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아미타팔대보살도 도상 연구 (A Study of the Eight Great Bodhisattvas in Goryeo Buddhist Painting)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8.03
37P 미리보기
고려시대 아미타팔대보살도 도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57권 / 257호 / 67 ~ 103페이지
    · 저자명 : 양희정

    초록

    대승불교의 초기 경전에서 說法主인 여래 주위로 무량보살중의 圍繞를 상징하는 수사법으로서 8이라는 숫자를 취해 八大菩薩을 헤아리는 전통이 시작되었다. 8이라는 숫자는 고대 인도의 방위 개념에서 전방위를 대유함과 동시에, 완벽한 수호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상징적 법수이기도 하다. 팔대보살을 명칭하는 경전은 40여 종 이상이 있고 호명되는 바는 조금씩 다르다. 그렇지만 팔대보살이 팔방에 偏在한다는 기본 개념은 7세기 이후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되는 밀교의 만다라에 차용되어 본존 주위에 팔대보살을 조성한 예가 8세기 이래 인도, 돈황지역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석굴이나 사원에 봉안되었던 것은 대부분 不空 譯 『八大菩薩曼茶羅經』계열의 觀音ㆍ彌勒ㆍ虛空藏ㆍ普賢ㆍ文殊ㆍ除蓋障ㆍ地藏이었다. 이 계열의 팔대보살은 중국 이서지방에 머물지 않고 고려시대 아미타 관계 불화에도 수용되어 14점의 아미타팔대보살도를 남기고 있다. 고려불화에 등장하는 팔대보살은 경궤에 규정되지 않은 대세지보살이 포함되면서도 총 숫자는 변함없이 8로 유지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자 존명을 파악하는 데 큰 난점이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1776년명 전남 구례 천은사〈아미타후블탱〉 등에 기입된 존상의 명칭을 근거로 고려시대 팔대보살에는 허공장보살 대신 세지보살이 포함되며, 그에 따라 제장애(제개장)보살이 칼을 든다는 설이 일반적인 전제가 되어 왔다. 그러나 팔대보살 관련 경궤와 도상자료, 수량이 풍부한 인도와 돈황지역 팔대보살 작례에서 추출한 지물의 조형 경향과 비교함으로써 얻게 된 결론은 허공장보살이 탈락되었다고 보는 기존의 견해와 차이가 있다. 고려시대 아미타팔대보살도에는 언제나 칼을 든 보살이 등장하는데, 문헌 자료에서는 칼을 들 수 있는 보살의 범주를 허공장, 보현 또는 문수로 제한한다. 그리고 인도 팔대보살이 보여주는 지물 표현의 경향성, 명문을 가진 돈황 팔대보살의 작례, 고려불화 내의 도상 전통을 참조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더욱 좁혀 들어갈 수 있었다. 그 결과 이 시기의 문수와 보현은 한 쌍을 이루어 경책과 여의를 지물로 한다는 것이 확실하므로 칼은 허공장의 지물임이 분명해졌다. 제개장이 칼을 지물로 한다는 설은 경전적 근거나 유례를 찾을 수 없었다. 한편 고려 팔대보살 중에 언제나 포함된다고 생각되었던 세지의 도상 중에 세지의 전통적인 표식인 보관의 병 대신 화염보주가 표현되고 손에도 경합 대신 화염보주를 드는 보살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경우는 전체 작례의 1/3에서 발견된다. 팔대보살에 있어 지물은 존명을 구별짓는 중요한 표지이며, 다른 보살의 경우에는 약간의 형태 변화가 있을지언정 중요한 표식이 사라지는 경우는 볼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화염보주를 특징으로 하는 이 보살은 제개장으로 비정될 수 있다. 제개장과 관련된 각종 도상 자료에서도 제개장이 화염보주를 드는 예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제개장과 세가지 같은 자리에 흔재할 수 있었던 것은 화염보주라는 공통분모가 존재했기 때문으로 추정하였다. 따라서 도상학적 측면에서 정리하면, 아미타팔대보살도에는 허공장의 도상이 일관되게 존재하며, 제개장과 세지는 한 자리를 두고 대치 관계에 있다. 이렇게 고려시대에는 『팔대보살만다라경』의 존명을 그대로 따르는 팔대보살 세트와 제개장 대신 세지가 포함된 팔대보살 세트가 존재했는데, 이는 아미타삼존이 이 시기 보편적으로 강조되면서 이에 대한 선호가 불화에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이상 언급한 허공장, 대세지, 제개장 외에 정병, 경책과 여의, 보주를 든 보살은 돈황과 중국 송원대 불화, 고려 불화의 도상 전통과의 비교를 통해 각각 관음, 문수와 보현, 지장으로 판별 가능하다. 그리고 오불관을 쓰고 연화를 든 보살은 『慈氏菩薩略修愈?念誦法』의 내용을 통해 미륵으로 추론하였다. 관음, 세지(또는 제개장), 문수, 보현, 미륵, 지장, 금강수, 허공장으로 구성된 고려시대의 팔대보살은 아미타 신앙과 긴밀하게 결부되어, 아미타불의 본원을 성취하기 위해 망자의 내영을 돕는 실천자 무리로서 신앙되었다. 이들은 단독적으로 예배되지는 않았지만, 지물이 지시하는 각 보살의 개별적 정체성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인식은 꽤 뚜렷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어떤 구도적 변형에서도 각 보살의 지물이 가려지지 않도록 세심하게 배치를 조정한 데에서도 엿볼 수 있다. 팔대보살의 조형은 밀교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지만, 그 개념은 대승불교 초기부터 찾아볼 수 있으며, 經中에서 설법청중, 대중 구제, 경전 수호, 망자의 내영 등 다양한 역할을 담당했다. 고려시대 팔대보살이 아미타불과 긴밀하게 관계를 맺게 된 것은 팔대보살이 전통적으로 담지하고 있었던 망자의 내영, 극락정토와의 관련성이 정토 신앙과 접점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iconography of the eight great bodhisattvas as.t.amaha¯bodhisattvas in Goryeo Buddhist painting The concept of as.t.amaha¯bodhisattvas appears in Buddhist texts from at least the second century AD Its origin is closely related to the ancient notion of the eight directional guardians as.t.
