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파트’ 건축과 공간 질서의 생성과 파괴 - 197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Apartment building and space of order creation and destruction - Focusing on the 1970s novel)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3.09
23P 미리보기
‘아파트’ 건축과 공간 질서의 생성과 파괴 - 197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7권 / 3호 / 129 ~ 151페이지
    · 저자명 : 이평전

    초록

    이 논문은 1970년대 공간의 질적 양적 변화와 주체의 무의식적 욕망이 ‘아파트’라는 건축물에 어떻게 투사되고 소설에 재현되는가를 살피고 있다. 아파트는 당대사회의 정치 경제적 변화를 반영하는 상징이면서 동시에 도시 주체의 존재론적 성찰 공간, 자본주의의 현재적 삶을 비유적으로 보여주는 건축물이다. 그러므로 소설속 아파트는 그곳의 삶과 존재의 문제, 시대와 역사, 정치의 흐름, 계층적 구분과의식 세계의 다양한 국면들을 검토할 수 있는 유효한 연구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1970년대 국가 주도의 산업화 정책에 따라 도시로 몰려든 사람들이 도시 빈민층을 형성하면서 안정된 주거 공간에 대한 열망은 더욱 증대된다. 그러나 이런 기대에 반해 아파트라는 새로운 주거 형태가 본격화된 이후 이들의 삶은 도시 공간으로부터 더욱 철저히 배제되고, 차별화, 계급화 된다. 때문에 많은 작가들은 아파트를 전통적 의미의 ‘집’이 아닌 고립된 개인이 거주하는 삶의 부정적 공간으로 인식한다. 이후 아파트는 주체의 성적 일탈을 꿈꾸는, 또는 가족으로부터 소외된 노인들이 유기되는 획일화되고 폐쇄된 자본주의 도시 공간의 상징적 건축물로 자리잡는다.
    이처럼 1970년대 소설에 재현된 아파트는 당시 급격히 진행된 자본주의화가 부추긴 공간 모순과 그로 인한 주체들의 의식 변화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당대 도시의 형성과 변화 과정, 국가 정책과 경제 성장에 따른 공간과 계층의 분화가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가늠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문학과 인접 학문과의 영향관계를 살피는 유의미한 경로가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has considered how many novelistic imaginations and spatial changes of the city are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apartment in the 1970s. The apartment is a space that reflects political and economical changes and also a building that shows figuratively the current life of capitalism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is very effective target to focus on the apartment in this novel regarding considering the various aspects of consciousness, steaming history and age, political, and hierarchical classification The people gathered into the city for survival on the basis of the industrialization policy of state-led this time have more desire for living space and stability in their life as forming the urban poor. In this process, a new form of housing, called the apartment, their life is standardization, differentiation, the class of surface. Most writers recognize the apartment that it is not a house but a space for isolated individuals and also describe it is a negative space not a positive one. The apartment is a place with spatial properties and uniform, most in the apartment is dreamed of sexual deviance and alienate from their families. This space also shows the social problems of the elderly people. Thus, the apartment has a spatial character of exposing the negative aspects of capitalism urban space.
    The apartment reproduced on the novel of the 1970s is a building which shows the contradictions fueled the capitalism of the advanced rapidly at that time and compression for consciousness change. This paper inquire into how national policies,processes of change with the formation of the modern city and hierarchy space are being carried out in the apartment due to the economic growth in this no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