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설가 구보씨와 배우 구보씨의 대화-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연극적 변용 연구 - (Dialogue between the novelist Gubo and the Actor Gubo - Study on the theatrical transformation of A Day in the life of Gubo the Novelist)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7.04
36P 미리보기
소설가 구보씨와 배우 구보씨의 대화-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연극적 변용 연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18권 / 1호 / 107 ~ 142페이지
    · 저자명 : 김명석

    초록

    이 논문은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연극 <소설가 구보씨의 1일>을 비교해 서사, 언어, 매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텍스트 해석의 초점을 ‘산책’에서 ‘대화’로 확장해, 구보씨를 중심으로 한 작품 내적 대화를 살펴보는 한편 작품 밖에서는 상이한 두 장르의 구보 텍스트 간 대화적 관계에서 원작자와 극작가의 대화, 연출가와 관객의 대화에 주목했다.
    첫째, 서사적 특성으로 소설에서 주인공 구보의 기록이 곧 ‘창작노트’라면, 연극은 박태원까지 등장인물로 끌어들여 소설가의 일상과 창작 과정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형식이다. 이중 무대와 영상을 통해 산책자가 걷는 경성의 이미지를 후경으로 제공하고, 대화 장면을 무대 중앙의 전경에 배치했다. 식민지 근대 도시의 고현학으로 독자들의 해석을 촉발하는 원작을 계승하면서, 의미 구성과 과정성을 강조해 관객들의 적극적 해석을 유도하는 열린 연극의 소리 없는 대화에 주목해야 한다.
    둘째, 언어적 특성은 원작자 박태원과 각색자 성기웅의 공통점인 언어탐구와 서울말에 대한 애정에 기원한다. 30년대 경성말 복원과 다중언어적 상황 재현으로 관객들이 직접 체험하게 만든다. 또 원작이 독자들의 자동화된 독서를 방해하는 콤마로 ‘낯설게 하기’ 효과를 유도하는 것처럼 소설 문장을 낭독하는 연극 대사는 관객들의 자연스런 몰입을 방해한다. 성기웅은 원작을 변용한 형식 실험으로 서사와 극의 경계를 해체한다. 셋째, 소설의 모더니즘 기법과 무대와 영상을 결합한 다원예술의 매체 전략에 주목했다. 과거와 현재를 오가는 소설의 오버랩 수법을 연극은 이중 무대와 영상 처리로 변용하였다. 또한 영화의 몽타쥬와 꼴라쥬 기법을 차용한 원작처럼 무대 위에선 극적 갈등 없는 장면의 연속, 무대 뒤에선 이미지, 음악, 영화 장면 삽입과 같은 하이퍼텍스트적 기법을 활용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d narrative, language, and media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 novel "A day in the life of Gubo the Novelist" with the play "1 day in the life of Gubo the Novelist". This article extends the focus of text interpretation from walking to conversation. While looking at the inner conversation focused on Gubo, and focused on the dialogue between the original author and the playwright, the director and the audience's dialogue in a convers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wo different genres of Gubo texts.
    First, in terms of Narrative characteristic, if the record of the protagonist Gubo in the novel is 'Creative Notes', the drama is a documentary that shows the novelist's daily life and creative process. Through the dual stage and video, the play provide the image of Kyungsung by the Flàneur’s view, and the dialogue scene was placed in the foreground of the stage center. This play inherited the original work that l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readers about the colonial modern city. And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silent conversation of the open drama that leads to the active interpretation of the audience emphasizing the composition of meaning and process, Second, in terms of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e common feature of the original author and the playwrigh is the love for the language exploration and the Seoul-style speech. The restoration of the Kyungsung language in the 1930s and the reproduction of the multilingual situation make the audience experience it. And the dialogue of plays interferes with the natural immersion of the audience as the original work led to the defamiliarization as a comma that hinder readers' automated reading. The dramatist deconstructs the boundaries between narrative and drama with a formative experiment that transforms the original.
    Third, In terms of media characteristics, focused on the novel strategy of modernism, the media strategy of multi-arts that combines stage and visuals. Overlapping techniques of novels that go back and forth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re transformed into dual stages and image processing. The original work borrowed the montage of film and the collage technique of art. On the other hand, In the adaptive flay, on the stage was a series of scenes without dramatic conflicts, and a hypertextual technique such as the insertion of images, music, and movie scenes behind the sce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