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색계(色界)의 한 연구 - 박상륭의 『죽음의 한 연구』론 (A Study on the world of Rūpa - A thesis of Park Sang-ryung's 『A Study on Death』)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3.09
40P 미리보기
색계(色界)의 한 연구 - 박상륭의 『죽음의 한 연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54호 / 313 ~ 352페이지
    · 저자명 : 정도상

    초록

    박상륭의 『죽음의 한 연구』는 한국문학이 개척하지 못한 색계(色界)를 탐구하고 형상화한 관념소설의 정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색계가 공계의 비대립적 상대성의 세계가 되기 위해서는 색즉시공의 동시성과 전환, 그리고 그것을 추동하는 용(用)이 필요했다. 달마는 용의 핵심을 마음으로 봤지만 박상륭은 남근으로 보았다. 이것은 선어(禪語)와 소설의 차이일 뿐이었다.
    이어 ‘나’는 확정된 존재(Being)가 아니고 ‘되어가는 존재(becoming)'라는 관점에서 볼 때 색신(色身)임이 분명했다. 하지만 공신(空身) 달마로부터 원효에 이르기까지의 인물들이 색신에 투영되어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리와 읍내, 그리고 큰 형장으로 이어지는 색신의 삶과 색계의 주유는 결국 공계(空界)로의 이동이란 궁극적 목표 때문이 아니었다. 공계로의 이동이 모든 색신의 궁극적 목표가 아닌 이유는 공이란 깨달음으로 가는 불성(佛性 혹은 自性)의 도구에 불과하니 집착하지 말라는 붓다의 가르침이 때문이기도 했다.
    박상륭의 『죽음의 한 연구』에는 이와같은 내용들이 ‘나’라는 인물을 통해 색계가 잘 형상화되어 있는 소설이었다.

    영어초록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Park Sang-ryung's 『A Study on Death』 is the quintessence of an ideological novel which embodies the world of rūpa(=form) that Korean literature has never discovered before.
    In order for the world of rūpa to exist with the world of sūnya(=emptiness) in a non-oppositive way, the simultaneity and conversion of the both as well as the medium that drives them are required. Dharma saw "heart" as the key of the medium, but Park Sang-ryung saw men's penis as the key.
    It is just the difference between words of zen and a novel. In the sense that myself(in the novel) is not defined as "being", but more of a "becoming", it is clear that "I" am the body of rūpa. However, I could see that a variety of individuals in the body of sūnya from Dharma to Won-hyo were also reflected in the body of rūpa.
    Eventually, the ultimate goal of the journey of the body of rūpa from Yury to the downtown and the place of execution was not to travel to the world of sūnya. The reason why the ultimate goal of all bodies of rūpa is not moving to the world of sūnya is partially because of Buddha's teachings that we should not be obsessed with sūnya since it is just one of the methods that lead us to the realization. The void is not Nothing.
    Park Sang-ryung's 『A Study on Death』 is a novel that well-describes these contents through the character "my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