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관역어(朝鮮館譯語)의 해독과 방언 (Decoding of Difficult Words in Joseongwanyeogeo(朝鮮館譯語) Using Dialect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23.09
32P 미리보기
조선관역어(朝鮮館譯語)의 해독과 방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글 / 84권 / 3호 / 803 ~ 834페이지
    · 저자명 : 곽충구

    초록

    『조선관역어의 해독은 원전비평은 물론 성운학 및 국어 어휘사와 음운사에 대한 넓고 깊은 이해를 통해 그 실제에 다가갈 수 있다. 여기에 방언은 어휘사의 면에서는 문헌어의 결핍을 보충해 주고 또 음운사의 면에서는 재구를 통해 해독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은 잔재 특징을 많이 지닌 북부 및 제주 방언을 통해 『조선관역어의 난해 어휘를 해독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북부 방언의 어휘에 근거하여 “草房 敢自直”은 ‘*가ᄌᆞᆨ+집’, “墻 丢”은 ‘듁’, “醬 自蓋”는 ‘*즐개’, “麥 冊閔”은 ‘*ᄎᆞᆷ밀’로 해독이 가능하며 또 방언 분화형의 형태론적 구성을 통해 “花朶 果迫”은 ‘*곶ᄇᆞᆮ(이)’로 해독할 수 있음을 보였다. 그리고 “裙 扯罵”는 사음자 ‘扯’가 “妻 結直 扯”에서 ‘妻’의 조선한자음 ‘쳐’를 표기하였다는 점에서 ‘*ᄎᆢ마’ 또는 ‘쳐마’로 재구할 수 있음을 말하였다. 이에 ‘치마’의 문헌어 ‘치마, 쵸마, 츄마’ 및 방언형 ‘챠마, 쳐마, 쵸마, 츄마, 치마’를 통해 이들의 선대형을 ‘*ᄎᆢ마’로 재구하였다. 중앙어에서는 ‘쳐마’가 문증되지 않으므로 ‘扯罵’는 ‘*ᄎᆢ마’를 사음한 것으로 보았다. 한편, 해독에는 어휘의 의미 변화를 고려해야 함을 말하고 그 예로 ‘쥬라’를 들었다. ‘쥬라’는 본디 ‘관을 통해 소리를 내는 기구나 기관’의 뜻을 지닌 말이었지만 ‘나팔’과 ‘피리’가 차용된 후에는 그 지시 의미가 협소화되었다(외연(外延)의 축소). 이 과정에서 “鎖納 必剌”는 한어 차용어 ‘피리’와 고유어 ‘쥬라’가 혼효된 ‘피라’를 사음한 것이며 “喇叭 主剌”는 ‘나팔’이 여전히 ‘쥬라’의 의미 영역에 속하여 양자가 미분화된 것을 사음한 것으로 보았다.

    영어초록

    Clues about how to decipher difficult words in old documents, such as Joseongwanyeogeo, can come from regional dialects. From that perspective, I divided the undeciphered vocabulary of Joseongwanyeogeo into vocabulary, phonology, and meaning, and deciphered difficult words in Joseongwanyeogeo by referring to archaic words remaining in dialects of relic area. For example, “草房 敢自直” is deciphered as “가ᄌᆞᆨ+집(kaʣʌk-ʦip), thatched-roof house”, “墻 丢” is as “듁(tyuk), stone wall”, “醬 自蓋” is as “즐개(ʦɨlgɛ), side dish”, “麥 冊閔” is as “ᄎᆞᆷ밀(ʦʰam-mil), wheat” through the northern Korean dialects. And ‘花朶果迫’ can be reconstructed as “*곶ᄇᆞᆮ(이)(*koʦpʌt(i)), a flower bud” through morphological structure of dialect variants. And '裙 扯罵' can be reconstructed as “*ᄎᆢ마(ʦʰjʌma), skirt”, and the dialect variants of “치마(ʦʰima), skirt”, namely 치마(ʦʰima), 챠매(ʦʰjʌmɛ), 쵸매(ʦʰjomɛ), 쳐매(ʦʰjəmɛ), 츄매(ʦʰjumɛ) were all derived from the form the *ᄎᆢ마(ʦʰjʌma). The evidence that can support this is the dialect variants of “저녁(ʦjənyək), evening”. “치마(ʦʰima), skirt” and “저녁(ʦjənyək), evening” are reconstructed as *ᄎᆢ마(tsʰjʌma)~*ᄎᆜ마(tsʰjɨma) and *ᄌᆢ냑(cjʌnjak)~*ᄌᆜ냑(cjɨnjak), respectively. In this paper, I discuss ‘ᅟᆝ(ᅟᆢ=jʌ), ᅟᆜ(=jɨ)’ were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phonological history. Finally, I show that “鎖納 必剌” and “喇叭 主剌” have to be deciphered by considering the changes in their lexical meanings. In the past, “주라(ʦyura), a conch shell used as a horn to blow on” was interpreted as meaning “an instrument or organ that makes sound through a tube.” “必剌(pira), pipe” was formed by blending “피리(piri), pipe” and “쥬라(ʦura)). “喇叭 主剌”(쥬라(ʦyura)) shows that the borrowed word “나발(napal), Korean trumpet” was still recognized as a kind of “쥬라(ʦyura), an instrument or organ that makes sound through a tub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