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진왜란기 정경운의 『孤臺日錄』에서 보는 아래로부터의 聞見정보 -實錄의 관련정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JeongGyeong-won's Information from Below during the Imjin War in Godaeilrok (孤臺日錄): Based on Comparison with Relevant Information in the Korean Veritable Record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3.08
31P 미리보기
임진왜란기 정경운의 『孤臺日錄』에서 보는 아래로부터의 聞見정보 -實錄의 관련정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45호 / 141 ~ 171페이지
    · 저자명 : 민덕기

    초록

    『고대일록』은 함양의 士族인 정경운이 임진왜란이 일어난 해 4월부터 1609년까지 18년 동안 쓴 일기로, 1980년대 최초로 공개되어 그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지리적으로 사통팔달하는 함양의 선비 정경운이 접한 풍부한 정보에 대한 검토 분석은 그다지 많다고 할 수 없다.
    본 논문은 정경운이 접한 정보 중에서 官報 등의 위로부터의 중앙정보가 아닌, 아래로부터의 지방정보, 예를 들어 知人이나 함양 往來人을 통한 정보를 실록의 그것과 비교하여 검토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정경운의 ‘아래로부터의 聞見정보’는 함양이나 그 인근에서 취한 現地的인 것, 사람을 통한 傳聞에 의한 것, 그리고 떠도는 所聞에 의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아래로부터의 문견정보’들을 실록의 관련내용과 비교하여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측면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우선, 실록의 감춘 것을 고발하는 측면으로 지방관의 附倭행위에 대한 정보가 이에 해당할 것이다. 그리고, 실록을 보충하거나 실록 내용을 입증할 수 있는 측면으론 제2차 진주성 전투의 참상과 생존자 및 전사자의 시신 처리 등에 대한 정보, 또는 1602년 초에 대마도로 파견된 전계신의 귀국 정보 등이 그러하다. 실록의 내용을 다양화시키는 측면도 있으니 조헌의 금산 전투에 관한 정보가 이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실록 내용에 문제를 제기하는 측면이 있으니 1604년 3월에 있은 일본에 대한 開市 소문이다. 그런데 실록으로는 그로부터 4개월이 지나서야 사명당의 파견을 통해 대마도에 開市가 허락되고 있다.

    영어초록

    Godaeillok (孤臺日錄, Daily Journal of JeongGyeong-won) is the journal that JeongGyeong-won, who was from a scholarly family (sajok, 士族) in Hamyang County, wrote over 18 years from the fourth month of 1592, or the year that Japan invaded Joseon (the Imjin War), to 1609. Many studies regarding this journalhave been conducted since it was made public in the 1980s. However, analyt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ith regard to the abundant information that Jeong, a classical scholar in Hamyang who traveled widely in Joseon, had collected.
    In this paper, the information from below that Jeong collected, such as local information gleaned from his acquaintances or visitors to Hamyang, was compared and reviewed with information in the Korean veritable records.Jeong’s collected “information from below” from local information in Hamyang and its surrounding areas, hearsay from people, and rumors.
    The result of comparing and reviewing this “information from below” with the relevant contents in the chronicles shows the following. At first, this “information from below”reports fact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veritable records and these facts include information regarding the pro-Japanese acts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is “information from below” supplements and proves the contents of the veritable records and includes information regarding the horrors of the second Jinju fortress battle, survivors and the handling of those killed in battle, 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return of JeonGae-sin who was sent to Tsushima in early 1602. This “information from below” also diversifies the contents of the veritable records and includes information regarding Jo Hun’s Geumsan battle. Lastly, this “information from below” points out a problem in the contents of veritable records, including a rumor of the market opening (gaesi, 開市) in Pusan in the third month of 1604. However, the veritable records show that the market opening was permitted four months after the third month of 1604 through the dispatch of Samyeongd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