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광수의 <일설춘향전>에 대한 再考 (Study on Lee-Kwangsu’s Another Chunhyangje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6.08
30P 미리보기
이광수의 &lt;일설춘향전&gt;에 대한 再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49호 / 5 ~ 34페이지
    · 저자명 : 이지영

    초록

    한동안 통속적인 소설로만 인식되었던 이광수의 <일설춘향전>이 2000년대 이후부터는 ‘국민문학’과 ‘근대소설’로의 개작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일설춘향전>을 <옥중화> 및 <고본춘향전>과 비교해 보면, 개작의도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은 전반부이며 후반부로 갈수록 <고본춘향전>의 사설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옥중화>와 <고본춘향전>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서술이 중복되거나 어긋나는 착종도 나타나고 있다. 이는 이광수의 춘향전 개작이 치밀한 구도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신문연재를 위해서 그때그때 서술되면서 나타난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일설춘향전>은 춘향을 헌신적이고 희생적인 기생으로 형상화하고 있으며 월매는 속물적인 인물로 그리고 있다. 그리고 방자는 우직하지만 고달프게 사는 민중의 전형이다. 이러한 인물형상화는 이광수의 ‘계몽적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 <일설춘향전>이 지향하는 통속성을 드러낸다. 즉, 헌신적인 여주인공은 사랑에 대한 대중의 환상을 반영하며, 흑백논리 속에서 구현되고 있는 이광수의 계몽의식은 통속적 권선징악과 상통한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국민문학’을 내세운 『동아일보』의 춘향전 연재는 춘향전의 통속성을 기반으로 하여 흥행을 염두에 둔 기획이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Study on Lee-Kwangsu’s Another Chunhyangjeon

    Yi, Ji-young



    Another Chunhyangjeon is adaption of Chunhyangjeon which is a famous traditional novel of Joseon period. It was serialized from September 1925 to January 1926 in Dongailbo, a daily newspaper. Before the series, the newspaper put a notice saying that Another Chunhyangjeon was a adaption of Chunhyangjeon for a true National Literature by Lee-Kwangsu. Lee-Kwangsu was the first class writer and serialized the sensational novel Regeneration just before Another Chunhyangjeon. His novels was characterized by enlightening, and his tendency to teach the people influenced the characters of Another Chunhyangjeon as a fathful servant Banja, greedy Wolmae and devotional sweetheart Chunhayang. But his attempt to adapt Chunhyangjeon was not successful. Although in part Lee rewrote Chunhyangjeon to modern novel, Most part of text was the copy of Flower in Prison and Old Chunhyangjeon. Besides there are many errors and mistakes. I attribute these problem to the serialization newspaper. Dongailbo’s purpose of serial of novel was to increase the circulation, and Chunhayngjeon was chosen because of the popularity. The ‘True National Literature’ was a empty justification of popula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