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의 편찬을 위한 XML 전자문서 구조설계 (Structural design of XML electronic document for editing Encyclopedia of Korean Folk)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9.02
34P 미리보기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의 편찬을 위한 XML 전자문서 구조설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13권 / 177 ~ 210페이지
    · 저자명 : 김진형

    초록

    국립민속박물관에서 편찬하는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은 아날로그 자료가 만들어지면, 바로 디지털 자료로 변환되는 특성이 있다. 아날로그 자료는 종이사전이며, 디지털 자료는 웹 기반의 전자사전이다. 전자사전을 구축하는 데 있어 전자문서의 제작방식을 차세대 마크 업 언어인 XML(eXetensible Markup Language)로 정하였다. 왜냐하면 XML은 기존의 HTML과 달리, 문서의 내용, 모양, 구조가 분리된 마크업 언어로서 확대, 재생산, 교정, 관리가 용이한 W3C(World Wide Web Consortium)가 가장 권장하는 언어인 까닭이다. 따라서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을 편찬할 때 이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관리자에게 관리의 효율성을, 이용자에게는 지식제공의 효율성을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은 크게 여덟 편의 민속장르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안에 모든 지식정보를 담아내고 있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웹 서비스는 전자문서화 된 한국세시풍속사전의 데이터베이스 적재를 시작으로, 나머지 여덟 장르의 사전들이 일정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차례대로 적재될 계획이다. 그러므로 가장 처음 적재되는 한국세시풍속사전을 그 자체의 내용적 특성만 고려하여 XML의 문서구조를 설계할 것이 아니라, 다른 장르의 사전과 연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여덟 장르의 큰 틀 거리에서 구조적 특성을 도출해내야 한다.
    그러기 위해, 상위요소의 구성인자 역할을 하는 요소인 ‘구조요소(Structural Element)’와 텍스트 중간에 삽입되어 특정 어휘 및 어구의 성격을 식별하는 요소인 ‘문중요소(In-Text Element)’를 이용하여 XML 전자문서의 구조설계를 하였다. 이 글을 통해 제시한 구조는 민속지식정보가 일정한 시점을 두고 점진적으로 확대·재생산될 수 있게 하고, 여덟 장르의 사전이 서로 연관된 정보들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설계한 ‘목표 지향적’인 구조이다.
    구조요소와 문중요소에 입각한 명시적 정의는 이미 생성된 아날로그 자료를 비롯하여 앞으로 생성될 자료에 모두 적용된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할 때, 아날로그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의 편찬은 모든 장르의 사전이 ‘사전명’, ‘편명’, ‘영역명’, ‘분야명’이라는 정형화된 층위에 근거하여 표제어 및 본문에 도달하여야 하며, 주제별 편찬은 필연적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민속관련 데이터베이스의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전자문서의 구조설계가 가능한 민속학 전공자의 참여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 영역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에서 유연한 연결고리를 만들어, ‘디지로그(Digilog)’한 결과물을 생산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로서, 민속학과 전자 정보학의 접점분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아직 개척되지 않은 ‘블루오션(Blue Ocean)’영역이다. 앞으로 민속 및 전통문화에 관련한 대규모 콘텐츠 구축사업을 수행할 때, 수행주체는 이 분야의 전문인력을 적극 활용해야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When analog data of encyclopedia of Korean folk is made by which is editing by NFMK, it is converted to digital data. Analog data is paper dictionary and digital data is electronic dictionary which is web-bas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nic document to build e-dictionary was used XML (eXetensible Markup Language), markup language of next generation. Unlike an existing HTML, XML is detached markup language with contents, form and structure of document and the most recommending language by W3C (World Wide Web Consortium) where is easy to extend, reproduce, revise and manage. Therefore, encyclopedia of Korean folk will be expected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for administrators, the efficiency of knowledge contribution for users by applying this technology in it.
    Encyclopedia of Korean folk is consisted of folk genre of 8 sections, and it is included all the knowledge information. This web service will start to load from database of e-documenting Encyclopedia of Korean seasonal customs, and the rest of the dictionaries of 8 genres will be loaded in sequence. Therefore, Encyclopedia of Korean seasonal customs which is loaded at first should deduce structural characteristics from 8 genres with groping for the plan which can be associated with dictionaries of other genres.
    Structural design of XML e-document was made by ‘Structural Element’ and ‘In-Text Element’. The presented structure of this study is goal-oriented structure which can expend and reproduce folk knowledge information gradually, and designed dictionary of 8 genres can exchange associated information each other.
    The explicit definition which was based on Structural Element and In-Text Element is applied to data in the future, including analog data which is already created. When you consider about these, analog editing of encyclopedia of Korean folk should reach head and body which is based on formal step such as ‘name of dictionary, volume, domain and field’ and had shown that editing according to subject is necessary.
    It needs participation of the folklore specialist’s who is possible about the structural design of electronic docu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olk-related database. This part makes supple connection between analogue and digital and also could be interface between folklore and electronics information as field of study to create Digilogical outcome, and it is the ‘Blue Ocean’ area. When large project for establishing large-scale contents relates to folk and traditional culture in the future, the subject for accomplishing should apply professionals of this field positively, then this project will be able to be successfu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