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成桂 發願 佛舍利莊嚴具의 硏究 (A Study of Buddhist Reliquaries Donated by Yi Seong-gy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8.03
35P 미리보기
李成桂 發願 佛舍利莊嚴具의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57권 / 257호 / 31 ~ 65페이지
    · 저자명 : 주경미

    초록

    이 논문은 조선의 태조인 이성계가 즉위 전에 발원하여 봉헌한 불사리장엄구 일괄품에 대한 최초의 본격적인 연구이다. 이 사리장엄구 일괄은 1932년 금강산 월출봉의 한 석함 안에서 발굴되었으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사리장엄구 일괄품은 모두 9점으로, 동제발 1점, 銀器 3점, 백자 5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에서 몇몇 용기에는 긴 명문이 기록되어 있는데, 명문 중에는 제작연대, 발원자, 그리고 봉헌 목적 등이 나타나 있어서 주목된다. 명문에 의하면 이 사리장엄구는 이성계와 그의 추종자들에 의해서 조선의 건국 직전인 1390년에서 1391년 사이에 미륵을 만나기를 기원하면서 발원된 것이다. 즉 이 사리장엄은 이성계의 종교적 신실함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왕조를 건설하기 위한 정치적 준비 단계에 해당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사리장엄구는 2개의 탑형 사리장엄구와 동제발, 그리고 백자합 등으로 구성되었다. 안쪽에 봉안된 사리장엄구는 작은 라마탑형 사리장엄구로서, 은으로 만들어졌고 부분적으로 도금되어 있다. 라마탑형 사리장엄구 안에는 유리로 만든 원통이 있는데, 사리는 이 곳에 봉안되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라마탑형 사리장엄구는 팔각탑형 사리장엄구 안에 놓여져 있었는데, 팔각탑형 사리장엄구 역시 은으로 만들고 부분적으로 도금한 것으로, 일부가 부식되어 있다. 팔각탑형 사리장엄구는 다시 동제발 안에 놓여지고, 이것들은 다시 백자합 안에 봉안된 상태로 봉안되어 있었다. 각각의 용기들에는 각각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 명문의 내용은 일부 공통된 점도 있긴 하지만 차이점도 있다. 이 사리장엄구의 주요 발원자는 이성계와 그 두 번재 부인인 강씨부인이다. 또다른 발원자로 등장하는 인물로는 승려 월암과 황희석, 홍영통 등을 비롯하여 여러 인물들이 등장한다. 승려 월암의 행적은 자세하지 않으나, 태조의 초상화를 가지고 있을 정도로 일찍부터 태조와 절친한 인물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편 황희석과 홍영통은 조선개국공신녹권을 받았던 인물로서 주목된다. 한편 명문 중에는 사리기의 제작에 관여했던 여러 인물들의 명칭도 보인다. 백자발의 바닥에 이름이 새겨진 심릉은 강원도 방산 도요지에서 활동했던 陶工으로 추정된다. 또한 팔각탑형 사리장엄구에 이름이 등장하는 박자청은 조선 초기의 유명한 건축가이며 공조판서를 지냈던 인물로서 주목된다. 심릉과 박자청도 역시 조선개극공신녹권을 받았던 인물들이다. 아마도 이 두 사람은 사리장엄구의 제작에 직접적으로 관여했던 인물들로서,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이후에 개국공신으로서 포상받았다고 추정된다. 한편 명문 중에는 이성계와 그의 추종자들이 사리장엄의 공덕으로서, 미륵을 만나기를 기원하고 미륵의 새 세상을 건설하기를 기원하는 내용이 나온다. 한편 이러한 명문의 내용과 함께 백자 향합과 백자 향로가 이 사리장엄구와 함께 봉안되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당시 발원자들이 미륵에 대한 깊은 신앙심을 바탕으로, 새로운 세상, 혹은 새로운 왕조를 건설하기를 바랐던 것임을 뜻한다. 고려 말기에는 고달픈 민중들 사이에서 매향 의례가 크게 유행했다. 매향 의례도 역시 미륵에 의해서 세워질 새로운 세상을 기대하는 것으로서, 역시 미륵신앙과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금강산에서 행해진 이 사리장엄은 미륵신앙과 민중의 염원을 따라서 이성계와 그의 추종자들이 세울 새로운 왕조의 준비를 위한 종교적이면서도 동시에 정치적인 상징물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이성계는 독실한 불교 신자였으며, 그의 추종자 중에도 독실한 불교 신자들이 상당수 있었다. 비록 조선시대에는 유교가 훨씬 중요한 사상이었으며, 조선의 건국에 있어서 불교적 행위에 대한 기록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고 알려져 있지만, 조선 초기까지 불교는 역시 중요한 사상 중의 하나로서 역할을 해왔다. 이성계 발원 불사리장엄구는 바로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던 조선 건국에 있어서의 불교와 불교도들의 역할을 알려주는 매우 중요한 작품으로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he first comprehensive research on Buddhist reliquaries donated by Yi Seonggye who became King Taejo in Joseon Dynasty The reliquaries now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ere found inside a stone casket at Wolchul bong of Mt Geumgang in 1932 They comprise a bronze bowl three silver objects and five white porcelain vessels Some of them have long inscriptions that record the date donors and purpose of the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inscriptions they were dedicated and installed by Yi Seong-gye and his retinues who wished to meet Maitreya around 1390 1391 just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This