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1세기 초 한국의 혼인제도와 혼례관행 (A marriage system and wedding custom of Korea in the early part of the 21th centur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8.08
38P 미리보기
21세기 초 한국의 혼인제도와 혼례관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12권 / 5 ~ 42페이지
    · 저자명 : 이영재

    초록

    1950년 이후 지금까지 혼인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지만, 21세기 초 혼인문화에 대한 연구는 미시적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따라서 이 글은 21세기 초 한국의 혼인제도와 혼례관행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서 관련법, 통계자료, 그리고 관행을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법률혼제도를 따르고 있는 한국은 「민법」을 비롯한 4가지 법안이 21세기 초 한국의 혼인 제도를 구성하고 있었다. 법령이 개정되기 이전인 2007년 초까지만 하더라도 한국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혼인적령이 차이가 있었으나, 헌법상 양성평등의 원칙에 어긋난다는 판결에 의해서 2007년 말 남녀 모두 만18세로 개정됨으로써 중요한 제도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또한 2005년 3월 동성동본금혼은 8촌 이내의 금혼으로 개정되고, 6개월의 재혼금지기간의 경우 전문이 삭제되었다. 혼인의 범주에 대한 개정뿐만 아니라 혼례에 대한 제도 역시 1999년 8월 허례허식의 금지조항 등이 민주화시대를 맞아 삭제됨으로써, 20세기에 비해서 21세기는 사회제도적으로 헌법이 정한 행복추구와 양성평등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둘째, 1980년 이후 출산억제정책과 IMF 등 중요한 사회·경제적 변화를 거치면서 만혼의 유행과 출산율의 저하로 인하여 1990년에 비해서 2005년에는 주 연령층이 무려 20세나 높아졌다. 그로 인하여 혼인건수는 1996년 최고점을 기록한 뒤 2003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지만, 2003년 이후 경제활성화와 2006년 쌍춘년 효과와 더불어 혼인건수는 다시 상승하고 있다. 혼인시기를 분석한 결과 2002년 이후부터 지구의 온난화·소득의 증가·계절의 선호현상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5월과 10월에 집중현상이 뚜렷해 졌으며, 심화되는 성비의 불균형과 농촌의 기피현상으로 인하여 2002년 이후 2005년까지 국제결혼이 급증하였다.
    셋째, 21세기 초 한국은 1인당 국민총소득의 증가, 소득격차의 심화, 혼인제도의 개정 등으로 인하여 경제력이 바탕이 되는 혼례식에 있어서도 소득에 따른 규모의 양극화가 나타났다. 혼례식의 식순은 보편적으로 1920년대 의례의 간소화 이후 시작된 서구식 혼례를 따르고 있었으며, 예식업의 상품화 전략과 의례의 간소화가 맞물려 정부의 권장 안에 전통혼례의 폐백이 결합된 구조를 갖고 있었다. 종교인의 경우 특정 종교의 예배와 혼례가 결합된 종교식 혼례를 선호하고 있었으며, 종교식 혼례 역시 폐백과 피로연이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본예식→폐백→피로연→신혼여행>이 21세기 한국인의 공통적인 특특한 혼례로서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21세기 초 한국의 혼인문화는 헌법에 보장된 행복추구와 양성평등의 원리에 입각하여 제도와 관행이 끊임없이 상호 영향을 미치며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study of the marriage has been various result since 1950s. But the study of a marriage system and wedding custom in the early part of the 21th century was not take a broad view until now. So this paper was researched on a marriage system and wedding custom in the early part of the 21th century with the related law, statistical data, and a case data from take a broad view.
    First, Korea based on the legal marriage system improved the related laws such as deleted a forbidden clause of empty formalities and vanity in 1999, deleted a forbidden clause of the same surname and the same family origin in 2005, and revised the marriageable age in 2007. Therefore Korea in the early part of the 21th century is making progress to improve a pursuit of happiness and the equality of sexes draft a constitution.
    Second, Korea undergone a important changes of the social and economic such as the birth curb policy since 1980, IMF managed economic system from 1997 to 2003. Therefore Korea in the early part of the 21th century had been decreased the number of cases of marriage in the that time. But the number of cases of marriage has been increased gradually since 2004 because of got out of IMF managed economic system in 2004 and was influenced by a Ssangchunyeon effect in 2006. Also an international marriage has been increased rapidly owing to deepen the unbalance of the proportion of males to females and the situation that a virgin avoid to marriage with rural youth since 2002.
    Third, Income differential has been widened more and more with increasing GNI in the early part of the 21th century And the widened distinction in wealth between the wealthy and the poor has been influenced the polarization of a marriage ceremony until improved the legal marriage system. The Korean people following the non-religion’s or religion’s wedding program that was made by a wedding business. They combined a government bill with Pepaek, a program of traditional wedding, on commercialism to increase income. And a honeymoon of a trip abroad is generalized by a complex factor such as increase a income and a expense of domestic tourism, develop a low-priced trip abroad, so on.
    In Korea, a marriage system and wedding custom has been changed constantly by an interaction to respect and improve fundamental human rights in the early part of the 21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