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성 구현을 위한 집합주택 원형 주거동의 표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for Designing Local Identity)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3.08
9P 미리보기
지역성 구현을 위한 집합주택 원형 주거동의 표현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2권 / 4호 / 121 ~ 129페이지
    · 저자명 : 문은미

    초록

    주택은 그 나라와 지역의 자연환경, 사회문화를 반영하며 거주하는 사람들의 삶을 담아내는 가장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건물유형이다. 우리나라의 집합주택은 효율성과 경제성의 논리에 지배되어 정형화된 유형을 반복함으로써 주택단지 경관의 다양성과 차별성 표현은 제한적이었다. 주택단지에 고유한 정체성을 부여하는 디자인은 주민들에게 거주지에 대한 애착과 자부심을 느끼게 하고 지역공동체 의식을 강화시켜 현대도시의 병리현상을 완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주택의 형태가 지역정체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하에 지역성 요소의 관점에서 집합주택 원형 주거동의 표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궁극적으로 거주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집합주택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진행은 문헌조사를 통해 원형의 상징 특성을 살펴보고 건축역사에서 원형 집합주택의 전개와 의의를 조사하였다. 사례조사를 위해 주택단지에 적용가능한 지역성 요소를 도출하여 역사적 유휴산업시설을 주거시설로 재활용한 3개의 사례와 새로 개발된 주택단지의 집합주택 3개 사례 총 6개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합주택 원형주동은 역사적으로 외부 세력으로부터의 방어와 안전을 목적으로 형성되었고, 바로크 도시계획의 기하학적인 도시 광장을 규정하는 테라스하우스, 고밀도 근대집합주택에서 인간성 회복을 위한 녹지와 개방공간을 제공하는 중정형 집합주택의 형태로 등장하였다.
    둘째, 지역성의 역사문화요소, 경관요소, 공동체요소의 관점에서 원형집합주택 여섯 개 사례를 분석하였다. 역사문화요소는 그 지역에 시간의 연속성을 부여하고, 경관요소는 장소의 정체성을 확립하며, 공동체요소는 사람간의 상호교류를 유도하는 지역성 요소이다.
    셋째, 집합주택 원형 주거동은 그 지역의 역사적인 유휴산업시설을 개보수하여 재활용하거나 전통주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새로운 주택계획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역사문화요소를 표현한다. 익숙한 형태와 역사적 흔적을 보존하면서 사회가 요구하는 새로운 기능과 형태를 부여하여 과거의 유산을 현재의 일상공간에 수용한다.
    넷째, 규칙적인 도시조직과 단조로운 주택단지에서 원형 주거동의 독특한 형태와 공간구성은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되며 그 지역의 랜드마크로서 경관형성의 특성을 가진다. 녹지, 바다, 도로 등으로 둘러싸인 개방성이 큰 부지에 계획된 원형건물은 주변경관과 뚜렷한 대비를 이루며 단위세대를 돌출시켜 주거단위의 개별성을 강조하거나 역사적 외관에 새로운 요소를 삽입하는 등 시각적 인지도가 높은 형태적 특성을 가진다.
    다섯째, 원형 집합주택의 중정을 중심으로 하는 내향적, 구심적 형태는 거주자들의 사회적 접촉을 유도하는데, 특히 단위세대의 면적이 작고 공유공간의 비중과 활용도가 큰 학생기숙사와 저소득 임대주택에서 뚜렷하다. 원형 주거동을 작은 마을이나 도시처럼 계획하여 지상층과 중정주변에 일상적인 주거 편의시설뿐 아니라 문화, 상업시설을 포함하는 다양한 공동시설을 배치하여 공동체 특성을 표현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aimed at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shape of a residential building affects local identity. A total of six case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ree case studies on idle historical industrial facilities turned into residential buildings and another three on multi-family housing located in newly developed residential complexes. The study drew its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design of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was intended to maximize security and defense from the outside in older times. This was later developed as the terrace house style with geometric urban squares designed under the urban planning of the Baroque period. This evolved high-density housing with a courtyard in the center offering a green open space, with the aim of restoring a sense of humanity. Second, the six case studies on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we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each factor of local identity, including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and community. Thir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of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are found in some unused historical industrial facilities remodeled into residential buildings. They provide new capabilities and shapes desired by society at a given time, while maintaining familiar styles and elements of history, integrating a legacy of the past into the present. Fourth,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with unique shapes and structures often become landmarks of a region with their distinctive appearance against a uniform urban environment and the monotonous scenery of residential complexes. They also show a high level of visual awareness with the distinctive shapes made possible when new elements are added to a historical exterior. Finally,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with courtyards in the center prompt social contact between inhabitants, especially with dormitories and rental houses for the low-income bracket, which provide a small individual units with high use common space.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are planned in a manner similar to a small village or a city. They are designed to enhance sense of community, allocating various public amenities and provide cultural and commercial spaces on the ground floor and courtyard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