suggests that this relic veneration was done not only for Yi Seong-Gye’s religious zeal but also for his political aspiration of establishing a new dynasty This set of reliquaries consists of two silver caskets and one bronze bowl and one white porcelain bowl with a lid The inner casket in the shape of a miniature Tibetan-style stupa is made of silver and partly gilded Inside holds a glass cylinder where the sariras were originally enshrined The outer casket in an octagonal pagoda is also made of silver and partly gilded and inside it contains the Tibetan stupa shaped casket The outer casket would be placed in a bronze bowl and then put inside a large white porcelain bowl with a lid All of the caskets and bowls have dedicatory inscriptions although differing in dates and the name of some donors they share similarities especially in main donors The prominent donors are Yi Seong-gye and his second wife Lady Kang The others include a monk Wol-am and two laymen Hwang Hui-seok and Hong Yeong-tong Wol-am’s biography is not recorded in history but he is known as the owner of a portrait of King Taejo and one of his closest associates Hwang Hui-seok and Hong Yeong-tong were granted with Royal Certificate Conferring the Title of the Founding Officer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inscriptions of the caskets there are also the names of people who were involved with the designing and making of the reliquaries Sim Ryong whose name is inscribed on the bottom of the porcelain vessel was a potter who made a new style of white porcelain at the Bangsan kiln in Gangwon-do Pak Ja cheong whose name is inscribed on the octagonal pagoda-shaped casket was a famous architect and later became the minister of the Board of Public Works Sim Ryong and Pak Ja-cheong were also granted with the Royal Certificate Conferring the Title of the Founding Officer of the Joseon dynasty They possibly took part in the production of the reliquaries as designers or as makers since they were rewarded by Yi Seong-Gye after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inscriptions Yi Seong-Gye and his retinues express their wish to meet Maitreya and create a new world of Maitreya by merits accumulated through their faithful relic veneration This indicates that the donators had a devout faith in Maitreya and aspired for the opening of a new world or a new kingdom A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and an incense casket were also deposited together in the reliquaries In the late Goryeo period the practice of incense burial prevailed among common people The practice of incense burial was closely related to the anticipation of a new world to be founded by Maitreya Therefore the relic dedication at Mt Geumgang can be thought as a religious and political symbol for the preparation of a new dynasty by Yi Seong-Gye adhering to the belief of Maitreya and the hope of the people Yi Seong-Gye himself was a faithful Buddhist and so were many of his retinues Although Confucianism was predominant in the Joseon dynasty and records of Buddhist activities are scarce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 new dynasty Buddhism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deologies in the period The reliquaries donated by Yi Seong-Gye present the important but yet to have to be known role of Buddhism and its adherent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