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實景에서 그리기와 記憶으로 그리기 - 朝鮮後期 眞景山水畵의 視方式과 畵角을 중심으로 (Painting from Actual Sceneries or from Memory - With Focus Onview Point and Angle of View in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8.03
45P 미리보기
實景에서 그리기와 記憶으로 그리기 - 朝鮮後期 眞景山水畵의 視方式과 畵角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57권 / 257호 / 141 ~ 185페이지
    · 저자명 : 이태호

    초록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와 실경현장을 비교하면 닮게 그리기와 닮지 않게 그리기,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풍경을 바라보는 俯瞰視, 多視點, 視點移動 등의 視方式(view point)과 풍경을 포착하여 화폭에 담는 畵角(angle of view)의 확인을 통해 닮게 그린 사생기법이나 닮지 않은 변형의 원리가 분별된다. 첫째는 실경을 그렸다고 地名을 쓴 산수도가 실경을 닮지 않은 부류이다. 실경 현장을 다녀온 뒤 기억에 의존하여 그린 탓으로 대상형태가 심하게 변형된 경우이다. 정선과 그 일파, 그리고 이인상, 허필, 윤제홍 같은 문인화가들의 진경작품이 그러하다. 두 번째는 현장에서 직접 사생하거나, 사생한 초본을 토대로 실경을 닮게 그리는 경우이다. 문인화가 심사정이나 강세황에 이어 김흥도와 그 일파가 이에 해당한다.
    鄭敾은 조선의 땅을 발로 탑승하고, 기억에 의존하여 머리로 그림을 그린 진경화가이다. 그런 탓에 정선의 진경작품은 카메라(이 글에서는 35㎜ 카메라를 지칭함)의 초점거리 28㎜-50㎜ 렌즈에 그 현장이 포착되지 않는다. 28㎜ 이하의 광각렌즈나 파노라마 카메라이어야 소화된다. 정선의 시야는 대체로 수평각이 90-150도이며, 혹은 180도로 넓다. 현장 사생보다 머릿속에 맴도는 형상들을 合成하고 變通해낸 결과이다. 이처럼 실경 현장을 닮지 않은 정선의 진경산수화는 조선의 大地, 나아가 조선의 名勝을 통해 더 나은 이상을 꿈꾼 자들의 회화형식이다. 그 중심 이념은 물론 성리학이었을 터이고, 정선이 易理를 원용하여 그림을 그렸다는 증언과도 맞물려 있다. 또 정선이 고위관료로서 당시 집권층인 서인-노론계 文士들과 친밀했던 이념과도 무관하지 않은 진경산수화이다.
    金弘道의 실경작품은 분명 새로운 변화이다. 18세기 중엽까지 위세를 떨친 정선의 진경산수화가 변형으로 일괄했던 것에서 완연히 달라진 시방식이다. 김흥도의 사생화는 50㎜ 표준렌즈나 35㎜ 광각렌즈를 장착한 카메라의 뷰-파인더에 그 실경이 거의 같은 구도로 잡힌다. 이는 사람 눈에 가장 친근하다는 수평각 47-62도 사이의 풍광을 화폭에 담았음을 시사한다. 진정한 의미로 사실적인 眞景山水畵이다. 김흥도는 17세기 이후에 발달한 유럽의 풍경화나 카메라에 담기는 풍경사진과 유사한 화각으로 실경을 포착했고 생생하게 현장감을 담아냈다. 나아가 빼어난 절경만이 아니라 생활 주변의 일상풍경에 눈길을 두었다. 성리학 이념으로 배태한 아름다운 名勝의 진경산수화에서 평범한 삶의 풍경으로 轉化된 양태가 읽힌다.
    鄭敾과 金弘道, 두 거장의 진경산수화에서 시방식과 화각의 表現形式 差異는 당대의 화두라 할 Post-성리학이 요청되던 18세기 문화지형의 변화와 그 맥을 같이 한다. 당시 실학에 대한 평가도 그러하듯이, ‘脫’性理學 혹은 ‘後’性理學이 갈등하거나 서로 영향을 끼치며 복합된 현실에서 창출된 회화영역이라는 점이 그렇다. 정선이 진경작품은 그 자신이 濃巖ㆍ三淵學派와 절친하게 교우했던 만큼 성리학을 계승한 ‘後’性理學의 분위기를 반영한다. 이에 반해 김흥도의 실경사생은 당시에 茶山이나 燕巖學派가 출현했던 것처럼 ‘脫’性理學에 가깝다고 생각된다. 그런데 실제 김흥도 이후 19세기 진경산수화가 풍속화와 더불어서 衰落하였다. 그 이유는 Post-성리학이 보수적인 세도정권에 의해 ‘脫’보다 보수적인 ‘後’性理學으로 기운 양상과도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When it comes to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clear that two different types were made One type closely resembles the actual scenery portrayed while the other bears little similarity In this article the author evalu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types of paintings by addressing the viewpoint and the angle of view adopted by the artist As for viewpoint three types exist namely bird’s-eye view multi point of view and a moving point of view Through this analysis it is possible to suggest whether a sketch of the scenery was done at the particular site and whyartists changed their portrayals of scenes over time Paintings of the former type are those that closely resemble the actual scenery Paintings of the latter type bear little similarity Paintings which do not resemble the actual scenery were painted from memory after visiting the site and therefore the scenes were significantly changed also in the case of paintings with place names These kinds of paintings were predominantly made by literati painters such as Jeong Seon and his followers as well as Yi In-sang Heo Pil and Yun Je-hong Such paintings predate those which bear similarity to the actual scenery on the basis of a sketch done at the site Kim Hong-do and his followers as well as literati painters such as Sim Sa-jeong and Kang Se-hwang come under this category Jeong Seon was a painter who painted in reliance of his memory after personally traveling to a place of scenic beauty For this reason thescenes depicted in his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can not be captured with a 28 50mm lens of camera Only a wide-angle lens of less than 28mm or a panoramic camera can absorb Jeong Seon’s scenes Jeong Seon’s field of vision was generally a horizontal viewpoint of 90 150 degrees or 180 degrees and so was very wide This was because he drew the landscapes from memory and in doing so he depicted ideal landscapes as expressed in a local Korean setting The basis behind this is found in Neo-Confucianism and is matched by records stating that Jeong Seon painted according to principles of the Book of Changes It also reflects Jeong Seon’s close association with literati scholars of the Seoin Noron who had strong political power at the time With Kim Hong-do who was not a literati painter but belonged to the Dohwaseo Bureau of Painting there was new change in true-view landscape painting He applied a different view point from that of Jeong Seon whose style haddominated until the mid-18th century Sites which are included in Kim Hong-do’s paintings can be captured with the viewfinder of a camera mounted with a 50mm standard lens or a 35mm wide-angle lens This means landscape scenes with a horizontal angle of 47 62 degrees which is most close to human viewpoint were painted on the canvas Such paintings can be argued to depict realistic scenes In capturing actual scenes Kim Hong-do adopted a viewpoint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European landscape paintings and European photographs of landscapes which developed after the 17th century For this reason Kim Hong-do represented scenes in a real and vivid manner Furthermore in contrast to Jeong Seon Kim Hong-do painted not only landscapes of great beauty but also every day scenes The foundations for this change can also be argued to lie in the different ideology of the time While Jeong Seon’s style is deeply imbedded within Neo-Confucian ideals of his time Kim Hong-do represents the Post-Confucian or cultural milieu of the late 18th century In contrast in the 19th century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declined in popularity partially due to the conservatism of the time as encouraged by the ruling hou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