지
    · 저자명 : 손미영

    초록

    이 연구는 한국현대시의 존재론적 사유의 통시적 흐름을 간략하게 살피는 데에 목적이 있다. 서론에서 ‘초월’과 ‘지향’과 ‘지양’의 개념을 논의 하였다.
    Ⅱ장에서 살펴본 초월적 지향은 주로 암흑기인 일제시대의 시대적 상황에 갇힌 시인들에게서 이루어지는 존재론적 몸부림이었다. 김소월은 상실된 님과의 합일을 주체의 소멸을 통하여 이루려는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초월의 모습을 보여준다. 김영랑은 상실된 ‘봄’에 대한 희망을 순환론적 세계인식에 기반하여 노래하고 있다. 김영랑의 희망을 바탕으로 한 초월적 인식은 ‘찬란한 슬픔’이라는 역설적 태도에 드러나는 비극적 정서를 수반하게 된다. 박목월의 초월적 지향은 상실된 대상과의 동일시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다만 ‘좀생이별’이 암시하는 운명론적 색조가 부가된 점에서 다소 비극적 초월의 양상을 드러내는 한계를 드러낸다.
    Ⅲ장의 내재적 지양은 주로 형이상학적 세계관으로부터 실존주의적 세계관으로 이행되면서 전개되는 것으로 보인다. 김현승의 경우 절대자에 대한 신뢰를 상실하고 ‘단독자’의 절대 고독을 노래해야 했던 기반은 다분히 니체적인 ‘초인’으로 보인다. 그러나 니체처럼 ‘신은 죽었다.’라고 외칠 만큼 그의 세계관은 확고하게 정립되었던 것이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박남수는 순수의 상징인 ‘새’를 통하여 현상과 본질의 간극을 첨예하게 드러낸다. 이를 통하여 현상적으로 보이는 오염되고 훼손된 가치들을 넘어서서 진리의 세계를 갈구하는 화자를 보여준다. 김수영은 김현승이나 박남수보다 한 발 더 실존주의적 가치, 특히 ‘현실’에 가까이 선 것으로 드러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at briefly examining the diachronic development of ontological thought in modern Korean poetry. I discuss the concepts of ‘transcendence’, ‘intention’, and ‘sublation’ in the preface.
    The transcendental intention discussed in chapter 2 is mainly the ontological struggle made by poets deadlocked in the dark hopeless situatio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So-Wol Kim yearns for union with the lost lover through the nullification of the subject, which could be construed as being passive and negative. Young-Rang Kim, whose poetry is based on the cyclical view of the world, expresses hope for regaining the lost "spring." His transcendental perception founded on hope is accompanied by tragic sentiments shown in the paradox of ‘glorious sorrow.’ Mok-Wol Park’s transcendental intention takes the form of identification with the lost object; however, it has limits in that it shows somewhat tragic aspects with the addition of fatalistic shades suggested by the ‘Pleiades star cluster’.
    The intrinsic sublation discussed in chapter 3 seems to develop itself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the metaphysical worldview to the existential worldview. The poetic foundation of Hyun-Seum Kim, who has lost confidence in the Absolute Being and is obliged to sing the absolute solitude of ‘der Einzeine’ (the One), seems to be Nitzsche’s idea of ’Übermensch (Superman). However, his worldview does not seem to be solid enough to declare that ‘God is dead’ as Nitzsche did. Nam-Su Park aptly reveals the sharp rift between appearance and reality through the use of ‘birds’ which symbolize innocence. His poetry shows that the narrator craves for the truth beyond the contaminated and defiled values seen in the physical realm. Su-Young Kim seems to be nearer to the existential values, especially to ‘reality’, than Hyun-Seung Kim and Nam-Su Pa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