    adikpa¯ la In association with the nature of as.t.
    adikpa¯ la the as.t.amaha¯bodhisattvas of the eight directions serve to transmit Buddhist faith and to protect the devote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esoteric Buddhism in India different groupings of the eight bodhisattvas were established to form various man.d.
    alas Among them especially a group consisting of Avalokites´vara Maitreya Aka¯s´agarbha Samantabhadra Vajrapa¯n. i Mañjus´rı¯ Sarvanivaran.
    avis.kambhin Ks.itigarbha became most popular in Buddhist art after the eighth century The iconographical details of these bodhisattvas are described in such texts as the As.t.amaha¯bodhisattavaman.
    d.
    ala-su¯tra and the Maha¯vairocana¯-su¯tra But examples in India and Dunhuang show that they did not strictly follow the canon The most common attributes are an open lotus a na¯gakesara oval objects possibly buds or jewels sword a vajra a book on an utpala and a banner or jewel The common factors drawn from various examples in India and Dunhuang are a useful guideline for further studies on the images of as.t.amaha¯bodhisattvas in Korea The iconography of the eight bodhisattvas in Goryeo painting stems from the same tradition as Indian or Central Asian as.t.amaha¯bodhisattvas The iconographic details however are quite different In the Goryeo dynasty the eight great bodhisattvas were closely tied with Amita¯bha Buddha and the belief in his Pure Land Attributes of bodhisattvas were also influenced by Pure Land paintings of the Sung and Yuan dynasties In fourteen examples from Goryeo that represent the eight great bodhisattvas the attributes are fairly consistent a bottle or a bowl with a willow branch a sutra case a book juyi a lotus flower a jewel a vajra and a sword Among them a bodhisattva with a sutra case is identifiable as Maha¯stha¯mapra¯pa Although there is no textual reference a number of surviving Goryo paintings of the Amita¯bha triad support the hypothesis that one of the eight bodhisattvas is Maha¯stha¯mapra¯pta Regardless of this change the number eight remains the same Thi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in the depictions of as.t.amaha¯bodhisattvas from Goryeo and raises a question as to which bodhisattva was replaced by Maha¯stha¯mapra¯pta Most studies in previous scholarship sought an answer in the colophons of the 18th-century Amita¯bha painting in Cheoneunsa According to these colophons it was Aka¯s´agarbha that was replaced by Maha¯stha¯mapra¯pta and therefore the sword that troubled scholars with finding iconographical source is alloted to Sarvanivaran. avis.kambhin But passages from the As.t.amaha¯bodhisattavaman.
    d.
    ala and Maha¯vairocana¯-su¯tra strongly suggest that the sword denotes Aka¯s´agarbha Samantabhadra or Mañjus´rı¯ and examples found in India and central Asia also support this identification Moreover Mañjus´rı¯ and Samantabhadra became a common pair attending S´a¯kyamuni or Vairocana in the Sung and Yuan periods as in Goryeo They established a distinctive feature in their attributes a book and juyi These attributes are also reflected in the as.t.
    amaha¯bodhisattvas paintings of Goryeo dynasty By eliminating the sword from the iconography of Mañjus´rı¯ and Samantabhadra and relating the sword to Aka¯s´agarbha it becomes clear that Maha¯stha¯mapra¯pta substituted Sarvanivaran. avis.kambhin in the Goryeo period But the close observation provides that it is not always Maha¯stha¯mapra¯pta who appears in his usual disposition As parallels to the Chinese paintings a bottle in the headdress and a sutra case in one hand are a clear indication of Maha¯stha¯mapra¯pta But in one third of the cases these attributes are missing Instead a flaming jewel is depicted in their hands The bottle in the forehead is also replaced by a flaming jewel In india Sarvanivaran. avis.kambhin holds a banner or an oval jewel The Bessonzakki and several iconographic sources from Japan show Sarvanivaran. avis.kambhin with a flaming jewel on top of a banner Therefore the flaming jewel depicted in Goryeo paintings suggests the existence of Sarvanivaran. avis.kambhin making two sets of as. t.amaha¯bodhisattvas in Goryeo one with Sarvanivaran.
    avis.kambhin and one with Maha¯stha¯mapra¯pta replacing Sarvanivaran. avis.kambhin This seems to reflect the religious popularity of the Amita¯bha triad in Goryeo As for the other bodhisattvas one holding a vajra is identified as Vajrapa¯n. i and one with a jewel is Ks.itigarbha as it is evident in the iconic depictions of Ks.itigarbha in the Goryeo period Based on the Cishipusaluexiuyueniansongfa the bodhisattva with a lotus flower is identifiable as Maitreya These eight attributes appear consistently until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is indicates that the painters and devotees of this period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the assemblage of eight different bodhisattvas This group greets souls of the dead and leads them to the Western Pure Land supporting and accompanying Amita¯bha The association between as.t.amaha¯bodhisattvas and Amita¯bha seems to have taken place in China and assimilated in Goryeo in its popular Amita¯bha cul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