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후 서울의 전재복구계획 논의와 도시계획 추진 (Discussion of the Restoration Plan and the Promotion of Urban Planning in Seoul after the War)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23.08
40P 미리보기
전후 서울의 전재복구계획 논의와 도시계획 추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60권 / 125 ~ 164페이지
    · 저자명 : 황윤희

    초록

    본 연구는 전쟁 이후 서울시의 전후 복구에 대한 논의 과정을 밝히고 전후복구계획안의 도시계획의 성격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서울시는 두 차례의 수복 과정에서 복구 계획에 대한 논의를 ‘준비론’으로 일관하다가 ‘서울도시계획개요안’에서 전재 복구와 구획정리사업을 동시에 시행할 것을 결정한 후 <내무부고시 제23호>으로 이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후 제1,2중앙토지구획정리지구를 지정해 구획정리방식으로 전재지 정리 사업을 추진했다. 서울시는 전후복구와 도시계획을 명분으로 일제시기 국책 사업 시행을 위한 법적 근거로써 조선인의 소유권 및 토지에 관한 제반 권리를 박탈하는데 이용된 토지수용령의 단행을 밝힘으로써 강권을 통한 도시계획 추진을 예견했다.
    인적‧물적 자원이 턱없이 부족하고, 구호물자 등의 물자 지원을 미국에 전적으로 의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구 300만 명을 예상한 도시계획 구상은 피난민들에게 사실상 복귀를 기대케 하는 위안밖에 되지 못하였다. 서울시는 시민들이 전재 복구를 위한 인적 자원으로 투입되기를 기대하며 시민들의 한시적인 복귀와 바라크 등의 임시 주택 건축을 허용했다. 그러나 정부 환도가 본격화되자 “생활 능력이 없는” 시민들의 복귀를 제지했고 ‘불법’ 주택에 대한 철거 명령을 내려 구획정리사업을 강행했다. 서울시는 가건축 양성화 정책과 처벌을 놓고 혼란을 야기하면서도 복귀 시민 증가에 따른 주택 문제는 강제 철거 외에는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또한 일방적인 구획정리사업 추진으로 <귀속처리재산법>과의 충돌을 야기했으며, 환지 보상 문제 등 사회적 혼란에 대처하지 못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clarifies the process of discussing the post-war restoration of Seoul after the war and critically examines the nature of urban planning in the post-war restoration plan.
    During the two restoration processe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onsistently discussed the restoration plan as a 'preparatory theory', then decided to carry out both the restoration of the war damage and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at the same time in the 'Seoul Urban Planning Outline', and issued <Notice No.23 of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to this effect. A legal basis for this has been established. Afterwards, the 1st and 2nd central land readjustment districts were designated, and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was promoted through the land readjustment metho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predicted the promotion of city planning through forceful authority by revealing the enforcement of the land expropriation ordinance used to deprive Koreans of ownership and all rights to land as a legal basis for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projec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nder the pretext of post-war restoration and urban planning.
    In a situation wher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were sorely lacking and relied entirely on aid from the United States for material support, such as relief, the city planning plan for a population of 3 million was virtually nothing but a comfort and expectation for the return of refugees. The city of Seoul expected citizens to invest human resources for disaster recovery and allowed temporary return and the construction of temporary housing such as barracks. However, when the government returned to the country in earnest, it stopped the return of citizens who were “incapable of living” and placed them in “illegal” housing. A demolition order was issued and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was carried out. While the city of Seoul caused confusion over the policy and punishment for fostering temporary construction, it failed to come up with any clear measures other than forcible demolition of the housing problem caused by the increase in returning citizens. In addition, the unilateral promotion of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caused a conflict with the <Act on Disposal of Property Devolving upon the State> and failed to cope with social confusion such as replotting compens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