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북방언 'X자/사/다-'류 형용사의 음운론과 형태론 (Phonological & Morphological Study on ‘Xca/sa/ta-’ Adjectives in the Northeast-dialect of Korea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2 최종저작일 2013.08
32P 미리보기
동북방언 'X자/사/다-'류 형용사의 음운론과 형태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학회
    · 수록지 정보 : 國語學 / 67호 / 3 ~ 34페이지
    · 저자명 : 곽충구

    초록

    동북방언에는 본디 어근의 말음이 치음인 세 부류의 형용사가 있다. (1)‘깨까자-’(깨끗하-), (2) ‘넙쥬사-(넙죽하-), 두리두리사-(둥글둥글하-), 산뜨사-(산뜻하-), 높다사-’(높다랗-). (3) 꼳꼬다-(꼿꼿하-). 이 논문은 이들 형용사의 내부 구조 변화와 관련된 음운과 어형성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1)류는 [[XC(=ㅈ, ㅅ, ㄷ)]R +--]A의 구조에서 어근 말 C(=ㅈ)가 접사 ‘--’ 앞에서 중화를 겪지 않고 잔존한 사적 잔재이다. 이는 ‘ㅈ’가 어말 위치에서 ‘ㅅ’와 대립을 유지했던, 15세기 이전 음운사의 한 방증이 된다. ‘*->-> … >깨까자-’. 15세기의 ‘-’는 ‘--’ 앞에서 ‘ㅈ’가‘ㅅ’로 중화된 것이므로 (1)류의 ‘깨까자-’는 그보다 더 오랜 역사를 보여주는 셈이다. (2)류의 C(=ㅅ)는 본디 어근의 말음 ‘ㅅ’, 어근을 형성하는‘-čVs’(또는 ‘-čVk’)과 ‘-읏’(또는 ‘-윽’)의 말음 ‘ㅅ’로, 이들 어근에 결합한‘-하-’의 ‘ㅎ’가 탈락하여 ‘X사-’로 실현되었다. 이 ‘X사-’에 다시 정도성을강조하는 ‘-어/아 하-’가 결합하여 ‘X샇-’이 출현하였다. ‘-샇-’과 부분적으로 대치가 가능한 ‘X맣-’은 ‘X-음 하->X으마-’ 이후 ‘-어/아 하-’가 결합하여 출현한 것이다. 예: 땰쮸마-(짜름하-), 또릿또리사-, 또리또리마-(똥글똥글하-), 또릿또리샇-, 또리또리맣-(아주 똥글똥글하다). 또 ‘-샇-’과 ‘-맣-’은 ‘-다-’와 결합하여 ‘-다샇-’, ‘-다맣-’(-다랗-)을 형성한다. 예: 높다샇-,높다맣-(높다랗-). 이를 통해 ‘-읏, -윽, -음’이 어근 형성에 참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류의 C(=ㄷ)도 역시 ‘-하-’의 ‘ㅎ’가 탈락하여 출현한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은 통합관계로 설명할 수 없는 형용사는 구조적 압력또는 유추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예컨대, (1)류의 형용사들이 변이형을 갖게 된 동기는 용언화의 ‘X-하-’ 파생 규칙에 의하여 이미 재구조화한 ‘깨까자-’가 ‘깨깢하-’로 분석된 데 있다. 여기에 중화 규칙(‘ㅈ>ㅅ’, ‘ㅈ>ㄷ’)이적용되어 ‘깨까사-’, ‘깨까다-’가 출현한 것이다. 유추에 의한 것으로는 ‘떧떠사-’(<덛덛-, =떳떳하-) 따위가 있는데 이는 ‘동일한 활용 패러다임의형용사’라는 공통의 기반 위에서 ‘-자-’, ‘-사-’, ‘-다-’가 각각 하나의 형태로 인식되면서 단일화를 꾀하는 과정에서 출현한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Northeast-dialect of Korean, there are 'Xca-', 'Xsa-', 'Xta-'adjectives which originally had root final consonants /c(=ʦ)/, /s/, /t/. e.g.
    'k’ɛk’ac-ha-'("clean"), 'sant’ɨs-ha-("neat"), 'k’otk’ot-ha-'("straight"). In the past, these were not neutralized with /s/ or /t/ in front of suff.
    '-ha-', but /h/ of '-ha-' was deleted. As a result those adjectives were restructured to 'k’ɛk’aca-', 'sant’ɨsa-', 'k’otk’ota-'. There are four types of 'Xsa-' adjectives. First, adjectives which were formed by combination of the root formative '-čVs-' and suff. '-ha-', and co-exist with adjectives which '-čVk' and suff. '-ha-' combined. In this case, /h/ of '-ha-' was also deleted. The root formatives '-čVs'and '-čVk' were combination of '-čV-' and '-ɨs' or '-ɨk'. The '-čVs'seems to have appeared later. Second, it was originally the root final consonant /s/. Third, 'the root+-ɨs ha-' adjectives. The 'Xsah-'(occasionally realized as 'Xsaha-', and 'Xsa-') were formed by adding '-ə/a ha-' to 'Xsa-'. The 'Xsah-' had more emphasis on meaning than that of the 'Xsa-'. And '-mah' was formed by combining '-ɨm ha-' and '-ə/a ha-'. The combination of '-sah-' or '-mah-' and '-ta-' formed suff. '-tasah-', '-tamah-'("very much")corresponding to Central-dialect suff. '-tarah-'. The '-ɨs', '-ɨk', '-ɨm'which took part in forming the root have the function of nominalization and emphasis.
    However, 'Xca-', 'Xsa-', 'Xta-' adjectives have a small number of variations for each class. There are two factors in appearance of these variations. One is the structural factor. For example, by the influence of the highly productive derivation rule 'X-ha-', 'k’ɛk’aca-'("clean")was reinterpreted as 'k’ɛk’ac-ha-' and by applying the neutralization rule(changed to /c/, /s/ before suff. 'X-ha-') 'k’ɛk’ac-ha-' became to 'k’ɛk’ata-'. The other one is an analogical leveling. As the '-ca','-sa-', '-ta-' of 'Xca-', 'Xsa-', 'Xta-' are regarded as the same grammatical unit, there appeared the tendency to unify among '-ca','-sa-', '-ta-'. e.g. 't’ət’əta-'("honorable") was changed to 't’ət’ə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國語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