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판 30장본 <홍길동전>과 박태원의 <홍길동전>의 기호학적 비교 연구 (A comparative consideration of the classic and by Taewon Park(or Gubo))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3 최종저작일 2015.08
30P 미리보기
경판 30장본 &lt;홍길동전&gt;과 박태원의 &lt;홍길동전&gt;의 기호학적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59호 / 373 ~ 402페이지
    · 저자명 : 박태상

    초록

    경판 30장본 <홍길동전>과 박태원의 <홍길동전>은 어떤 변별성이 있을까? 두 작품은 인물 성격에 있어서 같은 듯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전자에서는 영웅적 인물묘사와 소설적 서술전개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둔갑법과 축지법을 행하는 모습 등에서 ‘환상성’에 근거를 두고 있음을 확인시켜준다. 반면에 구보의 <홍길동전>은 ‘일상성’과 ‘역사성’에 토대를 두고 있음을 알게 된다. 주제측면에서 볼 때 경판 30장본에서 주인공 길동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적서 차별의 철폐’라는 사회적 문제이다. 반면에 구보는 창작적 글쓰기의 실험을 통해 잉여성의 증대에 관심을 기울인다. 허구적 인물들인 음전이, 조생원을 통해 잉여성을 증대시킨다. 이를테면 조생원 주변의 이야기는 ‘필수적인 요소’에 해당된다. 하지만, 길동이 조생원의말을 좇아 활빈당의 행수를 맡고 함경감영을 습격하거나 해인사 사건을 일으키는 것 등은 ‘잉여적인 요소’인 것이다. 구보의 작품에서 문제가 되는것은 ‘필수적인 것’에 해당하는 길동의 활빈당 행적과 중종반정을 도모하는성의안, 박원종 그룹간 연결고리나 연계성이 없어서 작품의 역동적인 구조에서 한계를 보여준다는 점이다.
    한편 서사구조의 특징과 이질성을 언급한다면, 경판 30장본에서는 주인공 홍길동의 생애를 중심으로 순차적인 진행의 서사구조를 취하고 있다.
    반면에 박태원의 <홍길동전>은 길동의 활빈당 활동과 연산군의 폐정에 따른 중종반정이라는 투 트랙의 서사구조를 지니고 있다. 경판 30장본 <홍길동전>이 신화적 판타지아를 통해 얻은 것은 활빈당의 빈민 구제활동의 강화밖에 없으며, 작품의 대단원에서 모색하게 되는 율도국이라는 이상향의조성도 결국에는 체계 내의 싸움을 통한 개혁 도모가 아니라 체계 밖으로뛰쳐나가는 우를 범하게 된다. 이에 비해 구보의 <홍길동전>은 홍길동의활빈당의 활약을 통해 양가성의 증대를 가져오고 결국은 종루의 방과 중종반정의 도모세력과의 느슨한 연계를 엮어 새로운 지평을 열어나간다. 고전<홍길동전>이 타협과 절충을 통해 연속성과 계승으로 방향성을 정했다면, 반면에 구보는 연속성과 계승 대신에 단절과 파국을 통한 폭발(중종반정) 을 통해 새로운 자유롭고 창조적인 세계라는 다의미적인 역동성을 찾았다는 점이 큰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s there any discrimination between <Biography of Hong Gildong> in the 30-wood block version and <Biography of Hong Gildong> by Taewon Park(or Gubo)? The two works feature characters similarly different in their personality. The former confirms that it's based on ‘fantastic nature’ as shown in characters repeatedly transforming themselves into other forms, performing magic art of shortening distances and etc. through its heroic description of characters and novelistically unfolded narration while Gubo's <Biography of Hong Gildong> confirms that it's based on ‘dailiness’ and ‘historicity.’ Gil-dong the bottom end plate when seen in terms of the topic 30 main role in the ultimate quest is to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jeoksseo’ that social issues, while Gubo pays attention to increasing this redundancy through experiments of creative writing. He increases redundancy through fictitious characters like Eumjeonee and Chosaengwon. That is, stories evolving around Chosaengwon fall under ‘essential elements.’ However, Gildong's undertaking of the captain of Hwalbindang (a gang of outlaws who rob in order to help the poor) following Chosaengwon's tip, raiding Hamgeong Provincial Office or planing the Haeinsa(a Buddhist temple) incident fall under ‘redundant elements.’ What's a problem with Gubo's work is that it shows limitations to its dynamic structure because it lacks links or connectivity to what falls under ‘essential elements’ such as Gildong's whereabouts with Hwalbindang and to Sung Euian & Park Wongjong's party which attempted to enthrone Jungjong.


    Regarding features & heterogeneity of epic structure, the 30-wood block version takes an chronologically epic structure that unfolds its story with the hero, Gildong's life at center while Taewon Park's <Biography of Hong Gildong> takes a two-tracked epic structure of Gildong's activities with Hwalbindang and enthronement of Jungjong following dethronement of Monarch, Yeonsan. What the 30-wood block version gained through its mystic fantasia is only Hwalbindang's reinforced activities helping the poor, and the composition of a utopia named ‘The Nation of Yeuldo’ which the work explores towards its close eventually makes an error of getting out of the politico-social system, instead of fighting within the system for innovation. Contrary to this, Gubo's <Biography of Hong Gildong> brings forth increased ambivalence through Gildong's activities, leading to open a new horizon by loosely knitting the room in the bell tower with the forces seeking to enthrone Jungjong. The classic <Biography of Hong Gildong> sets its directions; continuity & succession through compromise and negotiation while Gubo seeks after multi-sense dynamism of a new, free, creative world through an explosion(Enthronement of Jungjong) resulting from discontinuity & catastrophe, forsaking continuity & succession. This makes Gubo's work very meaningful.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