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를로-퐁티와 정신분석학 -꿈과 상상적인 것을 중심으로- (Merleau-Ponty et Psychanlyse: sur le rêve et l’imaginair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2 최종저작일 2009.02
29P 미리보기
메를로-퐁티와 정신분석학 -꿈과 상상적인 것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학과 현대철학 / 40호 / 151 ~ 179페이지
    · 저자명 : 정지은

    초록

    메를로-퐁티의 초기 사유에서 그의 정신분석학에 대한 관심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놓여 있었다. 반면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 영향을 주었던 것은, 직접적으로 언급은 되고 있지 않지만 ‘거울의 현상’이나 ‘상상적인 것’, ‘나르시시즘’ 등의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라캉의 정신분석학이었다는 것을 우리는 알아차릴 수 있다. 다른 편에서, 메를로-퐁티와 거의 비슷한 시기를 살았던 라캉의 정신분석학은 자신은 프로이트주의자라는 그의 단언에도 불구하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보다 더욱 더 철학적 사유의 지형에 변동을 가져왔음을 부인할 수 없다. 사실, 데카르트 이후 현상학에 이르기까지, 근본적으로 주체를 다루는 철학적 담화들은 의식과 무의식을 다루면서 주체를 재검토하려는-특히 라캉적인-정신분석학적 이론과 만날 수밖에 없었다.그런데 메를로-퐁티의 이론이 라캉의 이론과 직접적인 교차를 만들어내기 까지는 메를로-퐁티의 후기의 살의 존재론이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 그 이전에 메를로-퐁티에게 정신분석은 몸의 실존주의적, 현상학적 해석에 부차적인 것으로 다루어졌으며, 지각의 원초적인 기능과 분리되지 않은 채로 설명되었다. 물론, 이러한 정신분석학의 도입이 가치를 가지지 않는 것은 아니다. 메를로-퐁티는 지각의 현상학에서 실존적 드라마를 만들어내는 성적인 몸 자체의 고유한 운동을 다루고 있으며, 콜레쥬 드 프랑스에서의 강연에서는 꿈의 기작과 지각의 기작을 유사하게 놓는다. 이러한 메를로-퐁티의 정신분석에의 초기의 접근은 이 학문이 그의 사유 자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지만, 그가 그것의 철학적 의미를 충분히 감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게 한다.그런데 살의 존재론에서 메를로-퐁티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던 것은 라캉의 정신분석학이었다. 보는 자의 철학인 의식 철학이 감각적인 것의 영역으로 내려오면서 보는 자 자신이 또한 보이는 것임을 깨달았다는 사실은 철학이 그 자신이 시작되고, 넘어서고, 망각했던 장소로 되돌아왔다는 것이고, 그로부터 이제까지의 철학과는 다른 철학을 모색할 가능성의 장이 마련되었다는 것이다. 특히 현상학과 -그리고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존재론과- 라캉이 세미나 11권에서 논의한 시각 충동 이론은 많은 공유점들을 가지고 있다.철학과 정신분석학이라는 두 학문이 모두 주체를 다루는 학문임에도 불구하고 의식과 무의식이라는 축을 중심으로 각자의 영역에만 머물러 있었다는 것은 결코 생산적인 태도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이제 철학이 의식 철학을 넘어서는 중인 시점에, 정신분석학이 철학을 재해석해내려고 시점에 이 두 학문의 교차는 가능할 것이다.

    영어초록

    Au début de sa pensée, l’intérêt que Merleau-Ponty a montré sur la psychanalyse était celle de Freud. En revanche, nous savons que ce qui a influencé sur la pensée du Visible et l’invisible était la psychanalyse de Lacan comme nous pouvons voir dans les expressions comme <le phénomène du miroir>, <l’imaginaire>, <le narcissisme de la chair> même si Merleau-Ponty ne cite explicitement pas des thèses de la psychanalyse de Lacan. D’ailleurs, il semble que la psychanalyse de Lacan a apporté un certain changement de vue sur la philosophie malgré son affirmation qu’il était freudien, c’est-à-dire qu’il n’allait pas plus loin que Freud à déjà dit. En effet, le discours philosophique dont la préoccupation était le problème du sujet devait se croiser avec la théorie de la psychanalyse- particulièrement celle de Lacan -qui réexaminait le sujet en y cherchant ce qui est l’inconscient.
    Alors, il faut attendre la mise au jour de l’ontologie merleau-pontienne de la chair pour que la pensée de celui-ci et celle de Lacan fassent en fait leur croisement. Avant cela, la psychanalyse était traitée chez Merleau- Ponty comme secondaire par rapport à l’interprétation existentielle et phénoménologique du corps et expliquée comme n’étant pas distincte de la fonction primitive de la perception. Certainement, il n’est pas sans valeur que Merleau-Ponty a introduit la psychanalyse de cette manière; il explique dans la Phénoménologie de la perception le mouvement du corps sexuel par lequel le drame existentiel se fait naître et met sur le même plan le mécanisme du rêve de du fantasme avec celui de la perception dans Les cours au Collège de France. Ses premières approches de la psychanalyse ne montrent pas son acceptation sans réserve mais ils nous font savoir qu’il a ressenti suffisamment le sens philosophique de la psychanalyse.
    Mais ce dont nous voyons l’incitation dans l’ontologie de la chair est la psychanalyse de Lacan. Le fait que la philosophie de la conscience en tant que la philosophie du voyant est descendue au sensible et qu’elle a aperçu que le voyant est en même temps le visible signifie que la philosophie revient à ce lieu où elle a commencé et, de ce fait, qu’elle aurait un champ possible où il y aurait une autre philosophie différente de celle d’avant. En ce sens, la phénoménologie-particulièrement l’ontologie phénoménologique de Merleau-Ponty- et la théorie de la pulsion scopique de Lacan dans son Séminaire XI ont beaucoup de choses en commun.
    Il semble que l’attitude que la philosophie et la psychanalyse ont adopté avant leur rencontre en demeurant chacune dans ses côtés autour de deux pôles qui sont la conscience et l’inconscient n’était pas productive. Désormais, au moment où la philosophie dépasse la philosophie de la conscience, où la psychanalyse réinterprète la philosophie, le croisement entre ces deux sciences serait possi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상학과 현대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