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尙州 大杓里窯址 陶磁片 硏究 (A Study on Ceramic Shreds from the Daepyo-ri Kiln Site in Sangj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8.03
25P 미리보기
尙州 大杓里窯址 陶磁片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57권 / 257호 / 5 ~ 29페이지
    · 저자명 : 張東哲

    초록

    『世宗實錄』「地理志」磁器所는上品4곳, 中品 45곳, 下品 86곳, 품질표시가 없는 4곳 등 총 139곳이 있다. 지금까지의 자기소 연구는 품질에 따라 어떤 종류의 그룻을 생산했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결과 중품자기소 12곳과 하품자기소 13곳이 조사되어 1400년-1430년경의 象嵌ㆍ印花ㆍ귀얄粉靑沙器가 생산되었으며 일부 백자가 제작된 것이 밝혀졌다. 상품자기소는 경기도의 1곳과 경상도의 1곳이 조사되었다. 경기도는 廣州의 樊川里窯址에서 확인된 象ㆍ印花기법의 분청사기, 갑밭에 붙은 白磁片 등과 世宗 7년(1425)의 白磁 精細燔造기록을 제시하여 번천리를 上品磁器所로 본 후 제작활동 시기는 1425년-1440년경으로 추정하였다. 경상도는 高靈의 箕山洞을 상품자기소로 보았으나 구체적인 유물의 양상은 알 수 없다. 다만 高靈白磁에 관한 기록을 통해 高靈縣의 상품백자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상품자기소에서는 질이 좋은 백자가 제작되어 왕실에 바쳤다고 이해된다. 그러나 조사된 두 곳의 백자의 양상을 파악할 수 없으며 분청사기의 貢納에 관한 내용도 알 수 없다. 또한 경상도의 尙州지역 상품자기소 두 곳의 연구가 없어 상품자기소의 전체생격이나 지역볕 성격을 규명할 수는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大杓里窯址에서 收拾된 도자편의 특징을 분석하고 펀년자료와 비교하여 제작시기를 比定하였고, 窯址의 方位에 주목하여 문헌자료를 참고로 『世宗實錄』 「地理志」 尙州牧 中牟縣 楸縣里 上品磁器所가 대표리일 가능성을 살펴보았으며, 대표리요지에서 수습한 분청사기와 백자의 특징을 참고로 상품자기소의 성격을 고찰해 보았다. 대표리의 도자편은 象嵌ㆍ印花ㆍ귀얄기법 등의 분청사기와 無文白磁, 陰刻白磁 등이다. 분청사기와 백자의 제작 시기는 문양양식, 편년자료 등의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분청사기는 상감기법의 〈粉靑象嵌蓮唐草文恭安銘대접 (1400년-1420년)〉과 인화기법의 단독국화문의 〈粉靑印花菊花文恭安府銘접시(1400년-1420년)〉의 예에 따라 대표리의 상감기법인 蓮唐草文ㆍ草文ㆍ重圈文, 無文의 灰靑沙器, 인화기법의 六圓文과 菊花文은 1420년을 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인화기법의 집단국화문, 귀얄분청사기, 무문백자, 음각백자 등은 〈粉靑印花集團連圈菊花文四耳壺(1424년)〉, 〈粉靑印花德寧府銘集團連圈菊花文대접(1455년-1457년)〉, 〈粉靑귀얄문壺(1454년)〉, “景泰 2年(1451)銘” 發願文과 함께 나온 〈白磁陰刻牧丹文龕〉 등의 예에 따라 1420년경-1450년대로 추정하였다. 窯道具는 鉢形의 甲鉢이 多量 확인되어 良質의 粉靑沙器를 大量으로 제작했다고 여겨진다. 또한 圓形의 硯滴 모양 陶范은 上面, 下面, 側面에 크고 작은 국화문양이 있어 찍는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분청사기에 문양을 찍는 도범의 예는 이번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世宗實錄』 「地理志」 尙州牧 中牟縣 楸縣里의 현 위치인 牟東面 龍湖里의 북동쪽인 대표리임을 확인하였다. 대표리에서 수습된 백자편과 분청사기편의 특징을 참고로 상품자기소의 성격을 파악해 보았다. 먼저 〈白磁片〉은 白磁胎土 위에 靑磁 釉藥을 施釉하였으며 이 청자 유약은 〈粉靑象嵌蓮唐草文大?片〉의 유약과 동일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과학적 분석을 통해 대표리 〈백자편〉은 色度ㆍ胎土 등은 백자태토임이 확인되었고, 釉藥은 대표리 분청사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조선시대 청자 유약과 백자 유약의 비교를 하여 청자유약에 가까움을 확인하였다. 결국 대표리 〈백자편〉은 백자태토 위에 청자 유약을 입혔음을 분명히 알 수 있으며 대표리의 〈상감분청사기편〉과 〈백자편〉은 同一유약을 施釉한 조건에서 燔造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1420년이 하한인 〈粉靑象嵌蓮唐草文恭安銘대접〉의 예에 따라 〈상감분청사기편〉과 〈백자편〉은 1420년대에 제작되었다고 판단된다. 이는 경기도 廣州牧의 上品磁器所로 추정되는 樊川里의 백자 제작 시기가 1425년임을 참고하면 1420년대에는 대표리 상품자기소에서 백자가 제작된 것은 분명하다. 다음은 상감기법과 인화기법을 사용한 〈粉靑龍文壺片〉이 있다. 龍文은 일반적으로 왕실에 극한되어 사용되던 문양이라는 점으로 볼 때 상품자기소로 추정되는 대표리요지에서 〈용문호〉가 제작되었다는 사실을 통해 상품자기소의 성격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즉 상품자기소의 성격은 왕실공납용 자기를 생산하던 자기소로 추정되며, 태종 11년(1411)에 왕실에서 특정지역인 中牟縣과 특정기명인 花器를 지목하고 관리를 파견하였다는 기록은 이를 뒷받침해 주는 중요한 단서라고 보여진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大杓里窯址가 『世宗實錄』「地理志」尙州牧 中牟縣 楸縣里 上品磁器所일 가능성을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문헌기록을 통해 楸縣里가 현재의 대표리라는 점 둘째, 1400년부터 1450년대에 걸쳐 제작된 분청사기와 백자가 수습되었고 良質의 분청사기를 제작하는 데 사용한 甲鉢이 대량으로 확인된 점 셋째, 『世宗實錄』「地理志」上品磁器所인 廣州, 高靈 등과 같이 尙州에서도 白磁가 생산된 것이 확인된 점이다. 그러나 尙州에서 粉靑沙器가 王室用으로 제작된 것은 상주지역만의 특징인지 廣州와 高靈의 상품자기소에도 해당되는지는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밝혀지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eramic shreds collected from the Daepyo-ri kiln site and compares them with the relevant historical records in order to determine their production date It also presents a review of the possibility that the Chuhyeon-ri premium ceramics factory site in Jungmo-hyeon Sangju-mok as recorded in Geography Monograph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is the present-day locations of Daepyo-ri to the northeast of Yongho-ri Modong-myeon Furthermore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ncheong wares and white porcelain wares collected from the Daepyo-ri kiln site the possibility that the kiln site was a premium ceramics factory was examined Ceramic remains from the Daepyo-ri kiln site consist of fragments of inlaid stamped and brushed-slip buncheong wares plain white porcelains and incised white porcelains On the basis of the dating of buncheong wares from this site such as Bowl