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사학적 기준을 적용한 리노베이션 유형 구분 (Template of Archives of Design Research)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2.11 최종저작일 2013.08
16P 미리보기
서사학적 기준을 적용한 리노베이션 유형 구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26권 / 3호 / 287 ~ 302페이지
    · 저자명 : 이하은, 유택상

    초록

    연구배경 오늘날 행해지고 리노베이션은 일반적으로 경제적인 이유 또는 그 밖의 형태적인개선 등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현대의 리노베이션의 양상 중에는 오래된 건물을 재사용함에 있어서 비용이 더 들더라도 의미적인 부분을 유지하기 위해 낡은 요소를 남기거나새것을 의도적으로 낡게 만들어 재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흐름을 통해단순히 비용이나 물리적인 이유에서 그저 방치된 공간을 단순히 재활용하는 것이라고 볼 수없었다고 여겨져 이러한 리노베이션이 갖는 의미적인 관점에 초점을 맞춰서 현재 행해지는리노베이션이 어떠한 패턴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밝히고 향후에 이루어질 리노베이션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리노베이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구조주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서사학이라는 학문을 도입하여 체계화 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미케발의 서사구조인 파블라( Fabla), 스토리(Story), 텍스트(Text) 3요소를 통하여 리노베이션의 과정을 6가지로 유형화하였고 다이어그램을 통해 시각화하였다. 유형화된 6가지 요소들은 국내외 역사적으로 보존가치가 있는 건물들로 리노베이션 된 사례들을 중심으로 대입하였고, 분석 방법에 있어서는 추출된 6가지의 요소들이 갖는 특징을 통해 구체화 시킬 수 있었다.
    연구결과 리노베이션 사례를 추출된 다이어그램에 대입하여 분석한 결과 총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구조와 역사, 기능과 상징, 그리고 연출과 경험이라는 요소들은 파블라, 스토리, 텍스트라는 구분이 있지만 상호적인 관계에 놓여 있으므로 대입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분류가 가능하였다. 사람들이 과거의 공간을 찾게 될 때 얻고자 하는 ‘과거의 경험’을 하고자 하는 흐름으로 인해 과거의 모습을 최대한 지키며 현대적인 디자인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고 옛 모습을 지키지 않았다면 과거의 상징적인 것들을 재현하여 사람들로하여금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결론 본 논문은 바로 이와 같이 행해지는 리노베이션이 갖는 인지적인 관점에 대해 초점을맞춰서 리노베이션이 어떤 패턴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밝히고 향후 리노베이션의 참고점으로 사용하고자함이다. 뿐만 아니라 디자인에 서사학을 접목시킨 연구로서 디자인의 다양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Most of renovations that are being conducted nowadays have beeninitiated generally for economic reasons and other improvements but still, regardinghow those renovations would go, people try to reuse old buildings to maintain somemeaningful factors from the past even if it would cost them more money. In orderto protect the meanings of the buildings and everything, people would still leave olddesigns as they are or make new designs look old on purpose. The thesis believed thatthe renovation was not merely a simple process of reusing neglected spaces only becauseof costs or physical reasons, so as a result, it focused meaningful viewpoints that therenovation would stand for to understand how the renovation is being conducted in themodern times. Afterwards, the study proposed renovation standards that would be usedin the future.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renovation from the viewpoint ofstructuralism and systemized it by adopting narratology. More specifically, based onMieke Bal’s three elements of narrative structure – fabla, story, text –the process ofrenovation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which were visualized in a diagram. The fiveclassified types were analyzed by assigning renovation cases in Korea and elsewhere. Asa result, it was shown that renovation was not only achieved from a physical perspectivesuch as the form or material, but it also emphasizes the semantic aspect.
    Results Renovation examples were substituted to a selected diagram, and according tothe results, the exampl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Regarding those factors as astructure, history, functions and symbols and lastly, direction and experience, they wouldbe divided into fabula, story and text but still, since they were all connected to eachother, during the substitution, they were categorized into various forms. When peopletry to find old spaces in their past, they mostly want to have this 'experiences in the past'again with them. That is why they did the renovation while not only did they protect thepast as much as possible but also fulfilled the contemporary designs at the same time. Ifthey had not preserved the past, they have reproduced any symbolic factors from the pastso that other people could experience the past once again in their lifetime.
    Conclusion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cognitive perspective of renovation to use it asa reference point for renovation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as it attemptsto suggest diversity of design by combining narratology with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8 오전