with Gongan Inscription datable to 1400 1420 and Dish with Gonganbu Inscription also datable to 1400 1420 the production time was determined as prior to 1420 for the wares originating from the Daepyo-ri site including inlaid buncheong wares with an lotus and arabesque design grass design double-circle design and plain design and stamped buncheong wares with a six-circle design and chrysanthemum design The production time was determined as 1420 50 for stamped buncheong wares with a chrysanthemumgroup design brushed-slip buncheong wares plain white porcelains and incised white porcelains These estimations were made on the basis of the examples of Four-eared Jar from the Tomb of Jeongso Princess dated 1424 Bowl with Deongnyeongbu Inscription dated 1455 57 Bottle with Brushed-slip Design dated 1454 and Covered Bowl found with Prayer dated 1451 The presence of a large number of saggars and other tools for making ceramics was confirmed presumably enabling the mass-production of quality buncehong wares In addition circular-shaped moulds with chrysanthemum patterns designed to imprint patterns onto buncheong wares were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is research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mium ceramics factories was conducted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rds of white porcelain and buncheong wares collected from the Daepyo-ri kiln site First it was determined from the samples of white porcelain shreds that a celadon glaze was applied over the white porcelain clay and that the celadon glaze was in fact the same as that applied to the bucheong wares Thus a scientific analysis confirmed that the shreds of white porcelain collected from the Daepyo-ri area reflected the chromaticity and clay of the white porcelain and that while the glaze was closely similar to the celadon glaze of the Joseon period After all it was distinctively confirmed that the shreds of white porcelain collected from the Daepyo-ri area involved the application of celadon glaze over the white porcelain cla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hreds of buncheong wares and white porcelain were baked with the same glaze applied in the Daepyo-ri kiln site Thus on the basis of Bowl with Gongan Inscription it was deemed that the shreds of buncheong ware and white porcelain were manufactured in the 1420s Given that 1425 was the approximate production date for white porcelain in the Beoncheon-ri area which was presumed to be the location of the premium ceramics factory of Gwangju-mok Gyeonggi Province it is clear that in the 1420s white porcelain wares were manufactured in the Daepyo-ri premium ceramics factory An examination was also carried out on the shreds of Jar with a Dragon Design Given that the use of a dragon design was limited to the royal palace the fact that ceramics with a dragon design were manufactured at the Daepyo-ri kiln site suggests that the kiln site was a premium ceramics factory Likewise a premium ceramics factory is presumed to have manufactured ceramics to be offered to the royal palace and this fact is supported by a record that in 1411 the court sent officials in specific reference to the Jungmo-hyeon area and flower vases Bringing together all that has been discussed above the possibility that the Daepyo-ri kiln site was in fact the premium ceramics factory as described in Geography Monograph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can be summarized as three points First Chuhyeon-ri is the present-day location of Daepyo-ri if one takes into account the literature and records Second buncheong ware and white porcelains manufactured between 1400 and 1450 have been found and a large number of saggars used for manufacturing quality buncheong wares has been confirmed as such Third white porcelains were manufactured in Sangju as well as in Gwangju and Goryeong where premium ceramics factories were operated as described in Geography Monograph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However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ascertain whether buncheong wares for use in the royal palace was manufactured only in Sangju or whether it was produced in premium ceramics factories located in Gwangju and Goryeong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